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연명 전집 대산세계문학총서 38
도연명 지음, 이치수 옮김 / 문학과지성사 / 200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연명에 관한 책 4권을 읽었다. 먼저 읽은 것은 김학주의『도연명』. 읽다가 아무래도 본격적으로 읽어야겠다고 생각하고 구입한 것이 이 책 『도연명전집』이다.

처음 도연명의 글에 매력을 느낀 것은 「귀거래혜사」라는 시의 일부분이다.
‘돌아가자 歸去來兮 ’ 라고 말하는 부분이 마음에 와서 부딪치고 사로잡았다. 도연명의 「귀거래사」 전체를 다 읽고 자연히 이 시를 짓게 된 배경에 관심이 갔다. 왜 그는 고향으로 돌아가려는가.

가난해서 밭 갈고 뽕나무를 심어도 자급자족할 수 없었던 선비. 아이들은 많고, 가난하게 사는 자신을 안타깝게 여긴 숙부가 추천해주어 팽택현 수령이 되었지만 ‘다섯 말의 쌀 때문에 허리를 굽힐 수 없다’ 하며 도장끈을 풀고 집으로 돌아가며 지은 사(辭).

그는 이 사(辭)의 서문에서

나의 본성이 자연스러움을 좋아하여 억지로 꾸밀 수 없었기 때문이다. 배고프고 추위에 떠는 것이 비록 절박하지만 본심을 어기는 것은 더욱 고통스러웠다. 전에도 벼슬한 적이 있으나 모두 생계에 쫓겨서 스스로를 부렸던 것이다. 이에 슬퍼하고 비분강개하여 평생 품었던 뜻에 깊이 부끄러워하였다. ……이 일로 인해 본 심을 따르게 되어, 글을 지어 이름 붙이길 ‘귀거래혜(歸去來兮)’라 하였다. 을사년 11월에 서문을 쓴다.
-296p 「귀거래혜사(歸去來兮辭)」 서문 중

라고 기록하고 있다. 그는 동진(東晉)시대 사람. 곧 송(宋)으로 나라가 바뀐다. 이러한 어지러운 시기에 관리를 하는 것은 그가 밝힌 본성으로 견뎌내기에 많은 어려움이 있겠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돌아가자
바야흐로 황폐해지려는데 어찌 돌아가지 않으리오.
이미 스스로 마음이 육신의 부림을 받도록 하였거늘
어찌 근심하여 홀로 슬퍼만 하리오.
지나간 일은 돌이킬 수 없음을 깨닫고
앞으로의 일은 바른 길 쫓을 수 있음을 알았다네.
실로 길을 잘못 들었으나 아직 멀리 가지는 않았으며
지금이 옳고 어제가 틀렸음을 깨달았네.
배는 흔들흔들 경쾌하게 나아가고
바람은 살랑살랑 불어 옷자락을 날린다.
길 가는 사람에게 앞길을 묻고
새벽빛 희미하니 한스럽게 여긴다.
-296~298p 「귀거래혜사(歸去來兮辭)」 중 제1수


그의 돌아감은 본성때문이라 하지만 의지적인 것이라 생각된다. 헨리 데이비드 소로가 자신이 월든으로 간 것은 필사적(desperately)이었다고 한 것처럼. 본성이 맞지 않아도 그냥 그 자리에 있는 경우가 세상에는 더 많다. 그 머무름이 더 타당하게 보인다. 본성을 따라 세상을 등지는 것이 어렵고 고독하다. 많은 사람이 선택하는 길과 다르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의 삶은 唐代까지도 인정받지 못했다. 왕유는 도연명의 걸식시(乞食詩)를 거론하며 “한 번의 부끄러움도 참지 못하더니 종신토록 부끄러움을 겪는구나. 이 역시 남과 나를 괴롭히는 것이니, 작은 것을 지키느라 큰 것을 잊고 그 뒤에 끼칠 누를 생각하지 않은 것이다”고 비판한다.

도연명의 시를 감상하며, 비록 번역에 의지한 것이지만 그 안에 담겨있는 그의 마음을 느꼈다. 의지적으로 선택한 길이지만 외롭고 고독하며 생활의 빈곤으로 우울함도 느낀다. 아들들에게 주는 편지에서는 자신의 살아온 삶은 본성을 따른 것이고 후회함이 없지만 아들들이 풍족하게 살도록 해주지 못한 것에 미안함을 표현하기도 한다. “……그래서 힘을 다해 벼슬을 그만두고 돌아왔으나, 너희들에겐 어려서부터 춥고 배고픈 생활을 하게 했구나.……”(아들 엄 등에게 주는 글, 與子儼等疏) 힘을 다해 벼슬을 그만두었다는 말에서 그가 당시 갈등했고 그만두는 데 많은 의지가 필요했음을 알게 되었다.

