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함께 글을 작성할 수 있는 카테고리입니다. 이 카테고리에 글쓰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매그넘 인 파리 (MAGNUM IN PARIS)

예술의 전당 한가람디자인미술관

2019년 9월 25일 ~ 2020년 2월 9일

* 우리나라에서 매그넘 사진전은 몇 차례 열린 적이 있다. 2012년에 매그넘 사진전을 본 이후에 이번에 2번 째로 접하게 된 사진전이다.

매그넘포토스는 1947년에 프랑스 파리에서 사진작가 몇 명이 술을 마시던 중에 결성하게 된다. 대표적인 사진작가는 로버트 카파, 앙리 카르티에 브레송, 데이비드 시무어, 조지 로저 등이다. 매그넘이란 커다란 술병을 말하는데 그들이 모인 장소의 테이블에는 커다란 술병이 놓여 있었다고 한다.

매그넘 포토스는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의 세상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보여주자는 생각에서 출발한 자유보도사진 그룹이다.

또한 "이들은 스페인 내전과 제2차 세계대전의 참화 속에서도 포토저널리즘과 르포르타주 정신을 포기하지 않았다. 이들은 자본으로 무장한 잡지사 및 통신사들로부터 사진가로서의 독립성과 자율성을 지키고 편집권과 사진가 스스로가 매체를 결정할 수 있도록 선택권을 보장한다는 비전을 공유했다." (매그넘 인 파리 팜플렛에서)

이들은 전쟁 속에서도 사진을 통해서 자신들이 마주했던 세상을 기록했다. 그들은 사진기자인 동시에 예술 사진작가로도 활동한다.

매그넘 포토스는 회원가입 기준이 까다로워서 우리나라 회원은 아직 없다. 그렇지만 사진이나 보도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에게는 널리 알려진 단체이다.

 

이번에 전시하는 매그넘 인 파리'는 매그넘 포토스 사진작가 40명의 400여 작품이 전시됐다.

전시는 11개 섹션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매그넘의 초기 사진부터 현재까지 파리를 배경 또는 주제로 한 사진들이다.

 

특히, 8섹션은 ' 엘리엇 어웃 - 파리'이다. 엘리엇 어웃은 전에 뉴욕 국제 사진센터에서 특별전을 할 때에 관람했던 작가여서 관심이 갔다.

이번에도 일부 공간이 '엘리엇 어윗'의 사진들로 구성이 돼서 그의 사진을 감상할 수 있었다.

제 1전시실과 제 2전시실에서는 매그넘 포토스의 사진들이 전시되고, 제 3전시실은 '결정적 순간'이란 표현으로 썼으며, 사진을 기록에서 예술로 승화시킨 '앙리 카르티에 브레송 특별전'이 열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 백건우와 야상곡

일시 : 2019년 12월 7일 토요일 오후 5시 (90분)

장소 : 예술의 전당 콘서트 홀

 

다른 해 보다 따뜻한 겨울,  12월 7일은 절기상 대설이어서 눈 소식도 있었지만 아침에 약간 날리다가 말았다.

목요일부터 갑자기 추워진 날씨, 원래 초겨울에 처음 찾아 오는 추위가 더 춥기에 체감온도는 훨씬 낮게 느껴진다.

 

 

예술의 전당에 도착하니, 크리스마스가 다가오고 있음을 실감한다. 예쁜 크리스마스 트리를 해 놓은 아름다운 겨울 모습에 마음이 설렌다.

<백건우와 야상곡>은 2019년 12월 11일에 공연되는 <백건우와 쇼팽>이 인기리에 매진되면서 백건우의 공연을 보기를 위하는 사람을 위해서 기획됐다.

세계적인 피아니스트의 연주인 만큼 <백건우와 쇼팽>도 마찬가지이지만 <백건우와 야상곡>도 완전 매진이다.

<백건우와 쇼팽>에서는 야상곡 뿐만 아니라 즉흥곡, 환상 폴로네이즈, 왈츠, 발라드 등도 연주된다. 그러나 <백건우와 야상곡>은 쇼팽의 야상곡 12곡이 1부, 2부로 나뉘어서 연주된다는 점이 특별하다.

