때론 이유 없이 거절해도 괜찮습니다 - 양보만 하는 사람들을 위한 관계의 기술
다카미 아야 지음, 신찬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 마음대로 살고 싶어도 내 마음대로만 살 수 없는 게 현실이다. 밥 한 끼를 먹더라도 내가 먹고 싶은 음식만 고집하면 '눈치 없다', '이기적이다', '사회성이 부족하다' 같은 비난이 따라온다. 그렇다고 매번 남의 눈치만 보고 남들이 하자는 대로만 할 수는 없는 법. 다카미 아야의 <때론 이유 없이 거절해도 괜찮습니다>는 매번 남에게 양보만 하고 자기 실속은 챙기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양보하지 않는 기술'을 알려주는 책이다.


매번 다른 사람 눈치만 살피고 자기표현은 못 하는 사람은 대체로 착하고 배려심 많은 사람이지만, 어쩌면 그저 남에게 잘 보이고 싶은 사람일 수도 있다. 내가 먼저 잘해야 남도 나에게 잘 할 거라는 계산하에 행동하는 것일 수도 있고, 아니면 그저 내 생각과 감정을 표현하는 게 힘들거나 귀찮아서 남에게 맞추는 것일 수도 있다. 괜히 내가 하자는 대로 했다가 결과가 안 좋으면 내 책임이 되는 게 싫은 것일 수도 있다. 실제로 남의 눈치를 살피고 남에게 많이 의존하는 사람은 자기 탓보다 남 탓을 하는 경향이 있다.


이런 사람들에게 저자는 '거절하는 힘'을 기르기 위한 네 가지 방법을 소개한다. 첫 번째는 '건전한 영역 의식 갖기'이다. 건전한 영역 의식 갖기란 자신의 영역과 타인의 영역을 분명히 하는 것이다. 사람과 사람 사이에는 보이지 않는 금이 있다. 나도 그 금을 넘으면 안 되지만 상대방도 그 금을 넘어오면 안 된다. 상대방이 그 금을 넘었다는 생각이 들면 바로 거절하거나 경고 신호를 보내야 한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상대방은 금을 넘어도 괜찮은 줄 알고 계속 그 금을 넘어올 것이다.


두 번째는 '자기신뢰감 쌓기'이다. 남들의 눈치를 많이 본다는 것은 자기 자신에 대한 신뢰감이 낮다는 증거다. 자기 자신에 대한 생각이 확고한 사람은 남들의 눈치를 보지 않는다. 그렇다고 남들의 눈치를 전혀 보지 않는 독불장군으로 살아도 괜찮다는 것이 아니다. 남들의 시선이나 의견을 감안하되, 전적으로 남들의 시선이나 의견에만 좌우되는 삶을 살지는 말라는 뜻이다. 거절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대부분 이렇다. 남들에게 안 좋은 소리를 들어도 나는 괜찮다는 생각을 할 수 있어야 부담 없이 거절할 수 있다.


세 번째는 '무의식 속 죄책감 없애기'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타인의 기대에 부응하고 싶은 마음이 있다. 이는 아주 어렸을 때부터 부모의 기대에 부응하고자 노력하면서 생긴 버릇 내지는 습관이다. 어릴 때는 몰라도 성인이 된 후에는 이러한 습관을 버리는 것이 좋다. 남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해도 내가 만족하면 그만이다. '남이 인정하는 나'가 아니라 '내가 인정하는 나'가 되고 싶다는 사고방식을 가지는 것이 더욱 적절하다.


마지막 네 번째는 '자신의 힘은 자신을 위해 사용하기'이다. 어떤 사람들은 남들에게만 봉사하고 정작 자기 자신에게는 봉사하지 않는다. 이런 사람들 중에는 자신이 원하는 게 무엇인지 몰라서 남들에게 봉사하는 경우도 있다. 자신이 진정으로 원하는 게 무엇인지 알고 싶다면 일기를 쓰는 것이 좋다. 그날 하루 동안 잘한 일, 좋았던 일, 기뻤던 일 등을 꾸준히 적다 보면 내가 뭘 잘하고 좋아하는지 자연스럽게 알게 된다. 이 밖에도 거절하는 힘, 양보하지 않는 힘을 기르기 위한 구체적인 팁이 나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