끌림 알랭 드 보통 인생학교 new 시리즈 7
The School Of Life 지음, 이주만 옮김 / 와이즈베리 / 2018년 10월
평점 :
절판




언제부터인가 '착한 사람'이라는 말이 무능한 사람, 재미없고 시시한 사람의 동의어로 쓰이고 있다. 대체 언제부터 사람들은 착한 사람이 되는 것을 꺼리기 시작했을까. 착한 사람이 되는 것은 정말 그렇게 꺼릴 만한 일일까. 


알랭 드 보통이 설립한 인생학교의 새 시리즈 <끌림>은 착한 사람에 관한 지혜와 통찰을 담고 있다. 이 책은 크게 3부로 구성된다. 제1부 '인트로'에는 착한 사람을 삐딱하게 보게 된 역사적 뿌리를 파헤친다. 저자에 따르면 착한 사람, 좋은 사람을 삐딱하게 보게 된 것은 기독교, 낭만주의, 자본주의, 에로티시즘의 영향이 크다. 기독교는 착한 사람을 무능한 사람으로 묘사한다. 낭만주의는 착한 사람을 재미없고 시시한 사람으로 묘사한다. 자본주의는 착한 사람을 실패한 사람, 가난한 사람으로 묘사한다. 에로티시즘은 착한 사람을 몸이 끌리지 않는 사람으로 묘사한다. 


제2부 '다정한 사람'과 제3부 '매력적인 사람'에는 착한 사람의 진정한 의미와 착한 사람이 되는 구체적인 방법이 나온다. 저자에 따르면 '착함'이라는 특성은 결코 단순하지 않다. 자비로운 사람, 공손한 사람, 솔직한 사람, 겸손한 사람 모두 착한 사람에 포함될 수 있다. 착한 사람이 되는 방법 또한 다양하다. 모두와 잘 지내는 사람, 부탁을 거절하지 못하는 사람, 본인의 의사나 감정과 상관없이 항상 공손하고 친절한 사람은 착한 사람이 아니라 호구다.


이 책에는 착한 사람이 되기 위해 관계 정리하는 법, 과잉 친절을 보이지 않는 법, 수줍음을 극복하는 법 등이 나온다. 이 중에 가장 인상적이었던 조언은 약점을 꼭꼭 숨기지 말고 적극적으로 드러내라는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평범한 사람처럼 보이기 위해' 자신의 별난 모습을 인정하지 않고 숨기려 애쓴다. 하지만 자기에게 별난 구석이 있음을 감추지 않고 대담하게 털어놓는 사람을 만날 때 우리는 즐거움을 느끼고 매력을 느낀다. 


착한 사람이 된다는 것은 상대에게 벽을 세우지 않고 문을 열어준다는 것이고, 상대가 문을 열고 들어오게 하기 위해서는 상대가 나에게 매력을 느낄 만한 유인을 마련해야 한다. 착한 사람으로 보이기 위해 자신의 별난 구석(=매력)을 꼭꼭 숨겼던 사람이라면 새겨들을 만한 조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