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살보다 sex
무라카미 류 지음, 한성례 옮김 / 자음과모음 / 2014년 2월
평점 :
품절
'만남이란 어디서나 가능하다'라는 환상을 제공하는 것은 기업의 제품 광고를 포함한 매스미디어와 교육뿐이다. 전 국민의 30퍼센트는 그 환상을 무비판적으로 믿으며 산다. 10퍼센트 정도는 그런 것은 환상이라고 자각하여 따르지 않고 산다. 나머지는 환상이라고 생각하지만 우선 지금은 따를 수밖에 없다는 느낌으로 살아간다. '반드시 좋은 사람을 만날 수 있어요' 같은 카피는 많은 사람을 기만하기 때문에 악질적이다. '좋은 사람'의 모델 자체가 이제는 소멸되었다.
무라카미 류가 2002년에 쓴 이 에세이는, 2014년이 된 지금 읽어도 여.전.히 유효하다. 종종 언제 보느냐가 결정적인 작품들이 있다. 그리고 그 작품이 당신에게 제 시간에 도착했을 때는 그 감흥이 거의 죽고 싶을 정도로 당신의 마음을 흔들지만, 같은 작품을 전혀 다른 시간에 읽게 되면 그냥 시간의 재에 묻혀 흘러버리거나 쓰레기통에 버리고 싶어지는 것이다. 무라카미 류의 <자살보다 SEX>의 한국어 초판이 나왔던 2003년 말경에 나는 이 책을 만났다. 도발적인 제목만큼이나 선정적인 붉은 색 표지가 인상적이었는데, 당시에 나는 그의 꽤 많은 책과 에세이를 읽었음에도 불구하고 이 책이 어쩐지 숨겨놓고 읽어야 할 것만 같은 그런 느낌이었던 것 같다. 너무도 거침없는 성에 대한 담론과 연애와 여성 론에 대한 그의 열린 이야기는 매우 당혹스러웠고, 이 책을 읽은 뒤로 한동안 무라카미 류의 책은 거들떠도 보지 않았던 기억이 난다. 그리고 이후 무려 11년이 지났고, 이번에 새로운 편집과 디자인으로 재 출간되었다. 산뜻하고 담백한 표지만큼이나, 11년이라는 시간 동안 나이를 먹은 내게 이 책은 초판으로 읽었던 때와는 전혀 다른 느낌으로 다가왔다.
유년기에 근친상간이 남긴 트라우마, 여성의 스톡홀름 증후군, SM클럽 마니아, 미성년자의 매춘, 주부의 불륜, 신혼여행지에서의 파국 등을 소재로 한 과격한 성 담론은 물론 지금 읽기에도 부담스러운 소재이지만, 11년 전만큼 뜨악 하거나 당황스럽지는 않았다. 그리고 두 번째 파트로 넘어가면 류가 영화감독으로서 여행한 일과 겪은 사건들, 동료 작가들의 작품에 대한 감상 등도 있어 가볍게 읽기에 무난한 에세이 집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물론, 너무도 거리낌 없는 그의 문장들은 여전히 도발적이다. 자, 이런 식이다.
술집에서 울고 있는 여자를 보면 꽤 흥미로워진다. 우는 여자가 못생긴 여자라면 이보다 더 보기 흉한 일은 없다. 거기에 뚱뚱하기까지 하면 당장 총살해버리고 싶은 충동까지 일어난다. 예쁜 여자들은 왜 이렇게 덮어놓고 덕을 보는 걸까. 울어도 화를 내도 뭘 해도 다 예쁘게 봐준다.
화를 내는 경우라면 이보다 훨씬 더 심하다. 못생긴 여자가 화를 내면 다들 별 관심이 없다. 그냥 웃을 뿐이다. 그런데도 계속해서 화를 내다가는 미움 받기 십상이다. 반대로 예쁜 여자가 화를 내면 정말 무섭다. 이렇듯 세상 모든 것이 차별투성이다.
못생긴 여자에 대한 아마 대부분의 남성들의 시선이 이와 다르지 않을 것이다. 다만 평범한 남자들은 그 못생긴 여자를 배려해서 직설적이지 않은 표현을 하거나 모른 척 하겠지만, 무라카미 류는 속마음을 여실히 까발려서 얼굴이 붉어지게 한다는 차이만 있을 뿐. 게다가 '스톡홀름 증후군'에 대해 이야기를 하면서는, <남성 동지 여러분, 여자는 감금당하길 원한다는 것을 알아두시길. 그러나 감금시키는 일에 성공하여 사랑을 잘 키웠다 해도, 금방 도망치고 싶어 하는 여자도 많다는 것도 알아 두시 길>이라고 하고 있으니 이 남자, 참 밉상이다. 전반부 대부분의 글들이 남성 우월주의적으로 쓰여있어 나처럼 여성독자들은 반감을 가질 수도 있겠다. 하지만 보이는 이것이 전부가 아니라는 걸 잊으면 안 된다.
'진정한 연애를 할 수 있는 사람의 자격'이라는 챕터가 그렇다. 도대체 왜 다들 연애를 하고 싶어할까.에 대한 저의를 그는 외롭기 때문이라고 쓰고 있다. 생물학적으로 인간은 모두 외로운 존재니까 말이다. 10개월 동안 어머니의 태내에서 완전한 보호를 받다가, 유아가 되어 어머니의 팔에서 내려오면서부터 살아남기 위한 투쟁과 시련 속으로 던져지는 것이다. 본질적으로 인간이 외로움이란 것과 함께 한다는 그의 말에 동의한다. 그러니 전화 방에서 낯선 이에게 위로를 받는 것이 그리 나쁜 일만은 아니라는 얘기다. ' 쓸모 없는 여자는 거짓말을 잘한다'는 챕터도 역시 인상적이다. 왜냐하면 그녀들은 다른 사람은 물론이고 자기 자신에게도 거짓말을 한다는 것이다. <아이를 갖고 싶으면 낳으면 되고, 싫으면 아이를 갖지 않으면 된다. 무리해서 결혼을 안 해도 되고, 명품을 좋아하면 죽어라 사들이면 된다>는 무라카미 류 식의 "...하지 않으면 안 된다."라는 발상을 바꾸어보라는 말은 어쩐지 내일부터라도 시도해보고 싶은 마음이 든다.
무라마키 류가 2002년에 쓴 이 에세이가 지금 읽어도 여.전.히 유효하다는 것은, 어쩌면 감추지 않는 것에 대한 솔직한 미덕을 보여주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우리는 흔히들 나쁜 것에 대해서 숨기거나, 감추거나 포장하려고 든다. 자신도 모르게 말이다. 하지만 성이란, 섹스란 나쁜 것만은 아니다. 류의 말처럼 끔찍한 외로움때문에 자살하는 것보다는 차라리 타인의 체온에 기대어 이 생을 버티어 보는 게 더 낫지 않은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