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읽기가 만만해지는 이과식 독서법 - 필요한 만큼 읽고 원하는 결과를 내는 힘
가마타 히로키 지음, 정현옥 옮김 / 리더스북 / 201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떻게 하면 그렇게 책을 많이 읽느냐는 질문을 이따금 받는데, 그 때마다 답하기가 참 곤란하다. 어릴 때부터 책을 좋아했고, 살면서 한 번도 책 읽기가 힘들다고 느끼지 않았어요, 라고 답하면 질문한 사람이 어이없어 하겠지. 그런 나도 실은 읽기 힘든 책을 수십, 아니 수백 권은 만났고, 그 중에는 끝까지 읽지 못하고 도중에 포기한 책도 무척 많다. 그래서 읽은 책이 바로 이 책 <책 읽기가 만만해지는 이과식 독서법>이다. 


이 책을 쓴 가마타 히로키는 교토대학교 대학원 인간환경학과 및 종합인간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자는 해가 갈수록 학생들이 가벼운 책 한 권 읽기도 힘에 부쳐 한다는 사실을 알고 크게 놀랐다. 특히 이과 출신 학생들은 책을 어떻게 읽어야 하는지, 왜 읽어야 하는지조차 알지 못하고 의문을 가지는 경우가 많았다. 저자는 바로 그런 학생들을 위해 이 책을 집필했다고 밝힌다. 이 책은 독서를 취미나 유흥으로 느끼지 못하는 사람이 정보 수집이나 논문 작성, 업무용 보고서 작성 등 특정한 목적을 위해 책을 읽어야 할 때 도움이 될 만한 팁을 알려준다. 이른바 효율을 중시하는 '아웃풋 중심의 독서법'이다. 


이과식 사고의 특징은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하나는 '요소마다 분해하기'이고, 다른 하나는 '직접 실험하기'이다. 요소 분해하기를 응용한 독서법으로는 '요소분해법'이 있다. 저자는 난해한 책을 독파해야 할 때 '모르는 것은 망설이지 말고 덮어버리기'와 '조각내 생각해기' 기술을 사용한다. 모르는 것은 망설이지 말고 덮어버리기는 말 그대로 책을 읽다가 모르는 것이 나왔을 때 굳이 사전을 찾아보거나 힘들여 생각하지 말고 아는 것으로 넘어가는 것이다. 모든 저자가 단번에 이해가 될 만큼 완벽한 글을 쓰는 건 아니다. 모르는 게 있으면 저자가 잘 못 쓴 탓이라고 여기고 다음으로 넘어가는 편이 독서에도 도움이 되고 정신 건강에도 좋다. 


조각내 생각하기는 책을 읽기 전에 목차를 확인하고 소제목 단위로 읽어나가면서 전체를 이해하는 것이다. 책 읽기를 꺼리는 사람 중에는 책을 읽을 때 첫줄부터 마지막줄까지 빠짐 없이 읽고 완벽하게 이해해야 한다고 여기는 사람이 의외로 많다. 물론 이는 잘못된 생각이다. 그 어떤 책도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완벽하게 읽을 필요가 없고, 그렇게 읽을 수도 없다. 독서의 목적은 완독이 아니라 재미 또는 효용이다. 책을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완벽하게 읽는 편이 훨씬 재미있고 더 큰 효용을 준다면 그렇게 해도 되지만, 재미를 반감시키고 더 큰 효용을 주지도 못한다면 굳이 그럴 필요 없다. 


책을 읽을 때 속독이 좋은지 정독이 좋은지, 장시간 독서가 좋은지 단시간 독서가 좋은지, 메모를 하는 게 좋은지 나쁜지 등에 관해서는 사람마다 의견이 갈린다. 직접 실험하기가 몸에 밴 이과 출신 독자라면 하나 하나 직접 시도해보고 자신에게 가장 잘 맞는 방법을 찾는 것이 좋다. 나의 경우, 소설은 정독하지만 소설 외 장르는 필요한 부분만 발췌해 읽는다. 책을 읽을 때 메모는 하지 않고 인상적인 부분에 포스트잇을 붙여두었다가 나중에 따로 필사한다. 한 권만 집중적으로 읽기보다는 여러 권을 한꺼번에 조금씩 읽는 편이고, 독서는 주로 출퇴근 시간이나 자기 전 시간에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