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엘리트의 탄생
임미진 외 4인 지음 / 북바이퍼블리 / 201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근 세계 최대의 화장품 기업이 한국의 모 여성 의류 온라인 쇼핑몰의 지분의 70%를 약 4000억 원에 사겠다고 나서서 화제를 모았다. 이 온라인 쇼핑몰의 대표는 2005년 스물두 살 때 자신이 입으려고 동대문에서 산 옷을 인터넷으로 팔기 시작했고, 그렇게 시작한 사업은 13년 만에 1조 원 대의 규모로 불어났다. 13년을 하루 종일 책상 앞에서 일해도 1조는커녕 1억도 수중에 넣기 힘든 화이트칼라의 현실에 비하면 대단한 성공이다.


'화이트칼라의 시대는 끝났다. 이제는 뉴칼라의 시대다.' 북바이퍼블리에서 펴낸 <새로운 엘리트의 탄생>을 읽으며 다시 한 번 강하게 확신했다. 이 책은 로봇과 인공지능이 이끄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기존의 화이트칼라를 비롯한 엘리트 집단은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고 경고하며, 새로운 가치관과 기술로 무장한 새로운 엘리트 집단인 '뉴칼라'가 부상할 것을 예고한다. 


뉴칼라는 미국 IBM의 지니 로메티 회장이 2017년 초에 열린 세계경제포럼에서 처음 소개한 용어로 '디지털 기술을 통해 새로운 것을 창조하는 이들'을 의미한다. 뉴칼라의 조건은 크게 다섯 가지다. 기술이 바꿀 미래를 내다보는가. 디지털 리터러시가 있는가. 세상을 바꾸고 싶은가. 끊임없이 변화하는가. 손잡고 일하는 법을 알고 있는가. 이 책에는 뉴칼라의 다섯 가지 조건이 부상하게 된 경제, 기술, 산업적 배경이 자세히 설명되어 있고, 뉴칼라의 다섯 가지 조건을 모두 갖춘 한국의 뉴칼라 8인의 인터뷰가 실려 있다. 


왜 이렇게 치킨집이 많을까요. 결국 같은 얘기로 다시 돌아가요. 기업에서 사람들을 성장시키지 못했기 때문이죠. 전문성을 쌓지 않았기 때문에 경력을 살린 재취업이 불가능해요. 은행 지점장을 하다가 아파트 경비원을 한다는 것 자체가 그렇잖아요. 지점장을 할 때까지 쌓은 역량이 없었다는 얘기죠. (148-9쪽)


이 책에 참여한 한국의 뉴칼라 8인은 비바리퍼블리카 이승건 대표, 한국신용데이터 김동호 대표, 아트벤처스 문효은 대표, 알토스벤처스 박희은 대표, 삼성SDS 인공지능개발팀 이치훈, 서울와이즈재활요양병원 김치원, 셀레브 임상훈 대표, 1인 마케터 김태용 등이다. 


간편 송금 서비스 '토스(TOSS)'를 만든 비바리퍼블리카 이승건 대표는 치과 의사 출신이다. 안정된 전문직을 버리고 험난한 스타트업 창업에 뛰어든 건 사회를 더 나은 곳으로 만들고 싶다는 비전과 모바일 혁명에 참여하면 자신의 꿈을 이룰 수 있다는 확신 때문이다. 디지털 기술이 발전하면서 세상이 변화하는 속도는 점점 더 빨라지고 있다. 이런 시대에 의사나 변호사 같은 직업이 높은 수익을 보장하고 평생 안정적인 직업이라고 믿는 건 어리석다. 스스로 경쟁에 뛰어들고 부지런히 역량을 쌓지 않으면 생존 자체가 불가능한 시대가 온다. 


아트벤처스의 문효은 대표는 불문과 출신으로 드물게 IT에 뛰어들었다. 불문과 출신의 문과생이 IT 업종에서 일할 만한 자리가 없어서 창업을 택했고, 첫 번째 창업이 두 번째 창업으로, 두 번째 창업이 세 번째 창업으로 이어져 현재는 IT와 문화예술을 결합한 아트토이 사업을 하고 있다. "세상은 빠르게 변해요. 축구 시합을 준비했는데 막상 경기를 하러 나가 보니 야구 경기가 열리는 경우와 같아요." 문 대표는 최근 각광받고 있는 코딩 역시 얼마 후엔 죽은 언어가 될 수 있다고 경고한다. 새로운 기술을 남들보다 빨리 습득하는 것은 좋지만, 그 또한 변화하고 사라지고 대체될 수 있다는 걸 잊어서는 안된다. 


일단 우리 사무실에는 늘 가요 인기순위 100곡을 틀어 둬요. 거기서 시작한다고 생각해요. 새로운 콘텐츠를 만드는 사람이면 최소 100곡은 늘 들어야 해요. 당장은 이해되지 않아도 그게 나중에 결과물로 나오니까요. 저는 무조건 많이 봐요. 패션, 디자인, 인테리어 잡지, 각종 정보, 시사 정보까지 닥치는 대로 찾아 봐요.` (283쪽)


동영상 콘텐츠 제작사 셀레브의 임상훈 대표는 새로운 시대를 이끌어갈 뉴칼라의 조건 중 하나로 '최신 트렌드에 밝을 것'을 든다. 새로운 콘텐츠를 만드는 사람이면 유행하는 패션, 디자인, 인테리어 등은 물론이고 최신 가요 인기순위 100 정도는 항상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 최신 트렌드와 정보 습득은 임 대표 외에 다른 인터뷰이들도 입을 모아 강조하는 요소다. 인터넷, SNS만 하지 말고 자신의 관심 분야에 해당하는 책을 꾸준히 찾아 읽으라는 조언도 여러 번 나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