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하지 않은 프리랜서 라이프 - 회사도 부서도 직급도 없지만
김지은 지음 / 지콜론북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잘 되면 사장 부럽지 않지만 안 되면 아르바이트보다 못한, 프리랜서 생활의 희로애락을 담은 책 <프리하지 않은 프리랜서 라이프>를 읽었다.


프리랜서 디자이너, 일러스트레이터로 활동 중인 저자 김지은은 한때 야근을 밥 먹듯이 하는 직장인이었다. 당시 저자는 자신이 일도 곧잘 하고, 대인관계도 잘 유지하고 있다고 생각했다. 회사에서 하라는 대로 하고 살았더니 연차도 쌓이고 연봉도 조금씩 올라가고 직급이라는 것도 생겼다. 하지만 내면은 불안했다. 나는 누구인지, 내가 뭘 하고 있는지, 스스로에 관한 확신이 점점 희미해져갔다. 회사에선 일 잘 하는 일개미, 친구들에게는 재미있고 넉살 좋은 친구였지만, 가족들에게는 짜증과 무뚝뚝함으로 일관했다. 진심으로 웃어본 게 언제인지 까마득했다.


명랑한 나를 되찾겠다고 회사를 그만두고 프리랜서가 된 것 까지는 좋았는데, 오 마이 갓...! 프리랜서로 산다는 건, 직장인으로 사는 것과는 또 다른 차원의 어려움이 있었다. 저자는 퇴사 이후에 할 일을 미리 준비하지 않았기에 본의 아니게 퇴사 다음 날부터 '프리 백수 시절'을 보내야 했다. 언젠가 일이 들어올 거라는 막연한 희망이 있었지만, 아무 연락 없이 하루하루가 흐를 때에는 너무나 불안했다. 얼마 후 일이 꼬박꼬박 들어오는, 나름 잘 나가는 프리랜서가 되었지만, 이 때는 또 이 때대로 어려움이 있었다. 프리랜서는 출근도 퇴근도 없지만, 상시 야근이라는 무시무시한 괴물을 안고 산다. 재밌는 일, 가슴이 뛰는 일을 하고 싶어서 프리랜서가 되었는데, 프리랜서가 되고 보니 먹고살기 위해 어쩔 수 없이 해야 하는 일이 더 많았다.


프리랜서가 되어서 좋은 일도 있다. 저자는 두 권의 책을 낸 작가이기도 하다. 서점 매대에 누워 있는, 자신의 이름이 적힌 책들을 보고 있노라면 뿌듯한 마음에 동네방네 자랑하고 싶어진다. 관성대로 계속 회사에 다녔다면 책을 쓸 시간도 없고 용기도 못 냈을 것이다. 때론 마감으로 몸서리칠 때도 있지만, 프리랜서는 직장인에 비해 시간 활용이 자유로운 게 사실이다. 저자는 직장인들이 종종걸음으로 출근하는 아침에 늘어지게 늦잠을 잘 때, 콩나물 시루같은 출퇴근길 지하철에 안 타도 될 때, 남들 열심히 일하는 오후 시간에 카페에서 여유를 즐길 때 프리랜서라서 참 좋다고 생각한다. 자유롭게 여행을 떠날 수 있는 것도 프리랜서 라이프의 매력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