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흔에게 (반양장) - 기시미 이치로의 다시 살아갈 용기에 대하여
기시미 이치로 지음, 전경아 옮김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이 드는 걸 좋아하는 사람이 있을까? 철모르는 어릴 때는 설날에 떡국 먹고 생일에 케이크 먹는 게 좋아서 한 살 두 살 나이 드는 걸 좋아하기도 했지만, 지금은 떡국도 케이크도 됐고, 더 이상 나이 들지 않게 해주는 약이 있으면 그거나 구해서 먹고 싶은 심정이다. 나처럼 나이 드는 걸 유쾌하게 받아들이지 못하는 독자들에게, 한국에서만 150만 부 이상 팔린 베스트셀러 <미움받을 용기>의 저자 기시미 이치로는 어떤 조언을 들려줄까. 


기시미 이치로의 신간 <마흔에게>에 따르면, 사람들이 나이 듦을 부정적으로 받아들이는 데에는 크게 두 가지 이유가 있다. 첫 번째 이유는 노화를 퇴화 또는 약화로 인식하기 때문이고, 두 번째 이유는 인생의 목표를 성공으로 보기 때문이다. 노화는 퇴화나 약화가 아니라 변화다. 계절이 봄에서 여름, 가을, 겨울로 바뀌는 것처럼, 사람의 인생도 탄생으로 시작해 노화를 거쳐 죽음으로 끝맺는다. 봄과 여름, 가을, 겨울 중에 우열이 없듯이, 젊음과 늙음, 탄생과 죽음에도 우열이 없다. 성공을 인생의 목표로 보는 사람들에게 노화는 성공을 방해하는 장애물일 뿐이다. 


하지만 과연 그럴까. 저자는 이룬 것 없이 늙고만 있다고 한탄하는 사람들에게 이렇게 물었다. "열여덟 살 시절로 돌아갈 수 있다면 돌아가고 싶습니까?" 놀랍게도 많은 사람들이 "아니오."라고 대답했다. 지금 알고 있는 것들을 그때도 안다면 모를까, 지금 지닌 지식과 경험을 깡그리 잊고 몸만 젊어진다면 지금보다 못하다고 말했다. 그 말인즉슨, 아무것도 이루지 못하고 허송세월한 것처럼 보이는 인생도 나름의 지식과 경험을 축적한 가치 있는 인생이라는 뜻이다. 그러니 자신의 인생을 부정적으로만 보지도 말고, 나이 듦을 거부하려고 하지도 말라고 저자는 충고한다. 


저자는 오십 세에 심근경색으로 쓰러져 큰 수술을 받았고, 아흔이 넘은 아버지를 혼자서 간병한 경험이 있다. 이 책은 저자 자신이 노화와 병환, 부모의 간병을 겪으며 스스로 깨닫고 터득한 지혜를 담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저자는 병으로 쓰러졌을 때 이렇게 아픈 몸으로 가족들을 고생시키느니 죽는 게 낫겠다는 극단적인 생각을 한 적이 있다. 그러나 이후 지인이 큰 병으로 쓰러졌을 때 걱정하는 가족들을 보면서, 인간은 사랑하는 사람이 비록 중태에 빠져 의식이 없을지라도 살아 있는 것만으로도 감사하다고 느낀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나이 듦이 덧없고 허무하게 느껴진다면, 어렸을 때 힘들었던 일을 다시 시작해보는 것은 어떨까. 저자는 쉰다섯 살에 플라톤의 <티마이오스>를 번역하기 시작해 쉰아홉 살에 완성했다. 젊을 때는 먹고사는 게 바빠서, 그리스어 실력이 짧아서, 인생 경험이 부족해서 끝까지 번역하지 못하고 도중에 포기했는데, 오십이 넘은 지금은 연구 실적을 걱정할 필요도 없고, 그리스어를 공부할 시간도 넉넉하고, 인생 경험도 풍부해서 아주 즐겁고 여유롭게 번역에 매진할 수 있었다. 저자의 어머니는 돌아가시기 전 병원에 입원해 도스토옙스키의 <카라마조프의 형제들>을 (저자의 낭독으로) 읽었다. 나이 듦을 걱정할 시간에 살아있음을 만끽하라는 저자의 메시지가, 아직 마흔이 되지 않은 나에게도 간절하게 다가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