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이토 다카시의 2000자를 쓰는 힘
사이토 다카시 지음, 황혜숙 옮김 / 루비박스 / 2016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2000자를 쓰는 힘, 글의 신체성에 관하여
이 책에서 말하는 ‘쓰는 힘’이란 200자 원고지 열 장 분량의 글을 쓸 수 있는 능력이다. 저자는 매일 분량을 정해 놓고 쓰는 훈련을 하라고 권한다. 그리고 공적인 글을 쓸 것을 강조한다.
좋은 글쓰기를 위해서는 독서가 필요하고, 특별히 글쓰기를 위한 독서를 하라고 한다. 문장력을 향상시키고 말하는 능력도 길러주기 위해서는 독서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좋은 문장을 쓴 사람들은 방대한 양의 책을 읽는다. 그리고 그 책의 내용에 관하여 끈기 있게 깊이 생각하는 것도 문장력을 향상 시켜주는 방법으로 제시하고 있다.
독서와 글쓰기와 말하기와 관련된 글 중 인상적인 부분이다.
나는 보통 한 시간 반 정도의 강연을 하는 경우가 많다. 강연을 할 때는 마치 워드프로세서로 문자를 빠르게 타이핑하고 있는 듯한 이미지가 머릿속에 떠오른다. 주어와 술어가 서로 호응하고 있는지, 혹은 지금 하고 있는 말이 다음 이야기와 어떤 식으로 연결될 것인지 하는 글의 구성, 즉 각 절과 장의 연결이 머릿속에서 착착 정리된다.……
문장력이 생긴다는 것은 그만큼 말도 조리 있게 한다는 뜻이다. 왜냐하면 사고력도 향상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글을 쓸 때는 자신의 생각이 어느 정도 의미 있는 것인지를 항상 확인해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44p
글쓰기는 가치를 창조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그는 도스토예프스키의⟪죄와 벌⟫을 예로 들며 설명한다. 이 책을 몇 번이나 읽었는데, 그때마다 ‘이 책에 이런 부분이 있었나?’하고 새삼 놀란다고 한다. 그것은 작가가 이 소설을 즉흥적으로 쓴 것이 아니라, 그만큼 철저하게 구성했기 때문이라고...
글쓰기에는 우연이 없다. 무의식적으로 문장이 술술 떠올라서 써내려가는 것이 아니라, 자기 자신과 정면으로 마주하는 작업을 통해 글을 쓴다. 글을 통해 그는 자신의 내면세계를 깊이 들여다 볼 수 있다. 그래서 도스토예프스키의 작품을 읽을 때마다 그가 책 속에 쏟아 넣은 방대한 의미에 압도되는 것이다. 이것은 그가 창조한 의미와 가치이 세계인 것이다.
가치 창조의 글쓰기라는 점에서 비평에 대하여 그는 이렇게 말한다.
어떤 작품을 비평할 때는 그 작품과 접하고자 하는 독자들에게 새로운 만남의 장을 제공해야 한다. 그것이 비평문을 쓰는 참된 의미이기도 하다. 독자에게 그 작품을 이해하는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독자의 시야를 넓히는 계기를 만들어준다. 그렇게 독자의 뇌와 작가의 뇌가 서로 감응해서 불꽃이 튀는 듯한 만남의 기회를 만들어주는 것이 진정한 비평이다. 48p
그는 글쓰기의 공공성을 강조한다.
의식적으로 글쓰기 훈련을 거듭하면 공적인 감각을 지닐 수 있으며, 내 글을 남에게 언제 어디서든지 자유롭게 전달할 수 있다.
‘사적인 공간이니까 아무것이나 써도 상관없다’라고 생각한다면 글쓰기에서 가장 중요한 점을 간과하는 것이다. 사적인 이메일을 쓰는 것을 글 쓰는 계기로 삼는 것이 나쁘지는 않지만 그런 마음 자세로는 기본적인 문장력을 함양할 수 없다. 글쓰기란, 개인적으로 전혀 모르는 많은 이들에게 내용을 올바로 전달하는 것이다.
그러한 공공성을 의식하지 않으면 글쓰기는 완전히 사적인 행위에 지나지 않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단순히 자기만족이나 개인적인 감정의 발산에 그치기 쉽다. 그러므로 글을 쓸 대에는 사적인 모드와 공적인 모드를 자유자재로 전환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노력하자 53p
온유 작가의 『글쓰기의 최전선』, 『다가오는 말들』 그리고 이 책은 모두 공적인 글쓰기를 강조하고 있다. 동의하는 부분이다. 대상이 있는 글쓰기는 그 대상을 설득해야 하므로 논리를 세우고 조리가 있어야 한다. 문장이 다듬어 질 수 밖에 없다. 글에 대한 책임도 갖게 되어서 자신에 대한 성찰이 이루어진다.
‘문체’는 글쓴이의 고유한 스타일이다. 이것은 연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사람의 몸과 같은 것이라 생각된다. 우리가 어떤 사람의 몸을 보면 누구인 것을 아는 것처럼, ‘이 글은 누구의 것’이라는 것을 알게 하는 것이 문체이다. 사이토 다카시는 이것을 ‘글의 신체성(身體性)’이라고 한다. 문체는 ‘이 글은 누가 쓴 것’인지를 알리는 도장과 같다고 생각된다. 그러므로 더욱 글에 책임이 생기는 것은 아닐까? ‘글의 신체성’이라는 말이 내게는 인상적으로 다가온 반면, 글에 대한 책임을 떠올리게 하는 단어이기도 했다.
나의 글은 여전히 비문이 많고, 뜻이 모호하고, 성찰이 부족하다.
이 책은 글을 쓰는 데 실제적인 도움을 많이 주었다.
더불어 지속적인 글쓰기에 대한 자극을 받았다
가볍게 도서관에서 빌렸는데 옆에 두고 가끔 펼쳐봐야겠다는 생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