'피아노의 시인' 쇼팽은 야상곡 (녹턴)을 자신의 내면적인 모습을 자백하는 소품이라 했다. 야상곡은 시적인 감성이 두드러진 작품이다.  쇼팽은 녹턴을 '피아노로 부르는 노래'라 말했다.

쇼팽(1810~1849) 은 기존의 음악적 형식에서 벗어나 자신의 감정을 야상곡으로 표현했다.

쇼팽의 야상곡은 모두 21곡으로 이뤄져 있는데, 그의 생전에는 18곡이 발표됐고, 3곡은 유작이다.

연주자인 백건우는 그 중에서 12곡을 순서대로 연주하는 것이 아니라 연주가의 재편에 의해서 순서에 관계없이 연주한다.

쇼팽의 야상곡 중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곡은 야상곡 20번 c#단조이다. 이 곡은 야상곡 중에서 가장 짧고 슬픈 곡이다.

야상곡 20번 c#단조를 들으면 떠오르는 장면이 있다. 2000년 초에 만들어진 유태인 출신의 폴란드인 감독 '로만 폴란스키'가 제작한 영화 <피아니스트>다.

영화 피아니스트는 '블라디 슬로프 스필만'의 회고록인 <죽음의 도시>를 바탕으로 기획 제작했다. 이 영화의 실제 주인공인 '스필만'은 자신의 이야기가 영화로 제작된다는 것을 알고 기뻐했으나 2000년 7월 6일에 세상을 떠나서 영화가 상연되는 것을 보지 못했다.

2차 세계대전이 한창이던 때, 폴란드 국영 방송국에서  야상곡 20번 c#단조가 흘러 나온다. 그 순간 폭격이 시작되고....

추운 겨울날, 피아니스트는 나치를 피해 폐건물 속에 은신을 하게 된다. 그 곳에서 피아니스트는 피아노를 발견하게 되고, 피아노를 치고 싶은 열정에 피아노 건반 위 허공에 손을 올려 놓고 피아노를 치기 시작한다. 비록 피아노 소리는 안 나지만 피아노를 칠 수 있다는 그것만으로도 피아니스트는 행복하다.

얼마 후에 수색 중이던 독일 장교에게 은신처에 있던 피아니스트는 발각된다. 독일 장교는 그가 피아니스트라는 것을 알고 연주를 부탁한다. 그 때 친 곡은 쇼팽의 발라드 1번 G단조.

이곡도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는 곡이다.

그후로도 어둠 속에서 피아노의 선율이 흘러 나온다. 피아니스트와 독일 장교의 이야기는 이렇게 전개되는데...

너무도 감동적이었던 영화 피아니스트.

야상곡과 소팽의 발라드 1번 G단조를 들으면 떠오르는 장면들은 영화 피아니스트.

야상곡은 대부분 뚜렷한 형식은 없고 주로 피아노를 위하여 작곡되었다. 부드럽고 감상적인 서정적 선율이 특징이다.

그런데, <백건우와 야상곡>에서 연주된 야상곡은 몇 곡을  빼고는 생소하다는 느낌이 들었다. 그만큼 야상곡이라고 하면 야상곡 20번 c#단조이다.

12월의 첫 번째 토요일은 야상곡을 들으면서 행복한 하루를 마무리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  알폰스 무하전 ☆★

장소 : My Art Museum (삼성동)

기간 : 2019년 10월 24일 ~ 2020년 3월 1일

 ♥  My Art Museum 은 개관 특별전으로 체코의 국민화가인 '알폰스 무하'의 작품을 전시한다. 이번 전시에는 체코의 세계적인 테니스 선수인 '이반 렌들'의 개인 소장품들이다.

 

전시에는 유화, 판화, 드로잉 등의 작품 230여 점이 전시되어 '무하 스타일'이라고 불리기도 하는 넝쿨같은 여인의 머리카락, 독특한 서체 등의 아르누보 양식의 포스터에서부터 무하가 슬라브족의 민족애를 일깨워줬던 고국을 위한 역사적인 화풍의 그림들도 선보인다.

