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임수의 심리학 - 눈에 보이는 것이 전부는 아니다!
김영헌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체 나는 그동안 몇 번이나 속임수에 걸려들었을까. 이제까지 눈에 띄는 사기나 속임수에 걸려본 적이 없어서 단 한 번도 속임수에 걸려든 적이 없다고 믿었는데, 이 책 <속임수의 심리학>을 읽으며 두 눈 똑바로 뜨고 당한 속임수가 얼마나 많을지 헤아릴 수도 없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 책을 쓴 김영헌은 현직 검찰청 수사과장이자 25년 차 베테랑 검찰 수사관이다. 사기와 횡령 등 각종 형사 사건을 전담해온 저자는 이 책에서 한국인들이 유난히 속임수에 잘 넘어가는 이유가 무엇인지 설명하고, 속임수가 악용하는 세 가지 심리를 분석하며, 사기꾼의 정체나 속임수를 간파하는 노하우를 소개한다. 


저자에 따르면 여러 속임수 기법에는 공통적으로 세 가지 심리가 있다. 바로 '욕망'과 '신뢰', 그리고 '불안'이다. 한국인들이 유난히 속임수에 잘 넘어가는 이유도 욕망과 신뢰, 불안과 관련이 깊다. 대박을 꿈꾸며 매주 로또를 사는 사람들, 너에게만 알려주는 정보라는 말에 혹했다가 쪽박 차는 '묻지 마 투자', 청와대와 국정원을 사칭하는 사람들의 말에 홀랑 넘어간 사람들은 전부 채울 수 없는 욕망에 사로잡힌 노예들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범죄는 모르는 사람에게 당하는 경우가 많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아는 사람에게 당하는 경우가 더 많다. 2017년 경찰의 범죄 통계에 따르면 타인에게 살해당하는 경우는 15.7%에 불과하지만, 동거 친족, 지인 등 가장 가까운 사람에게 당하는 경우는 52.6%에 달했다. 사기도 마찬가지다. 모르는 상대에게 금융 사기를 당하는 경우는 12.7%에 불과하지만, 아는 사람에게 당하는 경우는 87.3%에 달한다. 다단계 역시 친구, 선배, 후배 등 아는 사람에 의해 빠지는 경우가 80%를 차지한다.


저자는 상대의 말과 행동에 쉽게 현혹되지 않으려면 자기 머리로 생각하는 능력을 키워야 한다고 말한다. 사업이 잘 된다고 말하면서 갑자기 급하게 돈이 필요한다고 말한다. 언뜻 보기엔 그럴 수도 있겠지, 하고 넘길 수도 있지만 찬찬히 생각해보면 사업이 잘 되는 사람이 급하게 돈 빌릴 구석이 나밖에 없을 리 없다. 만난 지 얼마 안 되는 사람이 나에게 큰돈 벌 기회를 알려줄 가능성 역시 만무하다. 속고 나서 후회하지 말고 속기 전에 의심부터 하고 보라는 저자의 말에 절대적으로 공감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