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칸트인가 - 인류 정신사를 완전히 뒤바꾼 코페르니쿠스적 전회 서가명강 시리즈 5
김상환 지음 / 21세기북스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울대에 가지 않아도 서울대 학생들이 듣는 강의를 들을 수 있는 21세기북스 '서가명강' 시리즈 제5권이 출간되었다. 서울대학교 철학과 교수 김상환이 집필한 <왜 칸트인가>이다.


철학사는 왜 칸트 이전과 이후로 나뉠까. 서양철학사에서 가장 위대한 철학자를 꼽으라면 단연 칸트다. 서양철학사의 5대 천왕을 꼽으라면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데카르트, 칸트, 헤겔이고, 이 중에서 단 한 명만 꼽아야 한다면 많은 경우 칸트 아니면 플라톤을 꼽을 것이다. 그만큼 칸트가 서양 사상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한다는 뜻이다. 칸트 이전과 이후의 철학은 어떻게 다를까. 이는 칸트의 3대 비판서와 이 저작들이 불러온 복수의 철학 혁명을 이해해야 알 수 있다.


칸트의 3대 비판서는 <순수이성비판>, <실천이성비판>, <판단력비판>이다. 먼저 <순수이성비판>에서 칸트는 주체와 대상의 관계를 전도시켰다. 칸트 이전에는 인식의 출발점에 대상이 있고 주체는 그 대상을 수동적으로 비추는 거울로 간주되었다. 반면 칸트는 인식의 중심에 주체를 두고, 인식을 주체의 능동적 종합의 산물로 보았다. 칸트는 인식의 발생 조건을 주체의 내면에서 찾았고, 마음에 대한 새로운 모델을 수립해 근대 과학에 부합하는 인식론을 구축했다. 이 모델은 오늘날의 인공지능이 설정하는 인지 모델과 매우 흡사하다.


<실천이성비판>에서는 '덕' 윤리를' 의무'의 윤리로 전도시켰다. 덕 윤리란 선 개념이 중심에 있고 그 둘레를 도덕법칙이 회전한다. 반면 의무의 윤리에선 도덕법칙이 중심을 차지하고 그 둘레를 선 개념이 회전한다. 쉽게 말해 덕 윤리에선 착하고 올바르게 사는 게 미덕이다. 의무의 윤리에선 법과 규칙을 준수하며 사는 게 미덕이다. 덕 윤리는 고대 윤리를, 의무의 윤리는 근대 윤리를 대변한다. 덕 윤리는 종교에 한없이 가깝고, 의무의 윤리는 법적 추론과 유사하다.


<판단력비판>은 취미 판단과 목적론적 판단을 분석한다. 취미 판단이란 아름다움을 감식하고 향유하는 판단이다. 목적론전 판단이란 기계론적 자연관을 대체할 유기론적 자연관의 가능성을 정초하는 판단이다. 칸트는 세 비판서를 통해 근대 과학, 근대 윤리, 근대 예술을 정초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다시 말해 근대 이후의 과학과 윤리(법과 정치 포함), 예술을 공부하는 사람이라면 칸트를 배우지 않고 넘어갈 수 없고, 칸트를 배우지 않았다면 사이비라는 뜻이다. ​ 


학부에서 정치외교학을 전공한 내게도 칸트는 친숙한 이름이다. 국제정치학을 공부하다 보면 칸트의 '영구평화론'을 만나게 된다. 칸트는 1795년에 <영구 평화를 위하여>라는 저작을 발표했다. 이 저작에서 칸트는 역사 진보의 마지막 단계로서 세계적 단위의 영구 평화를 달성하기 위한 조건을 제시한다. 단일한 세계국가를 건설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현실상 불가능하므로 국제법과 세계 법정을 수립할 것을 촉구한다. 실제로 칸트의 이런 주장은 국제연합(UN)이 창설되는 데 모태가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