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흥(高興).. 고두현 시인의 경남 남해(南海)와 혼동을 한 적이 있었다. 몇 년이 되었지만 고흥은 아직 낯설고 멀게만 느껴진다.

참 갑작스레 전남인(全南人)이 된 여동생을 위해 어머니를 모시고 그의 고흥 집에 갔던 것이 한 서너번쯤 되건만..

고흥에 대해 말하라 하면 우주센터가 있는 나로도 말고 더 이상 생각나는 것이 없다.

지난 2015년 전남의 ‘가고 싶은 섬‘으로 선정된 이후 고흥의 연홍도가 ‘지붕 없는 미술관‘(국내 유일의 미술섬)으로 꾸며지고 있다는 소식을 듣고 지도를 펴보았다.

예상대로(?) 연홍도는 고흥의 서쪽 최남단에 위치해 있는, 고흥 중심지에서 많이 떨어진 멀고 먼 곳이다.

제주(濟州)라는 최적(?)의 유배지가 있지만 외람되게도 전남의 섬들을 생각하면 조선시대의 유배(流配)가 생각난다.

고흥과 남해를 혼동하는 것은 고두현 시인의 시 ‘늦게 온 소포’에도 나오듯 두 곳 모두 유자(柚子)로 유명하기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앞서 남해를 말했지만 이곳은 한양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까닭에 유배지로 각광을 받았다.

서포 김만중이 유배객으로 쓸쓸하게 죽음을 맞은 곳인 남해에는 유배문학관이 있다. 고흥에 유배문학관이 없지만 유배된 사람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세조 원년에 단종 폐위를 반대해 문한(文漢)이라는 사람이 흥양도로 유배되고 예종 원년에 한한수(韓韓守)라는 사람이 이시애의 난에 연루되어 흥양도로 유배되는 등 고종조까지 고흥에 유배된 조선인들은 60명이 넘는다.(다음 카페 ‘고흥문화관광해설가’ 수록 ‘조선시대 고흥의 유배인 고찰’ 참고)

5월쯤 고흥에 갈 여유가 있을지 모르겠다. 가면 사랑스러운 열다섯 살 남중생 조카를 만나게 될 것이다.

남해는 꼭 가고 싶다. 그 유명한 독일 마을보다 남해 유배문학관을 먼저 찾게 될 것이다. 기이한 행보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