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기(金文基 1399년 ~ 1456년) 선생도 포함시켜 사칠신(死七臣) 묘역으로 불러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된 지 오래인 사육신(死六臣) 묘역(동작구 노량진 1동)에 다녀왔다.(어제)

실제로 이름만 사육신 묘역이지 이 묘역에 모셔진 분들은 일곱 분이다. 사찰의 불이문(不二門)과 다른 의미(두 임금을 섬기지 않겠다. 불사이군: 不事二君)의 불이문이 눈길을 끄는, 잘 단장된 공원 묘지이다.

(이 곳의 불이문은 사찰의 불이문과 다르다는 사실을 알려주신 J 선생님께 감사!)

김문기 선생이 포함되어야 한다는 측의 주장은 이 분이 수양(首陽)이 1455년 단종을 몰아내자 단종 복위를 꾀한 최고회의를 주재했고 거사의 성패를 가름할 군대 동원 역(役)까지 맡았기 때문에 포함해야 한다는 것이다.(충분한 논리이다.)

형벌 체험을 해보았다. 엄숙한 곳과는 어울리지 않지만 기념으로 했다. 사진도 한 컷 찍었다.

사진을 찍(어 페북에 올리)기 위해 형벌 체험을 해보았다고 해야 옳을 것이다..^^

단톡방에 올린 후 잘 어울리냐 묻자 ˝오래 버티지 못할 듯˝이란 답도 나왔고 ˝지조... 절개... 목숨과 바꿔야 하니 저도 자신 없네요.˝란 답도 나왔다.

죽음으로 세조에 저항했던 분들의 의로움을 음미한 시간이었다고 말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독철왈신(獨啜曰神)은 홀로 차를 마시면 신의 경지에 이를 수 있다고 해석할 수 있지만 차는 혼자 마셔야 맛을 제대로 음미할 수 있다고 해석하는 게 무난하다.

혼(자 먹는) 밥은 어떤가, 란 궁금증이 생기지만 어울림이 아니라 음미에 초점이 맞추어진 것이니 당연히 혼밥이라야 음식을 음미하는 데 적격이라 생각한다.

고옥주 시인의 ‘녹차 한 잔‘이란 시를 음미해보자.

˝그대에게 녹차 한 잔 따를 때 내 마음이 어떻게 그대 잔으로 기울어 갔는지 모르리 맑은 마음 솟구쳐 끓어오를 때 오히려 물러나 그대 잔을 덥히듯 더운 가슴 식히리 들끓지 않는 뜨거움으로 그리움 같은 마른 풀잎 가라앉혀 그 가슴의 향내를 남김 없이 우려내야 하리 그대와 나 사이 언덕에 달이 뜨고 풀빛 어둠 촘촘해오니 그대여 녹차 한 잔 속에 잠긴 바다의 출렁임과 잔잔한 온기를 빈 마음으로 받아 드시게˝

단아하고 맑고 차분한 느낌을 주는 시이다. 이 정도면 둘이 만나서도 차의 맛을 음미하는데 무리가 없을 것이다.

독철왈신을 이야기한 분은 이객왈승(二客曰勝)이란 말도 했다. 둘이 마셔도 차 맛을 음미하는 데는 무리가 없다는 의미이다.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는 초기 경전 ‘수타니파타‘의 가르침이 있다. 무리짓지 말고 혼자 다녀야 더 많은 사람들에게 포교(布敎)할 수 있다는 의미가 담긴 말이다. 엄숙하고 결연한 생각을 갖게 하는 말이다. 의지를 다지게 하는..

어떤 분야인지에 따라 다르지만 ‘홀로‘에도 명과 암이 있다. 상투적이지만 ‘아주 밝지도 아주 어둡지도 않게!‘가 내 슬로건이다.(이 말은 독야청청과 얼마나 다른 것인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최근 순천 이야기를 하다가 송광사, 선암사 이야기를 하게 되었고 자연히 두 사찰의 종파가 다르다는 데로 이야기가 이어졌다.

나는 두 사찰 중 정확히 어떤 사찰이 그런지는 모르지만 한 곳은 태고종이고 다른 곳은 조계종이라는 말을 했다.

내 이야기에 상대는 태고종, 조계종이 아니라 천태종, 조계종이라는 말을 했다. 반박하지 않고 나는 슬며시 검색을 해 내 말이 맞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가볍게 웃으며 그에게 검색 결과를 보여줄 수도 있었지만 그렇게 하지 않았다. 그런 사실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생각해서다.

정확히 어떤 사찰이 조계종 사찰이고 어떤 사찰이 태고종 사찰인지 몰랐던 데다가 조계종과 태고종의 차이를 모르니 그들에 대해 거의 백지 상태나 다를 바 없었기 때문이다.

다만 나는 어째서 그가 정확히 알지도 못하면서 검색도 하지 않고 자신의 생각을 옳다고 생각했는지가 궁금하다.

