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도 아직 나를 모른다 - 뇌과학과 임상심리학이 부서진 마음에게 전하는 말
허지원 지음 / 홍익 / 2018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은 가면 증후군, 낮은 자존감, 인정에 대한 집착, 관계 집착, 완벽주의적 불안, 우울증 등에 시달리는 심리의 원인을 분석하고 해결책을 제시한다. 저자는 낮은 자존감, 불안과 우울, 삶의 의미와 자신의 가치에 대해 생각하느라 자꾸만 기운 없어지고 힘들어하는 사람들에게 '당신은 당신이 아는 그런 사람이 아니다'라고 말한다.


이런 사람 앞에서는 이렇게 행동하고, 저런 사람 앞에서는 저렇게 행동하는 나 자신이 가식적이고 위선적이라고 느껴지는가. 사람이 혼자 있을 때, 가족과 있을 때, 친구와 있을 때, 연인과 있을 때, 회사에서 일할 때 태도가 달라지고 성격이 바뀌는 건 너무나 당연한 일이다. 이런 태도 전환을 두고 자기 자신을 비난하고 평가절하해서는 안 된다. 칭찬을 받거나 좋은 평가를 받을 때 반사적으로 '아니에요.'라고 말하는가. 그렇게 누가 칭찬을 하는데 자꾸 정색하면 주위 사람들은 다음에 칭찬할 일이 생겨도 주저하게 된다. 그러면 이런 생각이 들 것이다. '왜 아무도 나를 칭찬해주지 않지? 나는 정말 쓸모없는 사람인가?'


유아기에 부모로부터 안정적인 양육이나 관심을 받지 못해 애정 결핍이 되었는가. 실제로 안정 애착이 형성되지 않아서 타인에 대한 의존이나 집착을 지나치게 많이 하는 사람들이 있기는 하지만, 이제 와서 부모에게 '그때 내게 왜 그랬어?'라고 따지기에 우리는 이미 많이 성장했고 그들은 너무 늙었다. 그렇다면 우리 스스로 '재양육자'가 되는 건 어떨까. 나 스스로 나를 토닥토닥 두드려주는 것도 좋다. 부모가 아기를 돌보듯, 나 자신에게 맛있는 음식을 먹이고 따뜻한 물로 목욕시키고 따끈한 차를 마시게 하는 것도 좋다.


'나는 왜 살까?', '이렇게 사는 게 무슨 의미가 있을까?' 같은 생각 때문에 괴로운가. 저자는 이렇게 말한다. "삶에 큰 의미가 있을 필요가 없습니다. 살아있는 것 자체가 의미이고, 그것만으로 당신은 다 한 겁니다." 저자는 이제부터 '왜' 말고 '어떻게'를 고민하라고 충고한다. '운동을 왜 해야 하지?', '공부를 왜 해야 하지?' 이런 건 아무리 고민해봐도 답이 없다. 차라리 '규칙적인 운동을 어떻게 해야 하지?', '꾸준히 공부를 하려면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 이런 걸 고민하면 답을 쉽게 찾을 수 있고, 그냥 일단 한 번 해보는 과정에서 뜻하지 않은 즐거움과 보람을 얻을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