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현대 미술관 서울관(종로구 삼청동)에서 ‘불확정성의 원리’ 전시회가 열리고 있다.(5월 24일 – 10월 9일)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성 원리 이상(以上)의 다양한 인접 개념들을 포괄한 어려운(?) 전시이리라 예상된다.(네이버 블로그 유지원님은 울렁거린다는 감상평을 남기기까지 했다.)

한국과 외국 작가가 함께 참여한 ‘불확정성의 원리’란 모호함, 애매, 규정불능, 회의(懷疑), 변화 등의 개념을 지시하는 말일 터이다.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성 원리는 나로 하여금 현대 물리학에 관심을 갖게 해준 원리이다.

어김 없이 플라톤의 책 ‘티마이오스’ 이야기를 할 수 있고 아페이론 또는 코라라고 하는 ‘물질 – 공간’ 이야기를 할 수 있다.

이정우 교수는 “끝없이 나 있는 길(= 아페이론: 무한)‘에 ’서울에서 대전까지‘라는 양끝(peras, limit)이 주어져야 규정(規定)이 되는 것”이란 말을 들려준다.(’주름, 갈래, 울림‘ 21 페이지)

마름질(옷감이나 재목 따위를 치수에 맞게 재거나 자르는 일)이란 말을 생각할 수 있겠다.

비유적으로 느슨하게 쓰는 바이지만 나는 마름질이란 단어를 보며 여행(에 대한 사람들의 편견)을 생각한다.

해외 여행을 간다고 말하면 우리나라도 다 둘러보지 않았는데 무슨 해외 여행이냐고 말하는 사람이 있다.

하지만 이는 편견이다. 해외 여행은 국내 여행을 모두 마친 후라야 갈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마찬가지로 공부도 어느 시점에선가 마름질을 해야 한다.

부족하면 부족한 대로 그 시점에서 제시할 수 있는 최선을 말하면 된다. 상구보리(上求菩提)와 하화중생(下化衆生)의 관계처럼.

보살행 등으로 중생들을 제도(濟度)한 뒤 (실존적) 깨달음을 추구해야 하는 것이라면 깨달음은 영원히 없(오지 않)을 것이다.

소립자의 속도와 위치를 모두 정확히 알 수 없음을 뜻하는 불확정성 원리를 생각하며 나는 깊이와 넓이는 함께 갖추기는 어렵다는 생각을 한다.

내일 구실을 붙여 서울에 가게 될 것인데 어느 전시회를 갈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모든 계보(혈연 관계, 학풍, 사조思潮 등등..)는 연속된 것이 아니라 끊어져 있으며 실재하는 것이 아니라 가상이다. 끊어진 계보를 연속된 계보로 만드는 데는 보이지 않는 권력이 개입하므로 계보에 관한 연구는 진리 탐구의 영역에 속하는 것이 아니라 권력 탐구의 영역에 속한다.”(최연식 지음 ‘조선의 지식 계보학’ 15 페이지)

“세종대왕의 피가 전주 이씨에게만 전해진 것도 아니다. 어쩌면 이 글을 읽는 당신의 20대 조상일 수도 있다. 각자의 조상 가운데는 명 재상이나 청백리도 있겠지만 범죄자, 매국노, 기생, 외국인, 노비 등 다채로운 직업을 가진 사람들도 있을 것이다. 조상의 범위를 좁혀서 뛰어난 특정 조상만을 자신의 조상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과거를 통해 현재의 자기를 높이려는 좁은 생각의 발로일 뿐이다.”(김용만 지음 ‘조선이 가지 않은 길’ 131 페이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어제 오랜만에 해설을 했다. 대상은 ‘36기 – 21기 연구원’ 동기 세 분이었고 장소는 종묘(宗廟)였고 해설 시간은 한 시간 정도였다.

자유 관람이 가능한 토요일(5월 27일)과 마지막 주 수요일(5월 31일) 주제를 찾아 답사하고 어제 예정 시각(10시)보다 이른 8시 30분 홀로 도착해 해설 전 마지막으로 바쁘게 이것 저것 물으며 종묘 구석 구석을 돌아다녔다.

지난 1월 종묘를 찾았을 때 윤지영 해설사님의 해설을 들었는데 바로 그 분과, 스프링클러 작업을 하고 수레에 무언가를 나르시는 직원분께도 여쭈었다.

데드 라인을 얼마 남겨두지 않은 시각에 허겁지겁 출근 해 채 출근 도장도 찍지 못했음에도 친절하게 답해주신 해설사님께 감사드리며 특히 바쁘게 작업을 하는 중에도 흔쾌히 낯선 나에게 친절한 답을 해주신 직원께 감사드린다.

