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흐 파르티타 제 4 번 D 장조, BWV. 828
Partita No.4 in D major, BWV. 828

• 작품 해설

이탈리아어 partita는 변주곡을 뜻하는 말이지만, 모음곡을 뜻하는 프랑스어 partie와 혼동되었다. 독일어도 같아서, 바흐가 활동하던 당시 독일에서 파르티타는 모음곡을 의미하기도 한다.

바흐는 6 곡의 파르티타를 작곡했다. 바흐 건반음악 중에서 백미로 꼽힌다. 바흐는 1726 년부터 한 해에 한 곡씩 파르티타를 작곡하여 출판하였지만, 1731 년에 6 곡을 묶어서 `클라비어 연습곡집` 제 1 부로 출판하였다.

• 작품 구성

1. Overture
2. Allemande
3. Courante
4. Aria
5. Sarabande
6. Menuet
7. Gigue

• 연주자

하프시코드, 트레버 피녹 (Trevor Pinnock)

https://www.youtube.com/watch?v=p9Tiu4EEodw

연주시간: 약 34 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흐 파르티타 제 3 번 a 단조, BWV. 827
Partita No.3 in a minor, BWV. 827

• 작품 해설

이탈리아어 partita는 변주곡을 뜻하는 말이지만, 모음곡을 뜻하는 프랑스어 partie와 혼동되었다. 독일어도 같아서, 바흐가 활동하던 당시 독일에서 파르티타는 모음곡을 의미하기도 한다.

바흐는 6 곡의 파르티타를 작곡했다. 바흐 건반음악 중에서 백미로 꼽힌다. 바흐는 1726 년부터 한 해에 한 곡씩 파르티타를 작곡하여 출판하였지만, 1731 년에 6 곡을 묶어서 `클라비어 연습곡집` 제 1 부로 출판하였다.

• 작품 구성

1. Fantasia
2. Allemande
3. Corrente
4. Sarabande
5. Burlesca
6. Scherazo
7. Gigue

• 연주자

하프시코드, 트레버 피녹 (Trevor Pinnock)

https://www.youtube.com/watch?v=FFVNea2j1zo

연주시간: 약 20 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흐 파르티타 제 2 번 c 단조, BWV 826
Partita No.2 in c minor, BWV 826

• 작품 해설

이탈리아어 partita는 변주곡을 뜻하는 말이지만, 모음곡을 뜻하는 프랑스어 partie와 혼동되었다. 독일어도 같아서, 바흐가 활동하던 당시 독일에서 파르티타는 모음곡을 의미하기도 한다.

바흐는 6 곡의 파르티타를 작곡했다. 바흐 건반음악 중에서 백미로 꼽힌다. 바흐는 1726 년부터 한 해에 한 곡씩 파르티타를 작곡하여 출판하였지만, 1731 년에 6 곡을 묶어서 `클라비어 연습곡집` 제 1 부로 출판하였다.

• 작품 구성

1. Sinfonia
2. Allemande
3. Courante
4. Sarabande
5. Rondeau
6. Capriccio

• 연주자

하프시코드, 트레버 피녹 (Trevor Pinnock)

https://www.youtube.com/watch?v=fw3A4RSryXk

연주시간: 약 21 분.



댓글(2)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커피소년 2016-01-26 22:48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이런 분위기의 음악을 정말 좋아합니다. ㅎㅎ

클레식 음악을 전문적으로 공부하면서 들은 적은 없고, 예전 (2014년)에 방송 틀어놓고 많이 들었었습니다.

앞으로 五車書님 서재에 많이 들려서 제대로 알고 들어야겠습니다.

오거서 2016-01-26 23:30   좋아요 2 | URL
제대로 고전음악을 접하는 느낌이에요.
제 서재는 책보다 클래식 음악으로 채우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언제든 방문을 환영합니다! ^^
 



바흐 파르티타 제 1 번 Bb 장조, BWV 825 

Partita No.1 in B-flat major, BWV 825


• 작품 해설


이탈리아어 partita는 변주곡을 뜻하는 말이지만, 모음곡을 뜻하는 프랑스어 partie와 혼동되었다. 독일어도 같아서, 바흐가 활동하던 당시 독일에서 파르티타는 모음곡을 의미하기도 한다. 


바흐는 6 곡의 파르티타를 작곡했다. 바흐 건반음악 중에서 백미로 꼽힌다. 바흐는 1726 년부터 한 해에 한 곡씩 파르티타를 작곡하여 출판하였지만, 1731 년에 6 곡을 묶어서 `클라비어 연습곡집` 제 1 부로 출판하였다. 


파르티타 제 1 번은 쾨텐 후작에게 헌정되었다. 그 아들을 찬양하는 헌시를 바흐가 직접 썼다.


• 작품 구성


1. Praeludium

2. Allemande

3. Corrente

4. Sarabande

5. Menuett

6. Gigue


• 연주자


하프시코드, 트레버 피녹 (Trevor Pinnock) 


https://www.youtube.com/watch?v=4QTtcNWr7q0


연주시간: 약 19 분 30 초.




댓글(4)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yureka01 2016-01-26 22:25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감사합니다..바로 찾아갑니다 ㅋ

오거서 2016-01-26 23:26   좋아요 1 | URL
즐감하시길!~ ^^

별이랑 2016-01-27 12:15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감사합니다~
아무래도 오늘은 어제보다 더 오래 서재 머물다 갈것 같아요.

오거서 2016-01-27 12:29   좋아요 1 | URL
환영합니다! 즐감하시길~ ^^
 




모차르트 교향곡 제 41번 C 장조, K.551 `주피터`
Symphony No. 41 in C major, K. 551 `Jupiter`

• 작품 해설

1788 년 8월에 교향곡 40 번을 완성한 모차르트는 바로 이어서 41 번 C 장조 교향곡을 불과 보름만에 작곡했다.
모차르트의 마지막 교향곡으로, 곡의 웅장함을 상징하는 의미로, 그리스 신화에서 나오는 신의 이름을 따서 `주피터(Jupiter)` 라는 별칭이 후대에 붙여졌다. (모차르트가 직접 붙인 것은 아니다.)
이 곡은 모차르트 생전에는 연주된 적이 없다고 한다.

• 작품 구성

1. Allegro vivace
2. Andante cantabile
3. Menuetto: Allegretto - Trio
4. Molto allegro

• 연주자

지휘, 칼 뵘(Karl Böhm)
빈 필하모닉 관현악단(Wiener Philarmoniker)

https://www.youtube.com/watch?v=jY5bMdix0sA

연주시간: 약 27 분 30 초.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별이랑 2016-01-26 11:0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포스팅에 올려주신 음악 덕분에 기분이 좋아지네요~ 감사한 마음으로 감상하고 있어요.
.
몰랐어요. 클래식과 친하게 지내지는 않았어도 ˝ 모짜르트의 [주피터] ˝ 라는 암기는 했었는데 후대 붙여진 이름이였군요.

오거서 2016-01-26 11:12   좋아요 1 | URL
즐거이 감상하신다니 저도 기쁘고 감사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