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도 3/4이 지났다. 바쁘게 보낸 시간들이었지만 많이 아쉽다는 생각이 든다. 시간을 바쁘게 보냈다는 사실이 시간을 잘 활용했다는 사실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 생각되기 때문이다.

인문학 중심의 읽기를 하는 나는 예년만 못 하지만 여전히 자연과학으로부터도 실마리를 얻으려 애쓰고 있다.

작년 이즈음에 비해 올해는 책을 읽은 양이 반 정도에 불과하다. 머리가 아파서이기도 하지만 근본적으로는 읽기와 쓰기에 변화를 주려한 결과이다.

나이가 들면 관심 영역을 좁히게 된다는 말이 실감난다. 인문학 공부는 글쓰기로 마무리되어야 의미가 있기에 글쓰기에 많은 신경을 쓰고 있다.

최근 한 천문학자가 이론에 대해 쓴 글을 읽었다. 그는 이론을 세계에 관한 검증 가능하고 예측 능력이 있는 모형들을 기술하는 대체로 수학적인 구성물로 정의했다.(데이비드 헬펀드 지음 ‘생각한다면 과학자처럼’ 282 페이지)

나는 이 말을 이론이 현실을 완전히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는 의미로 읽었다. 유연한 눈으로 학문과 세상의 관계를 볼 필요가 있다.

한 사회학자의 생자공(生自共)이라는 표현을 흥미 있게 읽었다.

필자는 마르크스를 ‘생존’(생산 양식) 전문가, 베버를 ‘자존’(특히 종교사회학) 전문가, 뒤르케임을 ‘공존’(유기적 연대-기계적 연대 등) 전문가로 정의했다.

물론 세 사상가 모두 각각의 전공 영역에서는 탁월한 업적을 남겼지만 어느 누구도 세 영역의 유기적 - 체계적 상호작용과 연계상황을 충분히 성찰하지 못했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교수신문 2017년 9월 13일)

이런 글은 학문간 또는 사상가간 관계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게 하지만 공부란 참 어렵다는 생각을 하게도 한다.

소년은 늙기 쉽고 학문을 이루기는 어렵다는 뜻의 소년이로학난성(少年而老學難成)이라는 주희의 말이 와닿는 시간들이다.

물론 주희는 짧은 시간이라도 가볍게 여기지 말라는 일촌광음불가경(一寸光陰不可輕)이라는 말을 처방으로 제시했고 자극도 되고 격려도 되는 말도 했다.

섬돌 앞 오동나무 잎 가을 소리를 낸다는 계전오엽이추성(階前梧葉已秋聲)이란 낭만적인 구절이 그것이다. 여전히 ‘지금‘은 공부할 시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