♠ 도슨트 시간을 이용하면 전시회를 좀 더 이해하기가 쉽다. 시간 이전에 가서 전체적인 작품 감상을 하고, 도슨트의 설명을 듣고 다시 개인 관람을 하는 것을 강추한다.

11월 13일 오후 2시 도슨트에는 정우철 도슨트가 설명을 맡았다. 지난 번 '베르나르 뷔페'전시회에서 한 번 만났던 도슨트다.

그 때의 인상이 깊게 각인되었던 도슨트로, 원래는 공연 관련 일을 하다가 우연히 도슨트의 길로 들어오게 됐다고 한다.

 정우철 도슨트는 '베르나르 뷔페'는 우리나라에서는 잘 알려지지 않은 화가여서 그에 대한 자료가 없는데, 일본까지 건너가서 작품을 미리 보고, 책을 읽으면서 준비를 할 정도로 열정적인 도슨트다.

관객이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을 하는데, 이번에도 '무하'와 관련된 자료를 검색하고 프린트해서 코팅까지 해서 보여 주는 성의를 보인다.

이번 전시에는 2명의 도슨트가 요일별로 해설을 한다고 하니, 정우철 도슨트 시간을 이용하면 좋을 듯하다.  별명이 '피리 부는 사나이'라고 할 정도로 도슨트 시간에는 관객들이 그의 설명에 따라 길게 따라 다닌다.

 '알폰스 무하'는 체코의 작은 마을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에 어머니가 가정교사였기에 집을 비우면 혼자서 그림을 그리면서 놀았다. 8살에 그린 그림이 예수 그림일 정도였다니...

무하는 성악에 재능을 보여서 수도원 성가대원으로 활동을 한다. 그러나 변성기가 찾아 오면서  마을에서 초상화를 그리는 일, 극단의 무대 배경 등을 그린다.

무대 장치를 만드는 일을 하던 중에 백작의 도움으로 파리 유학을 떠난다.

무하에게 기회는 우연히 찾아 오게 되는데,

당시에 인기 여배우인 '사라 베르나르 주연의 연극 <지스몽다> 포스터를 그리면서 명성을 얻게 된다.

<무하가 사라와의 인연을 맺게 해 준 '지스몽스' 포스터>

무하의 삽화는 아르누보 양식인데, 장식적인 포스터, 실내장식 등에서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이룬다.

 ♣ 아르누보 (Art Nouveau)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 유행한 예술사조로 프랑스어로 '새로운 미술'을 뜻한다. 유럽, 미국, 남미에서 유행했으며, 덩굴식물 모티브, 유연한 곡선의 미, 섬세한 색감과 풍부한 아름다움이 특징이다.

나무 덩굴, 꽃잎, 조개 모양에서 따 온 장식적인 곡선을 조형적으로 접목시켰다. 한 눈에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는 작품들이다.

 

★ 미국시기

 

★ 파리와 미국에서 큰 성공을 이룬 무하는 자신의 스타일이기도 한 아르누보 장식에 관한 장식집을 만들어서 많은 사람들이 무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고향인 체코로 돌아와서 슬라브 민족에 대한 정체성과 조국을 위해 많은 일을 하게 된다. 상업적인 작품 활동은 하지 않고 자선단체 포스터를 무상으로 작업한다.

또한 체코의 지폐, 체코 국가 엠블렘 등을 무상으로 디자인한다.

그리고 약 20여 년에 걸쳐서 체코의 역사와 민족애를 담은 20편에 달하는 거대한 작품인 <슬라브 서사시>를 완성한다. 이 작품은 가장 작은 작품이 한 면이 4m에 달한다.

이 작품은 프라하 미술관에서 전시하고 있다.

1939년 무하는 나치가 프라하를 침공한 당시에 체포되어 고문을 받게 된다. 이유는 민족의 자긍심을 불러 일으키는 작품인 <슬라브 서사시>때문이다.

