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 끄기의 기술 -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것만 남기는 힘
마크 맨슨 지음, 한재호 옮김 / 갤리온 / 2017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아 존중감을 제대로 측정하려면 긍정적 경험을 어떻게 느끼는지가 아니라, 부정적 경험을 어떻게 느끼는지를 봐야 한다. 지미 같은 사람은 뭔가를 시도할 때마다 자신이 성공했다고 상상함으로써 문제를 외면한다. 자신에게 얼마나 만족하든, 이런 사람들은 문제를 정면으로 마주할 힘이 없는 나약한 자들이다. (69쪽) 


저자는 오랫동안 '최고가 아니면 최악'이라는 생각에 시달렸다. 자신은 '사랑받기 위해 태어난 사람'이므로 주변 사람들 중에 한 사람이라도 나를 사랑하지 않으면 문제가 있는 것으로 여겼고, 자신은 반드시 성공할 것이라고 믿었기에 조금이라도 일이 잘 안 풀리면 자포자기했다. 


그러던 어느 날 저자는 친구의 죽음을 계기로 삶과 죽음이 너무나 가까이 맞닿아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이때를 경계로 저자는 크게 변했다. 그때까지 저자는 다른 사람의 시선을 신경 쓰느라 옴짝달싹 못했다. 성공을 자신하면서도 실패가 두려워서 아무것도 하지 않았다. 친구가 죽고 나서 저자는 처음으로 진지하게 공부를 하기 시작했고, 50일 동안 논픽션 50권을 읽었고, 미국 동부의 명문 대학교에 편입했다. 언제 어디서 어떻게 갑자기 죽을지 모르는데 남의 신경을 쓰느라 아무것도 못 한다는 건 정말이지 바보 같은 짓이라는 걸 깨달은 덕분이다. 


저자는 삶은 아름답고, 누구나 사랑받을 자격이 있고, 간절히 원하면 온 우주가 도와준다는 식의 긍정적인 가르침을 결코 믿지 않는다. 차라리 삶은 엉망진창이고, 누구에게나 성공의 기회가 찾아오는 건 아니며, 간절히 원해도 안 되는 것이 많다는 걸 일찍 깨달을수록 사는 게 훨씬 편해진다고 조언한다. 그렇다고 아무것도 하지 않고 가만히 있으라는 것은 아니다. 성공에 대한 기대나 실패에 대한 두려움에 사로잡혀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보다는, 이런저런 생각 하지 말고 '그냥 하라'는 것이 저자가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다. 


저자는 살면서 겪게 되는 모든 일을 '100퍼센트 내 책임'으로 받아들이라고 충고한다. 여기서 책임은 잘못의 동의어가 아니다. 부모가 나를 학대한 것은 내 잘못이 아니다. 학교에서 따돌림을 당한 것은 내 잘못이 아니다. 하지만 학대한 부모를 원망하느라 내 인생을 소모하는 건 내 책임이다. 따돌린 아이들에게 복수한다고 내 인생을 망치는 건 내 책임이다. 저자는 자신을 방치하고 급기야 이혼한 부모를 오랫동안 원망했지만, 부모에 대한 관심을 끄고 원망을 잊은 순간 새 인생이 찾아왔다고 말한다. 과거를 곱씹으며 보내기에 주어진 인생은 너무나 짧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