물론 큰 감사는 지난 5월 마지막 수요일 함께 답사해주시고 외대문 밖의 하마비 부분에서부터 해설을 시작하라고 말씀해주신 분과, 해설은 역사 강의가 아니라고 말씀해주신 분께 드려야 한다.

어떻든 현장을 찾고 책을 참고해 주제를 찾는 것과 글을 써서 머리에 저장하는 시간도 좋지만 해설을 얼마 남겨두지 않은 여유 없는 시간에 홀로 물으며 바쁘게 배우는 것도 참 좋다는 생각이 든다.

그건 그렇고 수레라는 말을 쓴 것은 주(周)의 무왕(武王)이 은(殷)의 주왕(紂王)을 무찌를 때 부왕인 문왕(文王)의 지위와 이름을 적은 나무패를 수레에 싣고 다님으로써 신주(神主) 시대를 열었기 때문이다.

좌묘우사(左廟右社)와 종법(宗法), 역(易) 등의 기원이기도 하거니와 공자가 이상국가로 삼은 나라 주나라는 연구할 가치가 있는 주제라는 생각이 든다.

개인적 아쉬움이지만 선대에서 무시된 종법적 질서를 정상으로 돌려놓기 위해 재기발랄한 수양대군을 제치고 문약(文弱)한 장남 문종에게 왕위를 물려주어 사단(事端)을 제공한 세종 생각을 하지 않을 수 없다.

문종은 결국 2년 4개월 밖에 왕위를 지키지 못했고 이로 인해 역시 장자인 어린 단종이 왕이 되었고 이는 계유정난(癸酉靖難)의 구실이 되었다고 볼 여지가 충분하다.(장인용 지음 ‘주나라와 조선’ 136 페이지)

아, 단종...역사 이야기를 실존적 아쉬움으로 마무리 하는 나는 기승전실존(實存)의 인물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정통(正統)이란 무엇일까, 생각하게 되는 아침이다. 시간에 쫓기며 종묘(宗廟) 해설 준비를 했는데 엉뚱하지만 정전(正殿)의 길이가 제기(祭器)와 신주 옮기는 도구를 보관하는 동, 서 협실(夾室), 눈비를 피하고 물품을 보관하는 용도로 쓰이는 동서 행랑(行廊)으로 인해 늘어난 것은 의아하다는 데에서 생각이 멈춘다.

신실(神室)만을 따지면 정전은 겨우(?) 70미터에 불과할 뿐이다. 제례에 쓰이는 음식을 마련하는 전사청(典祀廳)의 사(祀)와 사당(祠堂)의 사(祠)의 차이도 궁금하다.(祠: 사당 사, 제사 사/ 祀: 제사 사)

신위(神位), 신주(神主), 위패(位牌), 지방(紙牓) 모두 정확한 차이를 알고 싶다. 내 의문은 정통이 아닌 것일까? 공자(孔子) 생각을 하게도 된다.

제후가 아닌 대부가 8일무(佾舞)를 추었다고 강하게 질타한 공자, 망해가는 주(周; 좌묘우사의 기원인)나라를 이상 국가로 삼은 공자, 예의와 격식(格式)에 얽매였다고 볼 여지가 많은 공자, (논란 거리이지만) 출세를 위해 주유천하(周遊天下)한 공자,

평생 주역(周易)을 붙잡고 있었던 공자, 죽어야 (우리가) 산다고 말해지기도 한 공자...격식과 예법, 엄격과 장엄, 경건과 엄숙.. 종묘에서 배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네... 감사합니다. 아침 산 모습이 신선합니다. 지난 수요일 남산에 올라 알게 된 사실이 있습니다.

남산의 원래 이름은 경사스러운 일을 끌어들인다는 의미의 인경산(引慶山)인데 후에 목멱(木覓)이라 불리게 된 것은 조선 태조가 남산의 산신에게 목멱대신이란 이름을 부여했기 때문이고 현재 이름인 남산은 풍수지리에서 남쪽을 지시하는 주작(朱雀)에 해당하기 때문이라는 점입니다.

인경, 목멱, 남... 이 변천보다 경사스러움을 뜻하는 단어(경기전慶基殿도 그렇지요...)에 제 마음이 많이 갑니다.

인경도 마찬가지이지만 경복(景福), 창경(昌慶), 경희(慶熙), 복수(福綏), 강녕(康寧), 영녕(永寧)... 이런 말들에 관심이 많이 가는 것은 왜일까요?

경사보다 오명이, 평안보다 대립과 다툼이 더 크고 성했던 ‘조선‘의 역설 때문일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