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노프스키에 관심을 두고 읽고 있다.
<파노프스키와 뒤러>라는 작품을 읽고 그의 책들을 찾아보고 있는 중이다.
이 책은 르네상스미술에서의 인문주의적 주제들이라는 표제에서 볼 수 있듯이 르네상스 화가들의 그림을 해석하고 있다.
서점검색으로는 품절 상태다.
도서관에서 빌려읽고 있는데 2주안에 다 읽는것은 무리다. ㅠ
밑줄도 못 긋고 옆에 두고 계속 읽어야 할것 같은데...
알라딘 중고 책을 검색했다. 십만원, 십오만원... 개인판매자들의 판매가이다. 품절 책이라 그런가보다 하고 생각하지만, 조금 너무하다는 생각이 든다. 정가의5배, 8배라니...
빠른 시간내에 재출간되길.
시공사든 한길사든.




티치아노 그림의 두 여인은 리파가 영구한 지복(Felicita Eterma, EternalBiss)과 짧은 또는 일시적인 지복(Felicita Breve, Brief or Transient Bliss)이라는표제어 아래 설명한 한 쌍의 의인상과 밀접한 유사성을 지닌다. 영구한 지복은금발의 눈부시게 아름다운 젊은 여인이며, 그녀의 벌거벗은 몸은 그녀가 결국 소멸하고야 마는 현세의 사물들을 경멸함을 뜻한다. 그녀가 오른손에불꽃은 신의 사랑을 상징한다. 짧은 또는 일시적인 지복은 품위 있는 숙녀 의 모습이며 드레스의 노랑과 흰색은 ‘만족‘ 을 의미한다. 귀금속으로 치장하고손에 든 그릇에는 헛되고 짧은 행복의 상징인 금과 보석이 가득 차 있다.
- P286

도상학은 미술작품의 주제나 의미를 형식과 대별하여 다루는 미술사의한 분야이다. 그러므로 이 서문에서는 주제와 의미가 형식과 어떻게 구분되는지 그 차이점을 규정해 보고자 한다.
아는 사람이 길에서 내게 모자를 벗고 인사하는 경우를 생각해 보자. 먼저 형식적 관점에서만 말한다면, 내가 눈으로 보는 것은 한 집합체의 세부요소들이 시시각각 변화하는 모습 이상의 것은 아니다. 여기서 집합체는 색과 선, 입체가 어우러져 발생하는 일반적인 시각 현상의 한 부분에 속하는것이며 따라서 나의 시각세계를 구성하는 것의 일부이다. 내가 그 집합체를자연스레 하나의 사물(한 신사)로 확인하고 세부 요소의 변화를 사건(모자를 벗는 행위)으로 받아들인다면, 나는 이미 순수하게 형식적인 인식 행위의 한계를 넘어서서 주제 혹은 의미의 첫 영역에 들어서 버린 것이다. 이렇게 인지된 의미는 기본적이고 쉽게 이해될 수 있는 성격을 지닌다. ... - P2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