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번째 페미니스트
서한영교 지음 / arte(아르테) / 2019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남자도 페미니스트가 될 수 있을까? 2018년 등단한 시인 서한영교의 책 <두 번째 페미니스트>는 '남자도 페미니스트가 될 수 있다'고 말한다.


저자가 페미니즘 - 정확히는 성차별 문제를 인식한 것은 열아홉 살이던 2001년의 일이다. 그때까지 저자는 대한민국의 평범한 남성들이 대개 그렇듯이 '귀한 아들' 대접받으며 밥은 물론 빨래나 설거지 한 번 해보지 않고 남녀 간에 차별이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지도 못한 채 살고 있었다. 문학 소년이었던 저자는 '읽다가 죽어도 좋을 만큼' 시를 좋아했는데, 어느 날 창작과비평사 온라인 게시판에 박남철 시인의 소위 '욕시'가 올라오는 사건이 벌어졌다. 김정란 시인을 두고 "암똥개", "벌린 x"등 온갖 욕설이 난무하는 시였다.


무슨 일이 일어났기에 이렇게 끔찍한 시를 썼는지 궁금해 상황을 알아봤다. 상황은 이러했다. 한 술자리에서 막 등단한 여성 시인이 박남철 시인으로부터 성희롱과 구타를 당했다. 이후 박남철 시인에게 성폭행당할 뻔했다는 편집자, 학생 등의 고백이 이어졌다. 그러나 대다수 문인과 문학 출판사는 침묵으로 일관했다. 저자는 이를 계기로 한국 문단에 패거리 권력이라는 것이 있고, 그것은 대형 출판사를 중심으로 한 남성 문인들을 위주로 한 권력이라는 걸 알게 되었다. 그리고 이는 비단 문단에서만 벌어지는 현상이 아니라 전 사회에 만연한 현상이라는 것도 알게 되었다.


내가 살고 있는 이 세계는 여성이 남성에 의해 착취당하고 있었다. 

남성은 권력 집단이었다. 그렇기에 한 여성 시인을 두고 아무렇지 않게 폭언을 일삼아도 

아무도 말리는 사람이 없었다. 그것을 알고 난 뒤로 세계가 뒤틀렸다. (16쪽) 


그 이후로 저자는 많은 것들이 불편해졌다. 왜 집안일은 엄마가 다 하는 걸까. 왜 아내들은 바쁜 아침에 남편 아침밥을 차려야 할까. 시장에 가면 왜 온통 할머니와 아주머니들뿐일까. 왜 정치인들이나 기업인들은 죄다 남자들일까. 왜 여자 선생님들은 결혼을 하거나 출산을 하면 학교에서 볼 수 없게 되는 걸까. 왜 여자들은 귀갓길 택시 안에서 불안해하는 걸까. 왜 여자들은 밤길을 조심해야 할까. 왜 여자들은 속이 비치는 블라우스를 입거나 짧은 바지를 입었다는 이유로 남자들한테 '밝히는 애'라느니 "아예 나 먹어주세요, 광고를 하는구나." 같은 말을 들어야 하는 걸까.


그 뒤로 저자는 페미니즘 공부를 시작했다. <IF>라는 페미니즘 잡지를 구독하고, 대학에서는 총여학생회에 들어가 활동하기도 했다. 어머니 성을 붙여서 서한영교라는 이름을 본격적으로 쓰기 시작했다. 페미니즘 고전이라 불리는 책을 탐독하고, 여성 단체에서 진행하는 강좌를 수강했다. 위안부 문제를 위한 활동도 했다. 감동도 컸지만 괴로움도 컸다. '남녀', '부모'처럼 남성을 우선시하는 단어를 무의식적으로 사용하는 습관도 고쳐야 했고, 가끔 누가 너무 잘 어울리는 옷을 입고 와도 외모 평가한다는 말을 들을까 봐 참아야 했다. 페미니스트라고 하면 남성 공동체로부터 은밀하게 또는 공공연하게 밀려드는 압박과 차별도 상당했다.


그런 저자가 더욱 적극적인 페미니스트가 된 건 지금의 아내 덕분이다. 저자의 아내는 시각장애인이다. 비장애인-페미니스트 남편으로서 가정에서 아내의 몫까지 해내고 싶었지만, 남편이 아무리 노력해도 임신과 출산, 육아는 아내가 감당해야 할 몫이 더 컸다. 그럴수록 저자는 아이가 엄마 뱃속에서 자라고 세상에 나오고 무럭무럭 자라는 전 과정에 더욱 적극적으로 임했다. 아빠도 엄마도 아이도 집사람. 집에서 아빠와 엄마의 역할이 나누어져 있는 게 아니고, 아빠의 역할은 돈을 벌어오는 것만이 아니란 걸 실천으로 증명했다.


공동육아를 하는 저자를 두고 어떤 사람들은 "남자가 무능력하다."라고 했다. 어떤 사람은 저자를 가리켜 '맘충'이라고도 했다. 저자는 이런 일들을 겪으며 이 사회는 단순히 여성을 혐오하는 것이 아니라 여성성, 여성적인 것, 남성에게 속하지 않는 것을 전부 불편해하고 부정한다는 느낌을 받았다. 그런 사회 분위기 속에서 상처 입는 건 여성만이 아니다. 있는 그대로의 나 자신과 사회가 규정한 남성 규범이 일치하지 않는 남자들은 전부 상처 입는다. 진정한 자기 자신이 아닌 존재를 연기하게 되고, 그 과정에서 자아가 힘들어진다.


세상이 바뀌지 않는다는 말을 나의 삶을 바꾸지 않는 변명으로 삼지 않으려 한다. 

"다른 세상은 없다. 다른 삶의 방식이 있을 뿐이다."(자크 메스린)라는 문장을 떠올리며 

두 번째 페미니스트,라는 이름을 나에게 붙여본다. (291쪽) 


사실 이 책을 읽기 전까지만 해도 남자는 페미니스트가 될 수 없다, 될 수 있다 해도 여자만큼 절실할 수는 없다고 생각했는데 이 책을 읽고 생각이 바뀌었다. 나보다 훨씬 오래전부터 페미니즘을 공부하고 진지하게 성찰해 온 저자를 보면서 남자도 충분히 페미니스트가 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저자의 다음 행보가 기대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