떠나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니다
로렌 허프 지음, 정해영 옮김 / ㅁ(미음)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처음 책 제목만 봤을 때는 어디론가 훌쩍 떠날 수 있는 여행과 관련된 에세이일 것이라고 생각했답니다. 하지만 책을 펼쳐들고는 말로 설명할 수 없는 복잡함과 난해함에 금새 머리가 하얘졌답니다.  

 

인생사가 복잡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가끔은 책을 통해 접할 때가 가끔 있긴 하지만 저자의 이야기를 보면서 마치 영화 속에서나 나올 법하다는 생각이 강하게 들었습니다. 사이비 종교 단체에서 자랐다는 사실 하나만으로도 저에게는 충분히 색다르고 강렬하게 들렸거든요. 그리고 미처 생각해보지 못했지만 사이비 종교가 우리 현실에도 존재하는 만큼 그 속에서 자라난 아이들도 있겠구나를 처음으로 생각해보게 된 것 같습니다. 

 

동성애자라고 비난하고 싶은 마음도 전혀 없지만 어느 것 하나 평범한 것이 없다는 생각에 참으로 삶이 복잡하다 싶었습니다. 사이비 종교 단체에서 학대가 너무나도 당연스레 존재한다는 것을 책을 통해 접하면서 우리 사회에 어쩌면 만연해 있을지도 모를 폭력과 권력에 대해서도 잠시나마 생각해 볼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사이비 종교 단체에서 생활했던 삶의 시작부터 어찌보면 그녀의 삶의 시작은 평탄치 않았고 그로 인해 그녀가 평생 겪어야 했던 고통은 이루 말할 수가 없는 것 같습니다. 지금도 많은 사람들이 동성애에 대해 강하게 비난하고 분노의 목소리를 내는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 이 책은 동생애자라는 이유로 생명의 위협까지 느껴야 했던 순간들을 겪었던 그녀의 삶을 통해 타인의 권리에 대해서도 많은 생각을 하게 하더라고요.

 

어찌보면 삶에서 가장 나락으로 떨어졌다고 느끼는 순간들이 있을 수 있는데 그럴 때 우리는 한 명의 인간으로서 이를 어떻게 스스로 극복하고 다시 회복할 수 있을지 고민이 많습니다. 사실 이러한 것은 개인의 힘만으로는 절대적으로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우리 사회에서 벌어진 이야기는 아니지만 사실상 우리와도 별반 다를 바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도 사회적 편견에 맞서고 있는 사람들이 너무나도 주변에 많으니까요. 어떻게 회복할 수 있는지 그 힘을 주는 역할을 우리도 함께 해야 할 필요성도 있지 않을까 싶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국의 역사인물 가상 인터뷰집 - 소설가의 상상력으로 실감나게 풀어낸 역사속 소문의 진상
홍지화 지음 / nobook(노북)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뉴스나 방송을 보고 있다가 문득 이런 생각이 든 적이 있습니다. 지금 저 사람들의 모습을 과거에 살았던 우리 조상들이나 위인들이 본다면 뭐라고 할까가 문득 궁금해지는 순간 말이죠. 이 책을 보는 순간 내가 평소 생각한 적이 있었던 소재인 것 같아서 무척 반가웠습니다. 물론 이 책에서는 과거의 이야기를 인터뷰 하고 있긴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이 분들이 오늘날의 모습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가상의 인터뷰를 하는 책도 있었으면 어떨까 하는 상상을 해봤습니다. 

 

사실 소설가들이 들려주는 이야기는 아무래도 허구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특히 역사와 관련된 부분들을 다룬 책들은 마음을 비우고 읽을 때가 많습니다. 어디까지가 허구이고 어디까지가 진실인지를 구분하기가 애매할 때가 있거든요. 이 책의 저자가 쓴 글들을 학생들이 시험 기간에 더 많이 찾는다는 것을 보고 아마도 역사 공부에 도움이 되니까 많이 찾아 보겠지 싶더라고요. 저자 역시 이 부분들을 잘 알고 있기에 사실들만 다루려고 더 노력하지 않았나 싶고요. 편안하게 읽으면서 우리 역사 이야기가지 함께 접할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우리에게 잘 알려진 인물들을 다루고 있다는 점도 마음에 들었습니다. 우리가 잘 모르는 위인들이 지금 우리를 보며 무슨 이야기를 할까 상상해보는 것도 색다른 즐거움이 있겠지만 우리가 비교적 잘 알고 있는 인물들이 이야기하는 것이기 때문에 더욱 와닿는 면이 있더라고요. 