후대의 많은 사대부들은 도연명의 글을 읽고 유유자적(悠悠自適)하고 안빈낙도(安貧樂道)하며 자연에 귀의(歸依)하여 술을 즐기고 마음 가는 대로 산 사람으로 도연명을 그렸다. 왕유와 같이 비판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그러나 나는 그의 시구 행간에서 그의 마음에 무수한 갈등이 오고 가서 어지러운 마음을 가라앉혀야 했다는 것을 보게 된다.(閑情賦)

드디어 집이 보이고 기뻐서 달리고, 머슴아이와 아이들을 반겨주고, 집으로 돌아와 어린 것들 데리고 들어가 방에 들어가니 편안함을 느끼겠다는 시구는 필사적인 마음과 그 마음을 흐르는 서글픔 같은 것이 느껴져 울컥했다. 도장끈을 풀어놓고 집으로 향하는 길에서 어떤 마음이었을지가 헤아려진다.

아무리 자기 본성이라지만 세상을 거스르는 일이 쉽고 즐겁기만 하겠는가. 고독과 괴로움이 더 많을 것이 인지상정으로 알아지는 것인데.

그는 <육체, 그림자, 정신(形影神>에서
육체가 그림자에게, 그림자가 육체에게, 정신이 설명하며라는 오언시 3수를 통해 생명을 보존하고자 하는 육체와 그림자의 괴로움과 정신이 설명하는 이치를 이야기 한다. 함께 할 사람이 없어 술잔을 놓고 자신의 그림자와 대화를 하는 고독한 밤의 광경이 떠오른다. 이 글을 읽다보면 그가 정신분석학을 이야기 하는 것인가 하는 생각이 든다.^^

이렇게 그는 세상으로부터 외따른 곳에 초막을 짓고 멀어진 땅에서 자신이 원하는 삶을 살아가며 마음을 비워나가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평소처럼 술을 마시고 마당을 서성이다가 울타리 밑에 핀 국화를 따고 유유히 고개를 들다 남산이 눈에 들어오는 것을 바라본다.(飮酒) 불현 듯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경지의 어떤 깨달음의 순간이다. 그 경지에 이르기까지 아니 거기에 이르러서도 시시때때로 찾아오는 감정을 다스려야 하지 않았을까? 그것이 인간의 마음이지 않을까 생각한다.

슬프고 한스러워 홀로 지팡이 짚고 돌아오는데
울퉁불퉁한 산길 가시덤불 우거진 곳을 지나갔다.
산골짜기의 물은 맑고도 얕아
이내 발 씻기에 좋구나.
갓 익은 술 거르고
닭 한 마리 잡아 이웃을 부르니
해는 지고 방 안 어두워
싸리나무로 밝은 촛불 대신한다.
즐거우나 밤 짧아 아쉬운데
어느덧 다시 날이 새는구나.
-70~72p 「전원의 집으로 돌아와(歸園田居)」 중 제5수


어쩌면 내가 신념대로 살려고 할 때 느꼈던 감정을 그의 시들에 이입했는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다.

시를 짓는 재주가 있으면 ‘화도시(和陶詩)’라도 지어볼텐데…….

돌아가자
바야흐로 황폐해지려는데 어찌 돌아가지 않으리오.
이미 스스로 마음이 육신의 부림을 받도록 하였거늘
어찌 근심하여 홀로 슬퍼만 하리오.
지나간 일은 돌이킬 수 없음을 깨닫고
앞으로의 일은 바른 길 쫓을 수 있음을 알았다네.
실로 길을 잘못 들었으나 아직 멀리 가지는 않았으며
지금이 옳고 어제가 틀렸음을 깨달았네.
배는 흔들흔들 경쾌하게 나아가고
바람은 살랑살랑 불어 옷자락을 날린다.
길 가는 사람에게 앞길을 묻고
새벽빛 희미하니 한스럽게 여긴다.
296~298p 「귀거래혜사(歸去來兮辭)」 중 제1수 - P296

슬프고 한스러워 홀로 지팡이 짚고 돌아오는데
울퉁불퉁한 산길 가시덤불 우거진 곳을 지나갔다.
산골짜기의 물은 맑고도 얕아
이내 발 씻기에 좋구나.
갓 익은 술 거르고
닭 한 마리 잡아 이웃을 부르니
해는 지고 방 안 어두워
싸리나무로 밝은 촛불 대신한다.
즐거우나 밤 짧아 아쉬운데
어느덧 다시 날이 새는구나.

70~72p 「전원의 집으로 돌아와(歸園田居)」 중 다섯 번째 수 - P70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mini74 2022-01-21 21:2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그레이스님이 올려주신 도원명 시들 넘 좋아요 그레이스님 글 읽고나니, 도원명의 글 속에 그저 안빈낙도가 아닌 갈등과 고뇌가 담긴 것 같아 더 와닿는듯 합니다. 좋은 글 잘 읽었어요 그레이스님 ~

그레이스 2022-01-22 00:15   좋아요 1 | URL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