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행사의 길을 가다 - 압록강 넘은 조선 사신, 역사의 풍경을 그리다 이상의 도서관 51
서인범 지음 / 한길사 / 201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선통신사가 조선과 일본을 왕래한 사신들이라면, 연행사는 조선과 중국을 왕래한 사실들을 일컫는다. 얼마 전 조선통신사의 자취를 따라 여행한 기록을 담은 책 <통신사의 길을 가다>를 읽었는데, 그전에 저자가 연행사의 자취를 따라 여행한 적도 있고 그 기록을 담은 책 <연행사의 길을 가다>도 썼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마침 중국에 대해 더 많이 공부해야겠다는 생각을 하던 참이라 반가워하며 책을 읽기 시작했다.


연행사란 고려와 조선을 통틀어 약 700년 동안 중국의 원나라, 명나라, 청나라의 수도인 북경에 정기적으로 파견되었던 사신을 말한다. (33쪽) 명나라 때는 조선에서 연 3회에 걸쳐 정기적으로 사신을 파견했고, 청나라 때는 연평균 2.6회 북경에 들어갔다. 한번 행차할 때마다 고위 관료부터 말몰이꾼까지 대략 300~600명의 인원이 움직였다. 사행길은 육로와 해로가 있으며, 명나라 때와 명-청 교체기, 청나라 때에 각각 조금씩 변화가 있었다. 이 책에서는 주로 명나라 때의 육로 사행길을 따른다.


연행사와 조선통신사는 외교 사절이라는 점은 같지만 그 목적이나 내용은 크게 달랐다. 중국은 조선이 조공을 바치는 황제국인 반면, 일본은 그렇지 않았기 때문이다. 중국을 찾는 조선 사신들은 변변한 대접도 받지 못하면서 행여 늦게 도착하거나 조공으로 바치는 물품에 결락이 생겨 외교 마찰을 빚을까 봐 노심초사했다. 반면 일본을 찾는 조선 사신들은 매번 융성한 대접을 받았고 정치적인 부담도 적었다. 당시 동아시아 국제관계에서 중국은 갑 중의 갑인 슈퍼 갑, 조선은 을, 일본은 병 정도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저자의 여행기를 보면 현재의 중국은 한국이나 일본에 비해 사회적 인프라가 덜 갖춰진 상태이고 시민 의식도 많이 낮아 보인다. 한국이나 일본에선 쉽게 찾을 수 있는 편의점이나 저렴한 가격대의 식당조차 찾기 힘들고, 호텔을 비롯한 여러 숙박 시설에선 내국인과 외국인의 가격 차별이 흔하다. 심지어 어떤 곳에선 길가에 노상방변(!) 한 흔적을 보기도 했다니 참담하다. 출간된 지 몇 년이 지난 책이니 지금은 다르리라 믿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