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를 읽는 시간 - 나의 관계를 재구성하는 바운더리 심리학
문요한 지음 / 더퀘스트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은 본능적으로 즐거움을 추구하고 고통을 피한다. 그런데 왜 인간관계에서만큼은 고통을 놓지 않을까? 자신을 인격적으로 무시하는 상사에게 오히려 더 잘 보이려고 애쓰고, 과거에 자신을 학대하고 무시했던 부모에게 인정받으려고 노력하고, 자신을 함부로 대하고 심하게는 폭언과 폭력을 퍼붓는 애인 또는 배우자에게서 떠나지 못하는 걸까? 정신과 의사 문요한의 책 <관계를 읽는 시간>에 그 답이 나온다. 


사람들이 불행한 인간관계를 반복하는 이유는 '관계의 틀' 때문이다. 일정한 모양의 빵을 계속 구워내는 빵틀처럼 인간관계에는 일정한 틀이 있고 사람들은 무의식적으로 이를 반복한다. 문제는 이 틀이 어린 시절에 만들어졌다는 것이다. 이 틀은 '아이-어른'의 관계에서 만들어진 것이기에 일정 시기가 지나면 '어른-어른'의 틀로 업그레이드를 해야 한다. 그러나 어린 시절에 관계 손상을 겪은 사람들은 이 틀을 잘 바꾸지 못한다. 성인이 되어서도 어린 시절에 해결되지 못한 감정과 신념, 애착 갈망 등을 해결하고 싶어 하고, 이로 인해 왜곡되고 불행한 인간관계를 반복한다. 


저자는 몇 년 전부터 '바운더리(boundary)'라는 개념을 통해 인간관계의 문제와 해법에 접근하고 있다. 바운더리란 인간관계에서 '나'와 '나 아닌 것'을 구분하는 자아의 경계이자, 관계의 교류가 일어나는 통로를 말한다. 


스스로 착해서 손해를 보고 있다고 믿는 사람은 사실 착한 게 아니라 약한 것이다. 이 사람은 착해서가 아니라 자기를 스스로 돌보지 못할 만큼 자아가 약해서 인간관계가 힘들다. 자기를 희생하면서까지 선의와 친절을 베풀었는데 타인이 이를 인정해주지 않고 보상해주지 않으면 멋대로 상처를 받고 역으로 화를 낸다. 저자는 이를 '성숙한 착함'과 대비되는 '미숙한 착함'이라고 명명한다. '성숙한 착함'은 자기를 희생하면서까지 타인에게 과도한 친절과 배려를 베풀지 않으며, 친절과 배려에 따른 인정과 보상이 돌아오지 않아도 상처받지 않는다. 


왜 상처를 받았다는 사람은 많은데 줬다는 사람은 적을까. 저자는 이 또한 '나'와 '나 아닌 것'의 경계가 불분명한 미성숙한 태도에서 기인한다고 설명한다. 사람은 누군가와 가까워질수록 상대를 '남'이 아니라 '나의 일부'로 여기는 습성이 있다. 내가 말하지 않아도 상대가 내 마음을 알아주기를 바라고, 누가 뭐라고 해도 상대는 끝까지 내 편이기를 바라고, 상대가 나처럼 생각하고 내 마음에 들도록 행동하길 바라는 것은 이 때문이다. 하지만 '나'와 '너'는 분리된 개체이며 결코 동일한 존재가 아니다. 그러므로 나처럼 생각하지 않을 수도 있고 내 마음에 들도록 행동하지 않을 수도 있다. 


건강하지 못한 애착 관계를 지닌 사람은 상대가 늘 자기만 바라봐 주기를 바라고, 말하지 않아도 자신의 마음을 다 헤아려주기를 바란다. 바랄 수 없는 것을 바라고, 제멋대로 기대하고 제멋대로 실망한다. 저자는 애착 관계가 문제라고 해서 부모 탓만 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한다. 애착 관계가 백 퍼센트 부모 책임이라는 믿음은 잘못이고, 애착 관계가 한 번 고정되면 영원히 바꿀 수 없다는 믿음 또한 잘못이다. 저자는 일그러진 바운더리의 사례를 살펴보고, 행복한 관계, 건강한 바운더리를 만드는 방법을 제시한다. 최근에 읽은 인간관계 책 중에 가장 알차고 가장 유용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