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ney 2.0 - 테크놀로지가 만드는 새로운 부의 공식
사토 가쓰아키 지음, 송태욱 옮김 / 21세기북스 / 201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들은 자본주의에 문제가 있다고 말하면서도 무엇이 문제이고 이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지는 말하지 못한다. 자본주의가 최선은 아니지만 차선 정도는 된다고 여겨 큰 이견 없이 수용해왔으나, 이제는 더 나은 체제를 구현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렸다." 


<MONEY 2.0>의 저자 사토 가쓰아키는 일본의 마크 저커버그로 불리는 젊은 사업가다. 저자는 2007년 주식회사 미탭스를 설립해 대표이사로 취임했고, 2011년 인공지능을 활용한 애플리케이션 수익화 플랫폼을 사업화하여 현재는 연간 총 매출액 100억 엔이 넘는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시켰다. 저자는 홀어머니 슬하에서 가난하게 자란 자신이 젊은 나이에 거대한 부를 축적할 수 있었던 비결로 세상이 움직이는 원리를 이해한 것을 든다. 


저자에 따르면 현실은 대체로 세 가지 벡터가 서로 영향을 미치면서 미래의 방향을 결정한다. 세 가지 벡터란 바로 돈(경제), 감정(인간), 테크놀로지이다. 저자는 제4차 산업혁명이 진행 중인 지금, 경제계의 패러다임 역시 돈과 감정, 테크놀로지를 중심으로 혁명을 겪고 있다고 설명한다. 전형적인 예가 비트코인이다. 비트코인은 종래의 화폐 개념의 연장선상으로 이해하면 안 된다. 새로운 시대의 돈, 새로운 시대의 감정, 새로운 시대의 테크놀로지가 결합되어 탄생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바라봐야 한다. 


저자는 1부에서 지난 10년간 가장 주목해야 할 변화로 '분산화'를 든다. 이제까지 정부나 언론, 기업 등 소수가 독점하고 있던 정보가 다수의 대중에게 분산되면서 엄청나게 많은 변화가 일어났다. 이제 더는 중앙은행이 국가 경제를 완전히 통제할 수 없다. '좋아요'는 그 어떤 금전적 보상보다도 강력한 동기 유발 요인으로 작용한다. 팔로워 수나 평판 등이 그 자체로 돈이 되면서 기존의 노동과 자본 개념이 무너지고 있다. 저자는 이런 추세가 계속될 경우 돈이 아니라 평판이나 명성 등을 매개로 하는 경제권이 새롭게 형성될 것이라고 본다. 


저자는 2부에서 자본주의의 한계를 지적하고, 3부에서 새로운 시대에 걸맞은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한다. 저자는 돈이 최우선인 시대는 끝났으며 내면의 가치가 중요시되는 시대가 왔다고 본다. 일본에서 서른 살 전후 세대는 이미 자동차나 집, 시계 따위에 많은 돈을 지불하는 행위를 이해하지 못한다. 반면 쉰 살 전후 세대는 스마트폰 게임에 돈을 지불하거나 동영상을 보며 별풍선을 쏘거나 비트코인을 사는 사람들의 머릿속을 이해하지 못한다. 이런 시대에는 어떤 사업 아이템과 비즈니스 모델이 유효한지도 알기 쉽게 설명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