 

작가의 상상력으로 써내려간 이야기이지만 인터뷰 형식으로 되어 있어서 마치 진짜 인터뷰를 내가 곁에서 보거나 듣는 것 같은 기분이 들더라고요. 그래서 더욱 더 책을 편안하게 읽을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인터뷰 형식으로 되어 있어서 아이들이 읽어도 아주 부담스러워하지 않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우리가 알고 있는 역사 이야기일지라도 이 위인들이 이렇게 이야기를 한다고 생각하니 조금 색다르고 이야기가 달리 느껴졌습니다. 동시대를 사는 인물은 아니지만 역시 역사 인물들을 통해서 배워야할 점들이 너무나도 많다는 생각을 했고, 오늘날 나라를 위해 일한다고 하는 사람들은 꼭 이런 책을 읽으면서 좀 더 나은 생각을 했으면 하는 바람이 있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성형하지 마라 - 논문 읽어주는 유튜버, 품격있는 성형(成形)에 대해 말하다.
이원 지음 / 엔파인더스 / 2021년 11월
평점 :
품절




다른 사람도 아니고 성형외과 의사가 성형을 하지 말라고 하니 무슨 이유에서 이런 말을 하는 것인지 궁금해졌습니다. 성형수술을 쉴 새 없이 반복할 의사 입에서 성형을 하지 말라는 말이 나온다니까 조금은 아이러니하기도 하더라고요. 

 

알고 보니 유튜버로도 활동하고 계신 의사 선생님이시네요. 많은 사람들의 고민 중 하나가 바로 성형이 아닐까 싶습니다. 간단한 수술부터 그렇지 않은 수술까지 많이들 고민해보셨을 것 같아요. 더 예뻐지고 싶은 인간의 욕망이 지속되는 한 성형은 언제까지나 있을 것 같은 생각도 들고요.

 

저자는 자기 자신이 되는 성형을 이야기합니다. 이 말은 바꿔서 생각해보면 그동안 성형은 진정한 내가 되기 위해 한다기 보다는 아름다운 사람들을 따라서 나도 저렇게 예뻐지고 싶다는 욕망에서 비롯된 것들이 많은 것 같거든요. 그러다보니 나에게 어울리지 않는 옷을 입은 것처럼 어색하고 이상해 보이는 성형도 많았던 것 같습니다. 이 책에도 언급되어 있지만 이른바 성괴가 되는 그런 현상이 생기는 것이죠.

 

이 책에서 저자는 진정한 아름다움에 대해서도 여러번 언급합니다. 성형이 안 좋은 것이니까 하지 말라는 이야기가 아니라 진정한 아름다움에 대해서도 고민하고 특히 자신만의 아름다움을 찾아야 한다고 이야기합니다.

 

다른 것은 일단 다 제쳐두고라도 성형을 하고자 한다면 그 목적에 대해 분명히 생각해 볼 필요가 있음을 이 책을 읽으면서 많이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단순히 누구처럼 예뻐져야지가 아닌 나를 찾기 위한 하나의 과정 속에 성형이 하나의 방법이 된다면 그 때는 자신의 선택이고 이 선택에 대한 책임도 뒤따른다는 것을 알고 행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지금 이 순간에도 성형을 고민하고 있는 많은 사람들에게 저자의 저서나 유튜브 영상을 통해서 그 메시지를 한번 확인해보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렇다면 좀 더 신중하게 성형을 하거나 아니면 굳이 성형이 필요없을 것 같다는 자신만의 판단이 서거나 할 것 같네요. 아무튼 주체적인 나를 찾는 것은 성형이든 아니든 자신의 삶에서 중요하니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상한 아이스크림 가게 반짝반짝 빛나는 아홉살 가치동화 8
장지혜 지음, 이현정 그림 / 니케주니어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른들도 마찬가지이겠지만 아이들에게 있어서 상상력이라는 것은 무척이나 중요한 것 같아요. 어른들도 동심을 잃어버리고나면 어느 순간 상상을 덜 하게 된다고 생각하거든요. 아이들에게 상상력이란 누구나 꿈꿀 수 있다는 점에서 행복하고 중요한 것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이 책에 등장하는 승주와 규민이를 통해 우리 역시도 간접적으로나마 상상의 세계에 빨려들어가는 경험을 하게 됩니다. 아이들이 좋아하는 아이스크림을 통해서 이번에는 상상의 나래를 마음껏 펼칠 수 있다니 얼마나 즐거운 일이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저자가 쓴 ‘칭찬 사탕 대소동’도 아이와 함께 재미있게 잘 읽었는데 이번 책 역시도 아이가 굉장히 즐거워하면서 잘 봅니다. 일단 책 제목부터 아이가 좋아하는 아이스크림이 들어가서 더욱 더 그런 모양입니다. 아이스크림을 좋아하는 아이들이라면 상상 콘의 매력에 솔깃하지 않을 수 없을 것 같습니다. 

