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특히 음악 그 중에서도 고전 및 낭만 음악에 대한 관심이 커졌다. 부암아트홀(160석) 같은 아늑한 공간에서 음악을 듣는 것에 대해 특히.

광화문의 금호아트홀(390석)이나 여의도의 영산아트홀(598석)은 아늑하다는 느낌을 주지는 않지만 대형 공연장에 비해 관심을 더 갖게 한다.

영산의 의미가 궁금해 문의했더니 창설도 오래 되었고(1999년) 운영업체도 많이 바뀌어 잘 모르니 알아 보고 답해주겠다는 답이 돌아왔다.

그러면서 어떤 연유로 묻게 되었는지 물어 나는 세종문화회관이나 예술의 전당 같은 대형 공연장에 비해 작고 아늑한 공간에 대한 글을 페이스북이나 블로그에 쓰려는 것이라는 말을 했다.

직원은 블로그 주소를 물었고 나는 내 (네이버) 블로그는 myrteo21을 아이디로 하는 블로그로 myrteo는 슈만의 가곡집 ‘미르테의 꽃’에서 미르테를 조금 변형한 것이라는 말을 했다.

나는 영산이 영산회상(靈山會上)의 그 영산과 관련이 있는가 물었고 직원은 아닌 것 같다는 말을 했다.

영산(靈山)이란 이름 때문이겠지만 석가모니가 중생을 구도(求道)하기 위해 묘법연화경을 설법하던 라지기르의 영산(영축산. 영취산)에 대한 매혹 때문에 나는 어쩌면 영산아트홀에 가려는 것일지도 모른다.

라지기르에는 이 밖에도 불교 최초의 사원인 죽림정사(竹林精舍), 제1 결집 장소인 칠엽굴 등의 중요 불교 유적이 있다.

정신분석학자이자 음악이론가이자 작가인 미셀 슈나이더는 무엇이 근원적인 파동인지 명확히 알 수 없는 리듬상의 방식과 스스로 불화하는 것처럼 보이는 리듬, 양손이 각각 다른 박자를 따르는 것을 몹시 좋아한 불균형에 대한 슈만의 지향성이 연주자와 마찬가지로 듣는 이에게까지 영향을 주어 길을 잃고 평정을 잃게 한다는 말을 했다.(‘슈만, 내면의 풍경’ 90 페이지)

‘슈만, 내면의 풍경’은 슈만의 곡을 아픔의 원인과 아픔 없는 상태 사이의 이해할 수 없는 괴리를 가진 것(62 페이지), 우울증 환자의 목소리처럼 점점 무거워지고 어두워지는 것(145 페이지) 등의 말로 표현한다.

‘슈만, 내면의 풍경’에 언급된 곡들은 그런 특성에 부합하는 곡들이다.(백곡 이상의 곡이 언급되지만 ‘미르테의 꽃’은 나오지 않는다.)

적절한 공연을 골라 궁(宮)이나 능(陵), 박물관, 도서관 만큼 자주 찾아야 할 곳이 공연장이다.(당분간 영화에 대한 관심은 기약할 수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름을 알지 못하는 시인의 시집을 받았다.(죄송) 박성규 시인의 ‘이제 반딧불을 밝혀야겠다’란 시집이다.(문학의 전당 시인선 0252번. 2017년 3월 20일 출간)

겉봉에 적힌 번호로 전화를 했더니 시인이 직접 받아 자신은 고영 시인으로부터 이야기를 듣고 시집을 보낸 것이라는 말을 했다.

나는 귀한 시집을 보내주셔서 감사하며 열심히 읽겠다는 답을 했다. 시인은 자신의 시집을 열심히 읽는 독자가 있다는 사실에서 무엇보다 큰 보람을 느낄 것이다.

문학의전당이란 출판사는 박지영 시인/ 평론가의 정신분석 시론집인 ‘욕망의 꼬리는 길다’의 출간사인데 나의 경우 그 분의 ‘귀갑문 유리컵‘이란 시집을 읽고 리뷰를 올린 뒤 시인께 큰 찬사를 받는 호사를 누렸다.

통화를 마치고 ‘이제 반딧불을 밝혀야겠다’의 해설자로 박지영 님의 이름이 올라 있는 것을 확인했다. 그 분 덕에 시집을 받게 된 것이 분명하다.(고영 시인은 문학의전당의 대표이다.)

내게 격려(시도 잘 쓸 것 같다는..)도 많이 해주시고 절판된 ‘서랍 속의 여자’와 ‘눈빛’이란 시집을 보내주시고 박성규 시인의 시집도 받게 해주신 박지영 님께 감사함을 전한다.

낮에는 의정부의 모(某) 시 동호회 회장으로부터 조만간 시론(詩論)을 들려달라는 말을 듣고 난감함을 느꼈다.

퇴근 후에는 나비(nabis)와 나비(butterfly) 등과 관련한 내 글에 나비는 이별과 관련이 있는 것 같다는 댓글을 단 블로거에게 답을 했다.

그 덕에 나희덕 시인의 시집 ‘어두워진다는 것’과 시론집 ‘보랏빛은 어디서 오는가’ 등을 오랜 만에 다시 읽었다.

시로 충만(?)한 하루였지만 실속이 없는 것은 내 삶이 시와 거리가 멀기(시와 시론을 읽지만 시도 시론도 쓰지 못하는...) 때문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나비 형상을 보고 만든 단어들 만큼 의미있고 운치 있는 것들은 별로 없는 듯 하다. 발음이 같을(유사할) 뿐이지만 나비(nabi)는 히브리어로 예언자를 뜻한다.