집에 돌아와 윤후명 작가의 ‘곰취처럼 살고 싶다’에 이런 구절이 있는 것을 확인했다.

“조계산(曹溪山)은 전라남도 승주군에 있는 산이다. 산을 경계로 동남쪽과 서북쪽으로 태고종의 선암사와 조계종의 송광사가 버티고 있다.”(176 페이지)

나는 태고종은 대처승들의 종파, 조계종은 비구, 비구비들의 종파라 아는 정도이다.

조선에서 풍수를 전면에 내세우는 경우도 정치적 이해관계라는 실제 동기가 있듯 불교에도 교리가 다른 경우도 정치적 이해관계가 사실상의 동기인 경우가 있을 것이다.

정치 이야기만도 아니고 교리 이야기만도 아닌 선후와 비중을 고려해 양자를 모두 아우르는 이야기를 나는 하고 싶고 듣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봄/ 윤동주

봄이 혈관속에 시내처럼 흘러
돌, 돌, 시내가차운 언덕에
개나리, 진달래, 노오란 배추꽃

삼동(三冬)을 참아온 나는
풀포기처럼 피어난다

즐거운 종달새야
어느 이랑에서 즐거웁게 솟쳐라

푸르른 하늘은
아른아른 높기도 한데

윤동주 시인의 ‘참회록‘과 ‘봄‘은 참 대조적인 시이다. ‘참회록‘은 일본 유학을 위해 어쩔 수 없이 한 창씨개명을 참회한 가장 저항적인 시이다.

반면 ‘봄‘은 윤동주 시인의 시 중 가장 밝고 화사하고 따뜻한 시이다..

윤동주 시인은 잘 생긴 청년이었지만 한 번도 여자를 거들떠보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으나 여동생 윤혜원(1923 - 2011) 권사에 의하면 함경북도 종성 출신의 박춘혜라는 여학생을 적극적으로 사랑했다.

‘봄‘은 그 때 쓴 시이다. 보기에 따라 시대상황을 읊은 시로도 읽을 수 있을 것이다. 윤동주 시인의 연정 이야기를 들으니 그에 대한 호감이 더 생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9681.21 사태를 일으킨 북한 작전 세력의 최종 목표지는 청와대였다. 당시 연천(장남면)도 통과 지점의 하나였다. 침투 세력은 청운동 자하문 고개에서 총격전 끝에 우리 군경에 의해 진압(사살, 생포)되었다.

 

윤동주 문학관 가까운 곳에 당시 침투 세력의 총에 맞아 목숨을 잃은 최규식 총경의 동상이 있다. 연대 철학과 재학중 한국 전쟁 발발로 입대했다가 특채되어 종로 경찰서장으로 근무중이던 38세의 인재였다.

 

청운동에는 앞에서 말했듯 윤동주 문학관이 있다. 이곳의 많은 자료들은 윤동주 시인의 여동생 윤혜원 여사에 의해 옮겨진 덕에 전시되고 있는 것이다. 윤혜원 여사가 남한행을 결심한 것은 용정(龍井)이 공산화되어 종교의 자유가 보장되지 않아서였다.

 

여사가 서울에 무사히 도착한 것은 고향 집을 떠난 지 12개월만이다. 남편과 함께였는데 당시 그 분들은 연천을 거쳐 서울에 도착했다. 연천과 청운동이 이렇게 연결된다고 말하면 너무 작위적인가?

 

나의 별에도 봄이 오면의 저자 고운기 (문학) 박사는 194263일 윤동주 시인의 쉽게 씌어진 시가 쓰인 릿쿄 대학을 정확히 59년만인 지난 2001년 가 보았다고 말한다. 나는 윤동주 문학관을 개관 5년만인 2017년 봄 처음 가 보았다.

 

쉽게 씌어진 시가운데 대학 노 - 트를 끼고/ 늙은 교수의 강의를 들으러 간다는 구절이 눈길을 끈다. 이 구절을 보고 나는 기형도 시인의 대학 시절의 한 구절인 돌층계 위에서/ 나는 플라톤을 읽었다는 구절을 떠올린다.

 

기형도 시인과 윤동주 시인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연세대 졸업(윤동주 시인은 연세대의 전신인 연희전문)이라고 말하면 너무 단순하다.

 

마광수(1951 2017) 교수라고 말하고 싶다. 윤동주 시인을 알리는 데 공헌한 분들로 윤혜원, 강처중, 정병욱 등을 들 수 있지만 마광수 교수의 윤동주 연구라는 논문(1983)이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보인다. 기형도 시인은 1985년 동아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했는데 이때 예선 심사위원 중 한 분이 마광수 교수였다.

 

흔한 말이지만 인연(因緣)이란 말을 떠올린다. 궁금한 것은 윤동주 시인이 영향을 받은 시인은 누구이며 기형도 시인의 경우는 누구인가, 이다. 윤동주 시인의 경우 폴 발레리, 백석(白石), 정지용, 릴케 등이다. 그럼 기형도 시인의 경우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