고문의 후유증과 페렴으로 나치로 부터 풀려 나온 지 며칠 만에 무하는 세상을 떠난다. 나치는 무하의 장례식에 사람들이 모이지 못하도록 했지만 10만 인파가 몰려들었다.

 

무하는 파리, 미국 시절에는 상업적인 포스터 등의 작품을 통해서 명성과 부를 얻게 되지만 그의 모든 장식적 디자인을 무상으로 내놓는다.

 

 

그리고 고국인 체코에 돌아와서는 자선단체, 국가를 위해서 작품 활동을 한다. 특히 대작인 <슬라브 서사시>는 체코 뿐만 아니라 슬라브 민족에게 그들의 역사와 정체성, 애국심을 불러 일으키게 된다.

★ 체코의 프라하성에 있는 성비트 성당의 좌측면의 스텐인드 글라스는 무하의 작품이다.

 ♠ 전시회는 5부로 구성되어 있다. 작가의 삶의 여정을 따라서 작품이 어떻게 변화하였는가를 알 수 있다.

 

 

<사진의 일부는 '알폰스 무하전' 홈페이지에서 가져 왔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지난 3년간 이어 온 '김정원의 음악신보'의 마지막 공연이다. 슈베르트, 슈만에 이어서 브람스까지.

'김정원의 음악신보 :브람스'는 2019년 3월 13일, 6월 5일, 9월 25일, 11월 13일, 4번에 걸쳐서 공연이 됐다.

 

 
 

3월 13일 : 새로운 길, 6월 5일 : 거장, 인생을 말하다., 9월 25일 : 가깝고도 먼, 11월 13일 : 청춘, 격정과 열망

'음악신보'란 1834년, 25세의 슈만이 창간한 음악잡지로 이를 통해서 쇼팽, 베를리오즈, 멘델스존 등을 소개하고 도와주는 편집자 역할을 했고, 청년 브람스를 발굴하고 키워준다.

피아니스트 김정원은 클래식을 대중들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많이 하고 있는데, '김정원의 음악신보'도 이런 생각에서 기획된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평일 오전에 공연되기에 처음에는 200석에서 시작해서 지금은 800석에 이르는 관객들이 공연을 관람하게 됐다고 하니 앞으로도 이런 기획이 많았으면 하는 바램도 있다.

브람스는 스승인 슈만의 아내인 클라라를 평생 연모하며 살았다. 9월 25일의 '김정원의 음악신보'는 슈만, 클라라, 브람스의 삶과 음악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11월 13일의 공연은 '청춘, 격정과 열망'이라는 주제에 맞게 브람스의 초기 작품인 피아노 4중주 제 1번 g단조 Op. 25가 연주된다.

피아노 & 해설은 피아니스트 김정원이 맡는데, 음악가와 작품에 대한 설명을 음악 초보자들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 준다.

바이올린은 장유진, 첼로는 심준호, 비올라는 이한나

이번 공연의 기획에 있어서 브람스 피아노 소나타 연주를 하면서 악장과 악장 사이에 바이올린, 첼로, 비올라 연주를 넣는 시도를 처음 하게 된다.

이런 시도는 피아노 소나타의 흐름을 끊을 수 있는 단점도 있지만 새로운 시도였고, 음악 초보자들에게는 지루함을 해소해 줄 수 있다는 생각도 든다.  

김정원이 연주한 첫 곡은 차이코프스키의 사계 중에 가을, 10월의 노래로 시작한다. 그리고 피아노 사중주가 시작된다.

 

★ 프로그램 ★

* 브람스 피아노 사중주 제 1번  g단조 Op. 25

   1악장 : Allegro

* 브람스 바이올린 소나타 제 1번 G장조 Op. 78  : 장유진

  1악장 : Vivace ma non troppo

*  브람스 피아노 사중주 제 1번  g단조 Op. 25

   2악장 : Intermezzo (Allegro ma non troppo)

* 브람스 첼로 소나타 제 1번 e단조 Op. 38 : 심준호

   1악장 : Allegro  non troppo

* 브람스 비올라 소나타 제 1번 f 단조 Op.120-1 : 이한나

   4악장 :  Vivace

 

* 김정원의 사회로 함께 한 연주자 소개 및 공연 관련 이야기가 소개된다.

