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젤롯 - “예수는 정치적 혁명가였다” 20년간의 연구로 복원한 인간 예수를 만나다
레자 아슬란 지음, 민경식 옮김 / 와이즈베리 / 2014년 3월
평점 :
품절
예수를 말하는 방법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고 한다. '나사렛 예수' 즉, 역사적 인물로서 중점을 두는 연구와 신앙의 대상으로 받드는 '그리스도 예수' 연구이다. '나사렛 예수'에도 예수를 윤리적 교사, 사회 개혁가, 정치적 혁명가, 심지어 마술사나 퇴마 사로 보는 등 여러 가지라고 한다. 이 책의 저자는 예수를 '정치적 의식이 투철한 유대 혁명가'라고 말한다. 저자의 시각에 동의하든 하지 않든, 기독교를 믿는 아니든 간에 이 책 속에서 그려지는 역사적 예수의 모습은 매우 흥미롭다. 무엇보다 종교적으로 자신의 주장을 관철시키려는 억지가 없어서, 비 기독교인인 내가 읽기에도 크게 무리가 없었다. 예수에 대한 역사적 주장이 잘 검증되고 세밀하게 연구되고 어마어마하게 권위가 있다 하더라도, 그 주장에 반박하는 반대편 주장 역시 똑같이 잘 검증되고 세밀하게 연구되고 권위가 있다는 말로 서두를 시작하는 것만 보아도, 저자의 시각이 편협 되지 않았음을 잘 보여준다 하겠다.
1부에서는 로마 제국의 통치와 귀족 대제사장들의 탐욕으로 민중들의 신음소리가 높았던 시대가 그려진다. 하느님의 나라가 도래할 것이라는 과거의 예언에 대한 열망으로 가득 차, 스스로 계시를 받은 메시아임을 자처하는 인물들이 끊임없이 등장하여 반란을 일으켰던 혼란스러운 시대의 모습이다. 1세기 팔레스타인의 역사적 상황을 훑으며 메시아들 중 하나로 등장했던 예수의 모습이 어떠했을 지를 짐작할 수 있도록 보여준다. 2부에서는 예수에 관련된 주요 사건들이 흥미롭게 그려지고 있다. 성전 정화 사건을 비롯해서 본격적인 선교에 나서는 모습과 나병 환자 등을 치유해주었던 일화 등 역사적 사실관계를 비롯해서 예수가 꿈꿨던 세상이 점차 구체화되어 보여진다. 이어지는 3부는 예수 십자가 처형 이후, 예수의 동생 야고보를 중심으로 예루살렘을 근거지로 한 유대 파와 주로 로마에서 활동했던 바울의 헬라 파로 나뉘어 진행된 예수 운동을 그려진다. 예루살렘 함락 이후 기독교가 로마의 시민을 대상으로 포교되었으며, 로마의 정권 교체 속에서 박해 받았다 다시 국교로 인정되고 그렇게 현재 기독교의 모습을 갖추게 되는 것이 보여지고 있다. 이러한 이야기를 통해서 그 동안은 예수의 모습이 로마에 사는 초기 기독교인들을 선교하기 위해 혁명가와는 거리가 멀게 그려졌다는 것에 대해 들려주고 있다.
마치 역사소설인 것처럼 스펙 타클하고 긴장감 넘치는 전개는 논픽션으로서의 매력을 충분히 발산하고 있다. 20년에 걸친 학술적인 연구와 토론을 밑바탕으로 그려진 나사렛 예수는 기존에 우리가 알고 있던 예수 그리스도와 전혀 같지 않다. 저자의 설득력 있고 흥미로운 스토리를 따라가다 보면 로마 제국이 위세를 떨치던 당시의 역사적 상황과 초기 기독교 형성 과정을 자연스레 이해하게 되는 것 같다. 이슬람교도에, 이란 출신의 저자가 ‘예수’에 관해 연구한 작품을 발표했다는 데 심기가 불편해진 미국의 대표적인 보수 미디어인 폭스 TV가 저자를 불러놓고 공격적으로 인터뷰한 걸로 유명하다. 누가 봐도 명백히, 미국 내 반 이슬람 감정을 부추기는 것 아니냐는 것이었다. 저자는 이에 이런 편견이 없는 진실을 추구하기를 바란다는 대답으로 오히려 반 이슬람 감정에 대한 반성과 종교 다원주의에 대한 논쟁의 기회를 열었다고 한다. 그만큼 논쟁을 불러일으키지만, 읽을 만한 가치가 충분한 책인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