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로스 사이언스 - 프랑켄슈타인에서 AI까지, 과학과 대중문화의 매혹적 만남 서가명강 시리즈 2
홍성욱 지음 / 21세기북스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문학, 역사, 철학을 좋아하는 전형적인 문과생인 나는 오랫동안 수학이나 과학 같은 이과 계통의 학문과 거리가 멀었다. 그러다 최근 과학의 재미에 눈을 뜨면서 교양 수준의 과학서를 꾸준히 챙겨 읽고 있는데, 어떤 책들은 교양 수준인데도 '이알못(이과를 알지 못하는 사람)'인 나에게는 어려워 중도에 포기하는 경우가 왕왕 있다. ​ 


그런 나에게도 아주 쉽고 재미있는 교양 과학서를 만났다. <크로스 사이언스>의 저자 홍성욱은 현재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이 책은 저자가 서울대학교에서 강의한 '과학기술과 대중문화'라는 수업에 기반한다. 이공계열 학생들과 인문사회계열 학생들이 함께 듣는 수업이었는데, 이 수업을 통해 과학기술을 문화와 사회적 맥락 속에서 생각할 수 있게 되었다는 학생들의 호평에 힘입어 수업 내용의 일부를 책으로 엮었다. ​ 


이 책은 과학과 대중문화의 '크로스(cross, 교차)'를 볼 수 있는 여러 사례를 소개한다. 책에서 다루는 사례는 <프랑켄슈타인>, <1984>, <멋진 신세계> 같은 소설, <닥터 스트레인지러브>, <메트로폴리스>, <엑스마키나>, <블레이드 러너> 같은 영화, <공각기동대> 같은 애니메이션,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같은 일제강점기 시대의 우리 소설, 대중 서적 <코스모스>처럼 다양하다.


이 책에는 문학을 좋아하고 즐겨 읽는 나조차도 몰랐던 문학계의 '뒷이야기'가 많이 나온다. 영국 작가 메리 셸리는 어쩌다 <프랑켄슈타인> 같은 특이한 소설을 쓰게 되었을까. 저자에 따르면, <프랑켄슈타인>은 작가가 갑자기 상상력을 발휘해 쓴 괴작이 아니라 당시 시대상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는 작품이다. <프랑켄슈타인>이 발표된 1818년 직전에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프로메테우스 열풍이 불었다. 미국의 정치인이자 과학자인 벤저민 프랭클린이 번개를 병에 담아 이것이 전기임을 입증하는 실험에 성공하면서 '모던 프로메테우스'라는 평을 받았고, 이 밖에도 여러 과학자들이 기존에 불가능하다고 생각했던 영역을 넘어 금기에 도전했다. 메리 셸리는 이들의 모습을 보고 새로운 지식을 발견한 대가로 고통을 당하는 프랑켄슈타인 박사의 이미지를 떠올렸을 가능성이 높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가장 유명한 여성 과학자로 손꼽히는 마리 퀴리는 어떤 인물이었을까. 저자는 마리 퀴리의 딸 에브 퀴리가 어머니를 기리면서 쓴 자서전을 인용해 마리 퀴리의 실체를 알려준다. 마리 퀴리는 라듐을 연구하다 방사선에 노출되어 죽은 헌신적인 과학자로 알려져 있지만, 기록에 따르면 마리 퀴리는 물리학자인 피에르 퀴리와 결혼해 물리학계 사람들과 인연을 맺고, 남편과 함께 연구를 하며 공동저자로 이름을 올리는 방식으로 경력을 쌓은 전략가였다. 마리 퀴리는 과학자로서는 뛰어난 업적을 쌓았을지 몰라도 가정에서 좋은 엄마가 되지는 못했는데, 여성 과학자가 가정에서 좋은 엄마이기까지 해야 한다는 건 사실 과도한 요구다. 저자는 이런 식으로 여성 과학자들이 가정에서도 완벽한 '슈퍼우먼'이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건 잘못임을 지적하며, 여성들에게 불리하도록 '기울어진 운동장'의 각도를 바로잡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밖에도 과학과 인문학, 문화예술의 경계를 자유롭게 넘나드는 흥미로운 이야기들이 담겨 있다. 과학서(그것도 서울대학교 학생들이 배우는 수업 내용을 담은!)라고 어려워하지 말고 가벼운 마음으로 읽어봐도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