 

* 브람스 피아노 사중주 제 1번  g단조 Op. 25

   3악장 : Andante con moto

* 브람스 피아노 사중주 제 1번  g단조 Op. 25

  4악장 : Rondo alla zingarese

 

4악장의 강렬하고 격정적인 연주가 끝나자 관객들은 감동의 박수를 보낸다.

* 마지막 앵콜 연주로 우리들에게 익숙한 베토벤 비창이 연주된다.

* 베토벤의 피아노 소나타 8번 비창 : 김정원

  2악장 : 아다지오 칸타빌레

몇 번의 김정원의 피아노 연주를 통해서 그의 강렬하면서도 열정적인 연주를 접할 수 있어서 행복했다.

특히, 김정원은 대중과의 소통을 중시하는 연주자가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연주는 물론 감동적이고, 그가 들려주는 음악 이야기도 흥미롭고 재미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 데이비드 호크니 전시회 **

♡ 전시장소 : 서울 시립미술관 서소문 본관 2층, 3층

     3개의 전시실로 구성

♡  전시 기간 : 2019년 3월 22일 ~ 8월 4일

   

 

 

 
 

*  데이비드 호크니 (1937년~   ) 화가, 사진작가

* 아시아 첫 대규모 개인전으로 관람객이 많아서 1층에서 2층 전시실까지 1시간 이상 대기해서 입장해야 됨

전시실 입장 후에도 관객의 수가 작품 수 보다 훨씬 더 많아서 한 작품에서 다음 작품까지 가는데 몇 분이 소요되기도 한다.

* 전시작품은 회화, 드로잉, 판화 등 133점

  (유명화가의 전시가 대부분 드로잉 작품들이 많듯이, 데이비드 호크니의 작품들도 드로잉 작품들이 많으며 석판화, 에칭 등의 판화 작품이 많이 전시되고 있다.

* 호크니의 작품의 주제는 그가 활동한 시기마다 다르기는 하지만 동성애, 인물, 풍경 등이 주를 이룬다.

 후기로 갈수록 초현실주의 작품이나 사진을 촬영하여 디지털 기술로 이어 붙여 제작한 사진 드로잉 작품들이 있다.

* 전시된 주요작품은 <더 큰 첨벙>

 

 

 < 클라라 부부와 퍼시>

 < 움직이는 초점> 시리즈, < 난봉꾼의 행각> 시리즈, <카바피의 시 14편을 위한 삽화> 시리즈,

< 푸른 기타> 시리즈>

<와터 근처의 더 큰 나무들 또는 새로운 포스트>

 < 2017년 12월, 스튜디어에서>

** 데이비드 호크니는 "존재 자체가 하나의 장르인 이 시대의 예술가"이다.

 

 

* 호크니는 브래드퍼드 예술학교에 다닐 당시에 미국의 추상표현주의가 각광을 받고 있음에도 추상과 재현적 이미지를 구분하는 경계를 흐려가면서도 도식화된 인물의 형태와 그라피티 등을 성과 살아에 관한 주제로 전달했다.

* 최근작인 < 2017년 12월, 스튜디오에서>는 3000장의 사진을 디지털 기술을 통해 붙인 사진 드로잉 작품이다.

* 2018년 11월 뉴욕 크리스티나 경매에서 <에술가의 초상>이 9,031달러 (약 1,019억 원)에 팔렸는데, 이는 현존 작가 중 최고가로 팔린 작품이다.

 

 " 나는 항상 그림이 우리로 하여금 세상을 볼 수 있게 만들어 준다고 생각해 왔습니다."

" 눈은 언제나 움직인다.

눈이 움직일 때, 내가 보는 방식에 따라

시점도 달라지기 때문에 대상은 계속해서

변화한다. 실제로 다섯 명의 인물을 바라볼 때

그곳에는 1천 개의 시점이 존재한다. "

 

<사진 출처 : 데이비드 호크니 작품은 Daum 이미지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