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대하고 게으르게
문소영 지음 / 민음사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 리뷰를 쓴 지 올해로 10년째다. 대학교 2학년 때 생활도서관이라는 대학 내 자치기구에 가입했는데 그곳에서 제법 많은 책들을 읽었다. 책을 읽으면 뭐라도 쓰고 싶어졌고, 그렇게 쓴 글을 누구라도 읽어줬으면 했다. 그래서 개인 블로그를 만들어 책 리뷰를 쓰기 시작했다. 리뷰라고 해도 처음에는 책이 좋았다, 재미있었다, 이런 감상이 전부였다. 책이 좋았다면 왜 좋았는지, 안 좋았다면 무엇이 안 좋았는지 같은 구체적인 내용은 안 썼다. 아니, 안 쓴 게 아니라 못 썼다. 그걸 알아보고 적확한 문장으로 풀어낼 깜냥이 부족했다. 10년이 지난 지금은 좀 나아졌을까. 이 책을 읽기 전에는 내가 쓴 리뷰에 만족하는 마음이 아주 없지 않았는데, 이 책을 읽고 나서 자신감이 확 떨어졌다. 이렇게 충실하고 근사한 리뷰를 오랫동안 꾸준히 써온 프로 리뷰어인 저자도 글을 쓰기 전에는 싫고 괴롭고, 글을 쓸 때는 게으른 자신을 채찍질하며 쓴다니. 나는 아직 갈 길이 멀어도 한참 멀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저자는 어릴 때 천재성을 발휘한 예술가나 학자들보다는 나이 들어 뒤늦게 꽃을 피운 예술가나 학자들에게 관심이 많다는데 나도 그렇다. 어릴 때는 모차르트처럼 성인이 되기 이전에 주목받은 천재들의 이야기에 호기심이 동했는데, 나이가 들수록 박완서나 박경리처럼 성인이 된 이후에 데뷔해 죽기 직전까지 일을 놓지 않았던 사람들의 이야기가 마음을 울린다. 사노 요코도 그렇다. 사노 요코도 무사시노 미술대학 재학 시절부터 그림으로 돈을 벌어 암으로 죽기 직전까지 왕성한 활동을 했다. 이는 이들에게 글과 그림이 도달해야 할 예술이나 취미로 하는 유희가 아니라 경제 활동을 위한 수단, 사회적 인간으로 존재하기 위한 방편이었기 때문이기도 하다. <일간 이슬아>의 이슬아가 사람들에게 자신을 '작가'가 아니라 '연재 노동자'라고 소개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이는 내가 그동안 천재를 꿈꾸던 어린이 상태에서 벗어나 먹고사는 게 제1목표인 때묻은 어른이 된 것과 무관하지 않다.


비록 먹고사는 일이 가장 중한 때묻은 어른이 되었을지라도 할 말은 하자는 저자의 주장에도 깊이 공감한다. 저자는 짐 자무시의 영화 <패터슨>을 보고 '불편했다기보다 약간 씁쓸했던 장면'이 딱 하나 있었노라고 고백한다. 그것은 시를 쓰는 버스 운전기사 패터슨이 저녁 산책을 하다가 양아치스러운 십 대들을 마주치는 장면이다. 이 장면을 보고 저자는 패터슨이 아무 거리낌 없이 십 대들에게 다가가 아무렇지 않게 대화를 나누고 아무 일 없이 각자 갈 길 갈 수 있었던 것은, 패터슨이 '190센티미터 가까운 키에 떡 벌어진 어깨에 해병대 출신인 유럽계 인종 남자'였기 때문이라는 생각을 떠올렸다. 만약 패터슨이 여자였다면, 남자라도 소수 인종이거나 왜소했다면 해당 장면의 인상은 전혀 달랐을 것이다. 저자는 이런 생각들을 떠올릴 때마다 '프로불편러'라는 말을 듣는 것이 불편하다. 성폭행이나 학교 폭력 같은 사건이 발생했을 때 가해자가 아니라 피해자를 비난하고, 피해자의 행실 운운하는 사람들이 꼭 있는 것도 불편하다.


프로불편러가 열 명이 모이고 백 명이 모이면 세상에 없는 예술 작품이 탄생한다는 것도 믿는다. 대표적인 예가 2017년 아카데미 작품상을 수상한 기예르모 델 토로 감독의 영화 <셰이프 오브 워터>다. 이 영화는 기존 영화들이 여성을 성녀 또는 창녀로 묘사하던 관례를 완전히 무시한다. 착하고 온순하지도 않고 통상적인 미녀도 아니고 남성의 욕망에 끌려다니지도 않는 여성 주인공 '일라이자'의 모습을 통해 그동안의 영화들이 얼마나 여성을 왜곡된 모습으로 묘사했는지를 보여준다. 나아가 여성이고, 가난하고, 장애로 말을 못 하는 일라이자가 자기보다 더 힘든 처지에 놓인 괴생명체에게 연민을 느끼고 사랑에 빠지는 모습을 통해 그동안의 영화들이 묘사했던 '사랑'이 얼마나 주류 중심적이었는지를 알게 해준다. 어떤 영화가 기존의 통념이나 관례를 답습하는 방식으로 게으르게 만들어진 영화인지, 아니면 다른 영화들이 미처 담아내지 못했거나 일부러 무시했던 소수자들의 목소리에 주의를 기울이며 성실하게 만들어진 영화인지 제대로 보게 해준다. '다시 보게(re-view)' 해준다.


그동안 나는 리뷰를 쓰는 데에만 급급해 정작 독자가 리뷰의 대상을 '다시 보게' 만들지는 못했다. 독자가 놓칠 만한 점을 찾아내거나 불편했던 점을 용감하게 지적하는 역할을 충실히 했다고 자신 있게 말할 수 없다. 나는 언제쯤 이런 리뷰를 쓸 수 있을까. '광대함'은 없고 '게으름'만 있는 지금의 나로선 힘들 거야, 아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