폴 고갱에게서 영향을 받은 폴 세뤼지에가 파리의 젊은 화가들을 모아 19세기 후반 만든 반인상주의의 나비파(Les Nabis)란 이름이 예언자를 뜻하는 히브리어 나비에서 온 것이다.

나비라는 단어가 들어간 나비눈이라는 단어가 있다. 못마땅해서 사르르 눈을 굴려 못 본 체 하는 눈짓을 말한다.

조선시대 말 중 나비를 주고 받는다는 말이 있었다. 칼로 베어낸 저고리 앞섶 조각을 이혼의 증표로 주는 것으로 상대가 받으면 이혼을 수락하는 것이 된다.

할급휴서(割給休書)가 원래 말로 베어낸 저고리 앞섶 조각이 나비 모양이어서 나비를 주고 받는다는 말로 통했다. 심각한 상황에서 가볍고 우아한 나비를 상상하는 것은 운치(韻致)의 정점인 듯 하다.

지난 수요일(4월 26일) 용산도서관에서 유종인 시인의 강의를 들었다. 기법보다 일상적인 정서 차원에 초점을 둔 강의에서 시인이 주문한 것은 하루에 하나씩 순 우리말을 사전에서 찾아 (외우지 말고) 눈여겨 보아두라는 것이었다.

나비눈은 그래서 찾다 만난 낱말이다. 언어의 한계가 사유의 한계라는 말은 언어의 확장은 사유의 확장을 의미한다는 말로 고칠 수 있을 것이다. 순 우리말을 하나씩 알아가면 사유가 깊어질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고흥(高興).. 고두현 시인의 경남 남해(南海)와 혼동을 한 적이 있었다. 몇 년이 되었지만 고흥은 아직 낯설고 멀게만 느껴진다.

참 갑작스레 전남인(全南人)이 된 여동생을 위해 어머니를 모시고 그의 고흥 집에 갔던 것이 한 서너번쯤 되건만..

고흥에 대해 말하라 하면 우주센터가 있는 나로도 말고 더 이상 생각나는 것이 없다.

지난 2015년 전남의 ‘가고 싶은 섬‘으로 선정된 이후 고흥의 연홍도가 ‘지붕 없는 미술관‘(국내 유일의 미술섬)으로 꾸며지고 있다는 소식을 듣고 지도를 펴보았다.

예상대로(?) 연홍도는 고흥의 서쪽 최남단에 위치해 있는, 고흥 중심지에서 많이 떨어진 멀고 먼 곳이다.

제주(濟州)라는 최적(?)의 유배지가 있지만 외람되게도 전남의 섬들을 생각하면 조선시대의 유배(流配)가 생각난다.

고흥과 남해를 혼동하는 것은 고두현 시인의 시 ‘늦게 온 소포’에도 나오듯 두 곳 모두 유자(柚子)로 유명하기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앞서 남해를 말했지만 이곳은 한양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까닭에 유배지로 각광을 받았다.

서포 김만중이 유배객으로 쓸쓸하게 죽음을 맞은 곳인 남해에는 유배문학관이 있다. 고흥에 유배문학관이 없지만 유배된 사람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세조 원년에 단종 폐위를 반대해 문한(文漢)이라는 사람이 흥양도로 유배되고 예종 원년에 한한수(韓韓守)라는 사람이 이시애의 난에 연루되어 흥양도로 유배되는 등 고종조까지 고흥에 유배된 조선인들은 60명이 넘는다.(다음 카페 ‘고흥문화관광해설가’ 수록 ‘조선시대 고흥의 유배인 고찰’ 참고)

5월쯤 고흥에 갈 여유가 있을지 모르겠다. 가면 사랑스러운 열다섯 살 남중생 조카를 만나게 될 것이다.

남해는 꼭 가고 싶다. 그 유명한 독일 마을보다 남해 유배문학관을 먼저 찾게 될 것이다. 기이한 행보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지난 수요일(4월 26일) 윤동주 문학관을 서둘러 둘러본 탓에 시인의 언덕으로 오르는 계단을 사진으로 담았을 뿐 실제 올라가지는 못해 미진한 마음이 크다.

한옥 도서관인 청운문학도서관에 마음을 빼앗겨서일 것이다. 기회가 되면 다시 찾아 시인의 언덕을 오를 것이다.

올해는 윤동주 시인 탄생 100주년의 해이다. 지난 27일 열린 탄생 100주년 문학인 기념문학제 세미나에서 홍정선 교수가 한 말이 가슴을 흔든다.
홍 교수는 윤동주를 저항시인이라 부르는 것은 탐탁하지 않다고 말했는데 그것은 저항시인이라는 말이 윤동주의 본질적인 모습을 가리거나 무시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홍 교수의 말을 따르면 윤동주 시인은 신의 어린 양(agnus dei) 같은 사람이 된다. 흥미로운 문제제기이다.(물론 홍 교수 입장에서는 흥미로운 문제제기이지만 나에게는 공부 거리가 는 것이다.)
시인의 언덕에 오르면 서시(序詩)가 새겨진 돌이 있고 멀리 남산이 보인다. 무슨 명분으로 다시 시인의 문학관을 찾을까?

시인의 문학관과 청운문학 도서관을 찾기 위해 탄 1020번 버스를 이용하면 부암아트홀도 갈 수 있다.(7212, 7012번도 마찬가지)

적당한 repertoire를 골라 간다면 5월 마지막 토요일인 27일(18시..플룻 듀오 연주회)이 좋은데 한 달 가까이 남아 기다리기가 힘들 것 같다.

하지만 쿨라우, 도플러, 들리브, 쇼커 등 생소한 작곡가들의 곡들을 들을 수 있다는 점에서는 기대감이 크다.(인문 도시 종로에서 플롯 소리라니.. 너무 좋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