나는 혼자일 때 더 잘한다 - 자기만의 방이 필요한 내향인의 섬세한 성공 전략
모라 애런스-밀리 지음, 김미정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가 생각하는 성공의 필수 조건 대부분이 실제로는 불필요하고 심지어 역효과를 낳기도 한다." <나는 혼자일 때 더 잘한다>의 저자 모라 애런스-밀리의 말이다. 저자는 성공한 사람들의 공통적인 비결을 찾기 위해 150명 이상의 대기업 중역들을 직접 인터뷰했다. 그 결과 대부분의 사람들이 적극적인 성격도 아니고 사교에 능하지도 않았다. 하루 종일 일에 매달려 있는 일벌레도 아니었다. 오히려 그들은 사람들을 만나는 게 두려워서 "화장실에 숨는" 유형의 사람들이었다.


저자 역시 그런 사람들 중 하나다. 저자는 대학 졸업 후 마케팅 업계에서 손꼽히는 직장들을 거치며 <포브스>가 선정하는 '영향력 있는 삼십 대 이하 30인'에 포함되기도 했다. 겉모습은 잘나가는 커리어 우먼처럼 보였지만 속마음은 그렇지 않았다. 거의 매일 폭음과 폭식을 거듭했고 불안 증상에 시달렸으며 공황 발작도 빈번하게 겪었다. 직장을 그만두고 프리랜서로 일하기 시작하면서부터 불안 증상이 사라지고 마음의 평화가 찾아왔다. 저자는 자신처럼 내향적인 사람을 위해 이 책을 집필했다.


성격이 내향적인 건 문제가 아니지만, 내향적인 사람이 성취 중독증인 건 문제가 될 수 있다. 성취를 하기 위해선 끊임없이 수많은 사람들 앞에 자기를 내보여야 하고, 사람들 앞에 자기를 내보이는 건 내향적인 사람에게 큰 에너지 소모를 야기하는 일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성취 중독증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우선 성취 중독증의 근본 원인을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나보다 잘나가는 사람에게 질투심을 느낀다면 그 사람이 미운 게 아니라 그 사람의 성취를 내 것으로 만들고 싶은 마음이 있다는 걸 인식해야 한다.


내향적인 사람에게 SNS는 최적의 사교 수단이 될 수 있다. SNS는 상대와 직접 만날 필요가 없고, 각자 편한 시간과 장소에서 소통할 수 있기 때문이다. SNS를 통해 만든 디지털 브랜드는 그 어떤 전문 지식이나 자격증보다도 강력한 증명서 역할을 해준다. SNS를 통해 만든 디지털 인맥 또한 그 어떤 지연이나 학연보다 끈끈한 유대감을 발휘할 수 있다. 저자 역시 자신의 웹사이트와 팟캐스트, 뉴스레터 등을 통해 비슷한 관심사와 철학을 공유하는 사람들과 소통하고 연대하고 있다.


책의 후반부에는 내향적인 사람을 위한 사업 조언이 나온다. 내향적인 사람은 여러 사람이 함께 일을 하는 것보다 1인 기업 또는 프리랜서로 일을 하는 것이 잘 맞는다. 단, 혼자서 일하는 경우 업무 시간과 여가 시간의 구분이 흐려져서 하루 종일, 일주일 내내 '일하는 모드'로 살게 될 우려가 있다. 그러니 일부러라도 디지털 기기 접속을 피하는 '디지털 안식일'을 정하거나 집중근무일을 정해서 일하는 편이 좋다. 집중적으로 일하는 '딥 워크'가 효율도 높고 효과도 높다는 것을 기억하자.


저자는 거절을 당하고 스스로를 책망할 때마다 미국 사회의 특권층 백인 남성을 떠올린다. 그들은 인종이나 성별, 계급으로 인한 차별을 겪어본 적이 없기 때문에 "거절을 당해도 일시적인 장애물일 뿐이며 곧 승낙을 얻어낼 거라고 생각한다." (241쪽) 저자는 바로 그러한 특권층 백인 남성들처럼 실수나 실패를 마음에 담아두지 않고 자신을 너그럽게 봐주려고 노력한다. 이 밖에도 내향적인 사람에게 도움이 되는 팁이 많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