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롤리타는 없다 2 - 그림과 문학으로 깨우는 공감의 인문학 ㅣ 롤리타는 없다 2
이진숙 지음 / 민음사 / 2016년 12월
평점 :
롤리타는 없다2
러시아 미술관련 책에서부터 팬인 이진숙 작가님의 책과 그림, 영화에 대한 이야기, 그 두번째이다
프리고나르의 그네 그림을 라클로의 <위험한 관계>로 풀어나간다.

서포트하는 늙은 남자는 여인의 치마 끝에 젊은 남자가 있음을 알지 못한체, 어둠 속에서 열심히 그네를 밀고 있다. 젊은 남자는 여인을 다 차지한 듯 하지만, 정말일까.
하늘 높이 날아올라가는 듯 발을 뻗은 그녀의 마음은 갈피를 잡지 못한다. 그네처럼 흔들리며, 순결함과 열정의 중간 사이 분홍으로 물들고 있다. 모든 것을 아는 듯 큐피드는 비밀스레 침묵을 지키는 이 곳, 사랑은 게임일뿐. 그렇지만 사랑은 게임도 아니고 소유도 아님을 그림도 소설도 알고 있다. 흔들리듯 멈춘 곳엔 떨어진 신발 말고 무엇이 또 있을까.
가장 타락하고 욕망이 부끄럼없이 드러나던 그 시대, 그 도시의 남자들. 욕망과 타락 속에 뒹굴고 싶지만 두렵다. 매춘, 그리고 여권신장을 주장하는 강한 여인들. 그래서 그들은 그런 여인들을 예전엔 마녀란 이름으로, 이젠 팜파탈이란 이름으로 가두고 옥죄려 한다. 그러면서 아직 어린 소녀들의 순수와 천진함 위에 멋대로 천박함을 덧씌운다. 어린 소녀의 유혹이라니.
그렇게 롤리타와 사진 속 앨리스, 발튀스 그림 속 소녀들이 만들어진다. 유혹하는 소녀라니, 변태같은 남자들의 면죄부처럼 만들어진 이미지일뿐이라고 말한다.

<고도를 기다리며>의 사무엘 베케트와 자코메티의 우정, 그리고 고도를 기다리며의 배경으로 쓰인 자코메티의 나무. 더 이상 뺄 것도 없이 뼈만 남은 자코메티의 남자는 의미를 상실한 황량한 삶 속으로 고독하게 걸어간다.
겨울의 나무는 봄을 기다린다. 검게 말라버린 외피 속으로 봄의 색들이 피어날 것임을 알게 해 주는 그림이 있다. 박수근의 나무그림들, 박수근의 나무들엔 봄에 대한 굳건한 믿음이 있다.
좋아하는 작가 게르하르트 리히터의 작품도 수록되어 있다. 동독출신의 리히터 작가이야기는 영화로도 나와 있다. 어린 이모가 정신이상으로 병원에 갇혀 강제로 불임수술등을 받고 죽임을 당하고, 자신의 첫 번째 아내의 아버지가 바로 이모가 갇혔던 병원의 의사임을 알게 된다. 어린 시절 2차대전을 겪으며 쏟아지는 폭탄들을 봤고, 독일군복을 입은 선량했던 삼촌들을 기억한다. 그리고 끌려간 이모, 그리고 남아서 동독의 이념에 부응하는 그림을 그려야 하는 자신의 처지. 누가 선인지 누가 악인지 알 수 없는 의문들 속에, 그는 과거의 사진들을 흐릿하게 그려나간다. 마친 핀트가 나간 듯 흔들리는 사진처럼 그려진 그의 그림앞에선 희미한 기억과 흐릿한 선과 악이 모호한 피해자들의 모습이 흩어진다.

그의 그림을 보면서 떠오른 작가가 한 명있다.
이 책에 소개된 작가는 아니지만, 지금 부산시립 미술관에서 전시회를 하고 있는 “크리스티앙 볼탕스키”다. 유대계 러시아인 의사였던 아버지는 아파트 마룻바닥에서 1년간 숨어살았다고 한다. 그의 작품은 이름모를 흑백의 증명사진과 그 아래 놓은 주석상자. 어둡고 노란 빛의 전구와 기차소리가 들린다. 이름없는 작품이지만 추측할 수 있다.
유대인을 실어나르는 기차소리와 버려진 사진들과 유품 상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