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들은 어떻게 세상의 중심이 되었는가 - 김대식의 로마 제국 특강
김대식 지음 / 21세기북스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을 읽어내는 과학>, <어떻게 질문할 것인가> 등을 쓴 KAIST 김대식 교수의 새 책이다. 과학과 인문학 모두에 통달한 저자가 21세기 대한민국에서 하필 지금 '로마 제국'에 관한 책을 들고 나온 이유는 무엇일까. 저자가 로마 제국에 관한 책을 쓴 이유는, 단순히 모든 길은 로마로 가고 서양 문명의 대부분은 로마 제국에 빚을 지고 있기 때문만은 아니다. 이 책은 놀랍게도 로마 제국의 흥망성쇠를 기술하기 이전에 인류 문명의 기원에 관한 이야기로 시작한다.


알다시피 현재 인류의 조상인 호모 사피엔스의 역사는 인류의 가장 오래된 직계 조상이라고 볼 수 있는 오스트랄로 피테쿠스가 인류, 즉 '호모'와 분류되기 시작한 300만 년 전에 시작되었다. 호모 사피엔스는 30만 년 전 동아프리카 초원에 처음 등장한 이후 유라시아 대륙으로 이주하며 퍼졌다. 아프리카 대륙을 떠난 호모 사피엔스는 기원전 3000년경 야생마를 가축화하는 데 성공했다. 이후 호모 사피엔스는 유랑하고 목축하는 생활에서 정착하고 농사짓는 생활로 옮겨갔다. 그러면서 점차 사회적 협업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사회적 협업에 필요한 언어 능력이 발달되며 뇌가 비약적으로 발전했다. 예술, 종교, 문화 등의 현상도 생겨났다.


이후 세계 각지에서 문명이 발생했고, 지중해를 사이에 두고 미케네 문명과 이집트 문명이 융성했다. 로마는 카르타고가 그리스를 멸망시키고, 그 카르타고를 멸망시키면서 사실상 지중해의 패자(覇者)로 자리매김했다. 로마의 강점 중 하나는 현실주의다. 로마는 전통을 고수하기보다는 지금 도움이 된다면 바로 바꿔버리는 문화를 가지고 있었다. 로마는 카르타고와 치르는 해전에 이기기 위해 전쟁에 필요한 배를 열심히 개발했고, 다양한 전술을 만들어내 전투력을 높였다. 이 과정에서 로마의 기술이 크게 발전하고 정치, 사회, 문화가 확실하게 자리 잡았다.


그랬던 로마가 결코 영원한 영광을 누리지 못하고 멸망한 이유는 무엇일까. 저자는 '불평등'이라고 답한다. 로마는 직업군인이 아닌 시민군인으로 군대를 운영했다. 그조차도 경제력이 있어서 스스로 무기와 갑옷을 조달할 수 있는 사람들만이 시민군인이 될 수 있었다. 전쟁이 터지면 중산층 가정의 아버지 또는 장남이 참전했고, 그동안 수입원이 없어진 가족들은 세넥스(일종의 귀족)의 노예로 전락했다. 전쟁에서 승리하면 엄청난 수의 노예가 생기는데 이 또한 세넥스의 차지가 되었다. 중산층 누구도 무료로 일하는 노예보다 더 저렴하게 일할 수 없으니 실업난이 극심해졌다. 공화정 마지막 시기에 로마의 실업률이 70~80퍼센트에 육박했을 정도다.


이런 상황에서 공화정이 몰락하고 삼두정치 끝에 옥타비아누스가 정권을 잡았다. 옥타비아누스는 사실상 왕 또는 황제였으나 스스로를 왕 또는 황제라고 칭하지 않고 아우구스투스라고 칭했다(아우구스투스란 최고 존엄이라는 의미의 라틴어다). 이렇게 아우구스투스의 시대가 개막되고 제국이 보수화되면서 로마는 기존의 활력을 잃고 멸망을 향해 치닫게 되었다. 내용이 마냥 쉽지만은 않지만 한 번쯤 읽어볼 만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