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몇몇 지인들과 함께 시 쓰고 평론도 하는 분들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었다. 특별한 것은 없고 시인의 입장과 평론가의 입장을 또는 시인의 시각과 평론가의 시각을 어떻게 안배(按排)하는가, 란 관심에 따라 한 말이었다.
지난 2013년 비평가의 정체성을, 땡볕에 시든 채소를 뒤적이며 오지 않는 손님을 마냥 기다리는 하루벌이 장사꾼의 초조(焦燥)에 빗댄 한 평론가가 생각난다. 그는 고학력 논문 제조자들의 메마른 어깨와 숙인 고개가 보이며 비평의 무용함에 대한 확인과 절감은 생존의 문제로 다가온다는 말을 했다.
논문을 제조한다는 말은 시니컬하게 들리지만 특별히 덧붙일 말은 없고 다만 논문이라는 형식에 그가 불편함을 느끼고 있는 것 같다는 말 정도를 하고 싶다. 나는 그를 비롯 비평이 외면받는 현실에서 (달리 대안이 없어서이겠지만) 열심히 읽고 쓰는 평론가들에게 대단하다는 말로 응원의 말을 건네고 싶다.
물론 이런 사정과 별도로 평론가들에게 대단하다는 말을 할 이유가 한 가지 더 있다. 싫어하는 글도 읽어야 하기 때문이다. 하기야 꼭 평론가들만 그런 것은 아니다. 싫어하는 작가에 대한 글을 써달라는 청탁을 받으면 누구든 거절하지 못하는 이상 읽고 써야 하지만 평론가는 그 정도가 일반 필자를 능가한다.
프랑스 문학자 김화영 교수의 ‘바람을 담는 집’에 소개된 흥미로운 내용이 있다. 저자가 프랑스 유학 시절 만난 교수 이야기인데 그는 어떤 학자의 논리가 옳지 않다고 말하기 위해 한 페이지 분량은 족히 되는 내용을 줄줄 외워서 인용했다고 한다. 대단한 분이다. 지금의 나는 그럴 필요가 없지만 내가 그와 같은 입장이라면 그럴 수 있을 것도 같다.
작가 김훈의 문체가 싫은 나는 그의 소설을 한 권도 읽지 않았다. 아니 펴보지도 않았다. 이 말에서 소설을 한 권도 읽지 않았다는 정조(正祖)의 말을 떠올리는 사람도 있겠지만 내가 읽지 않은 것은 소설이 아니라 김훈 또는 김훈류(類)의 소설이다.
어떻든 그러면 어떻게 그의 문체가 싫은지 알았는지 묻는다면 그의 소설들을 읽고 쓴 리뷰를 읽으면 알 수 있다고 답할 것이다. 어떤 문체가 마음에 안 드는가, 묻는다면 짧은 문체가 그렇다고 답하겠다. 김훈의 글에 많은 비판이 있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순신의 어머니가 작고한 지 두 달만인 어느 날 밤 이순신이 혼자 술에 취했을 때 차가운 늦가을 비가 내렸다는 김훈의 문장은, 이순신의 어머니가 작고한 지 두 달 후는 6월이기에 늦가을일 수 없다는 점에서 오류이다‘란 비판(국어학자 이익섭),
무협소설에 열광하는 독자와 전쟁 소재 역사소설에 열광하는 독자의 의식에는 유사한 측면이 존재하고 더욱 그 독자층이 30~50대 도시 중산층 남자라고 했을 때 전쟁소설이나 무협소설을 소비하는 맥락은 흡사하다는 비판(문학평론가 오창은) 등이다.
내가 무협 소설을 한 편도 읽지 않은, 아니 아예 펴보지도 않은 것과 김훈의 소설을 본능적으로 불편해 하고 싫어한 것에는 필연의 관계가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김현 평론가는 중산층의 불안, 초조, 회의가 무협소설을 탐닉하게 한다고 말한 바 있다. 김훈의 소설이 (역사) 허무주의적인 것과 중산층의 불안, 초조, 회의는 관계가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의 짧은 문체와 허무주의 역시 관계가 있지 않을까 싶다. 짧은 문체 자체가 아니라 그런 작위적인 문체가 싫다. 나는 여전히 중요한 것은 역사의 1차 자료이지 자료의 빈틈을 메운다는 이유로 상상력을 발휘하는 장르 즉 소설 또는 영화가 아니라고 생각한다. 더구나 그것이 허무주의로 채색된 것이라면 더욱 문제다.
역사 소설을 즐기는 심리는 기본적으로 오락지향적이다. 오락이 나쁜 것이 아니라 오락에 그치는 것이 나쁘고, 역사 오락물을 접하고 역사에 관심을 두는 것은 좋지만 사실(史實)과 가상 또는 허구를 혼동하는 것이 문제이다. 김훈은 2000년 ’시사저널‘ 편집장으로 일하던 당시 경쟁지인 ’한겨레21‘의 인터뷰 요청에 응해 이런 말을 했다.
'여자들은 화초와 같다', '조선일보가 최고다', '내가 전두환 찬양 기사 다 썼다'는 등.. 이 말들을 한 후 며칠 지나지 않아 그는 사직서를 내고 지금 우리가 아는 전업 소설가가 되었다. 그의 글들을 안 읽기를 잘 했다는 생각이 거듭 든다.(바쁜데 이런 글이나 쓰고 있는 나도 김화영 교수가 말한 프랑스 유학 시절 만난 교수과(科)가 아닌가 우려된다. 반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