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태어난다면, 한국에서 살겠습니까 - 한강의 기적에서 헬조선까지 잃어버린 사회의 품격을 찾아서 서가명강 시리즈 4
이재열 지음 / 21세기북스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불신과 불만, 불안이 판치는 오늘날의 한국 사회를 서울대 교수는 어떻게 진단하고 평가할까. 서울대 교수진의 명강의를 책으로 만날 수 있는 '서가명강' 시리즈 제4탄,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이재열의 책 <다시 태어난다면, 한국에서 살겠습니까>에 그 답이 나온다.


저자는 현재의 한국 사회를 '불신, 불만, 불안'의 '3불 사회', 국가는 산업화와 민주화에 성공한 선진국이 되었지만 국민 대다수는 이 모든 업적을 '남의 이야기'로 여기는 '역설의 사회'라고 진단한다. 한국이 3불 사회인 건 당연한 일이다. '불신'은 과거의 경험, 즉 제도나 시스템을 믿을 수 없는 데에서 비롯되었다. '불만'은 그동안 지속된 경제성장으로 인해 사람들의 눈은 높아진 반면 성취가 그에 미치지 못하는 데에서 발생한다. '불안'은 앞으로 닥칠 미래, 특히 노후에 대한 준비가 안 되어 있어서 생긴다.


불신과 불만, 불안은 세대를 불문하고 벌어지는 현상이다. 아버지 세대인 베이비붐 세대는 '개천에서 용 나는' 계층 간 이동이 가능한 사회 분위기 속에서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경험하며 성장해 노후 대비에 고심하고 있다. 반면 아들 세대인 에코 세대는 계층 간 이동이 점점 막히는 사회 분위기 속에서 외환위기의 후폭풍을 체험하며 성장해 실업난에 시달리고 있다. 한국은 세대 간 이념 갈등도 심각하다. '태어나서 직접 경험한 사건 중 가장 충격을 받았던 사건은 무엇입니까?"라고 물었을 때, 나이 든 사람들은 한국전쟁을 떠올린 반면, 젊은 사람들은 세월호 사고를 떠올렸다. 이는 나이 든 사람들이 안보 문제에 민감하고 젊은 사람들이 사회 안전망 문제에 민감한 것과 무관하지 않다.


그렇다면 이렇게 '병든' 한국 사회에서 '나'라는 개인이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일까. 저자는 네 가지 팁을 제시한다. 첫째는 몸을 잘 다스려 신체적 건강을 유지하고 정신적으로 긴장을 놓지 않는 것이다. 둘째는 성공의 기준을 바꾸는 것이다. 주위의 눈보다는 자신만의 성공 기준을 정하고 내면이 만족스러운 삶을 유지하는 것이 성공으로 가는 지름길이다. 셋째는 관계를 풍요롭게 하고 사회적 고립에서 벗어나는 것이다. 주위 사람들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는 것은 궁극적으로 자신의 웰빙을 높이는 길이다. 넷째는 삶의 의미에 대해 반추하는 것이다. 내가 죽은 후 나는 주위 사람들에게 어떤 모습으로 기억될까. 이런 생각을 하면 영적 생활뿐 아니라 현실의 삶 또한 풍요로워질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