 

내가 꿈꾸는 곳으로 얼마든지 갔다가 다시 현실로 돌아오고 싶으면 언제든 올 수 있다고 한다면 어른들도 이런 상상 콘을 이용해보고 싶지 않을까 싶은 생각이 들더라고요. 현실에서는 다소 자신이 없는 자신의 모습이라도 상상 속에서는 색다른 내가 되어 용기를 내 볼 수 있다면 상상 콘이 얼마나 소중하고 나를 행복하게 해주는 도구라고 생각할까요. 상상 콘을 통해 고음을 낼 수 있다면 고음을 내고 싶을 때마다 상상 콘이 필요하지 않을까요?

 

결국 상상 콘이라는 것은 우리 마음 속에 있는 상상이므로 이것에 의존하기 보다는 마음껏 상상하고 자신감을 갖고 도전해보라는 메시지가 들어 있지 않나 싶은 생각이 듭니다. 승주와 규민이가 자신감을 얻게 된 경험처럼 아이들 역시도 좀 더 많은 상상을 통해 더 나은 자신을 찾았으면 하는 바람이 듭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이뜨리, 생에 한 번쯤은 요가
마이뜨리(서희원) 지음, 요기윤 그림 / 디이니셔티브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가에 대해 아는 것은 많지 않지만 요가를 통해서 건강은 물론이고 마음의 평안을 얻는 사람들을 주변에서 자주 보게 됩니다. 요가 동작들을 따라하는 것이 쉽지 않아 몇 번 시도하다 그만두고 했었는데 요가 지도자 마이뜨리라는 사람의 이야기를 이 책을 통해 접하고서는 나도 다시 시도해봐야겠다는 생각도 조금 듭니다. 

 

희귀 질환을 앓고 있으면서 이렇게 멋지게 요가 동작들을 해낸다는 사실을 알고 많이 놀랐습니다. 요가 동작들 중에서도 난이도가 높은 동작들은 오랜 숙련을 거치지 않고는 쉽게 따라하기 어렵더라고요. 그런데 강직척추염이라는 희귀 질환을 앓고도 이렇게 멋진 자세들을 할 수 있다니요. 

 

사람은 누구나 절박한 상황이 와야 무언가를 비로소 시도하게 되는 면도 있는 것 같습니다. 건강할 때는 건강의 소중함을 모르고 지내다가 몸이 아프게 되면 그 때서야 건강을 조금이나마 챙기려고 저도 노력하거든요. 평소 건강을 잘 챙기면 좋으련만 미련하게도 그게 잘 안 되는 것 같아요.

 

사실 책 속에 나와 있는 동작들은 그 어느 하나 제대로 따라해보기 쉬운게 없더군요. 요가를 좀 했다는 사람들은 그래도 동작도 따라해보면서 이 책을 보면 좋을 것 같은데 저처럼 전혀 따라하지 못하는 사람들은 책을 읽으면서 마음의 수련을 하게 되는 부분은 확실히 있는 것 같습니다.

 

나의 삶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을 이 책이 되짚어주는 역할을 하는 것 같았습니다. 자기 자리에 있지 않으면 몸과 마음이 아프다는 글귀가 마음에 와닿더라고요. 그렇기에 자기 자리를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 중의 하나가 바로 요가인 것 같습니다. 좀 더 몸과 마음 모두 건강한 삶을 살고 싶다면 요가가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겠다는 생각을 저자를 통해 하게 되는 순간이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