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하느님의 이력서
장 루이 푸르니에 지음, 양영란 옮김, 오영욱 그림 / 예담 / 2007년 1월
평점 :
절판
천지를 창조하신 하느님은 이제 더 이상 할 일이 없어져서 지구의 대기업에 취직을 하기 위해 면접시험을 치르게 된다. 이력서 한 통과 자기소개서를 작성해서 지상으로 내려온 하느님은 프랑스 어느 대기업의 인사부장과 이런 저런 대화를 나누게 되지만, 인사부장은 하느님의 ‘대단한’ 이력서를 읽으면서도 어쩐지 심드렁한 반응인데……. 인사부장은 하느님의 이력서에 적힌 수많은 업적을 읽으며, 존경심 이전에 왜 그렇게 하셨는가에 대한 궁금증이 더욱 증폭되는 듯 보였다.
하늘과 땅, 바다와 바람, 모든 동물과 인간까지 창조하신 하느님은 의외로 아주 단순한 이유로 이들을 창조했다. 사제들도 없던 그 옛날, 혼자서 모든 것을 탄생시키느라 고생이 많으셨을 텐데, 지금은 후회가 더욱 많아 보인다. 인간들에게 아름다움을 선사하기 위해서 꽃과 별, 아름다운 바다를 만들었지만, 인간들은 이제 그 아름다움에 심취해 감사하기는커녕, 물질문명의 이득만을 취하기에 바쁘기 때문이다.
하늘의 별 밭이 멋지게 펼쳐져 있지만, 어둠 속에 빛이 주는 황홀경도 무시한 채, 인간들은 밤하늘을 바라보지 않고 TV만을 시청하며 밤 시간을 보내고 있다. 신은 튼튼한 두 다리를 주셨음에도 걷는 것을 극도로 증오하는 인간들은 자동차를 만들어 두 다리를 무용지물로 만들어 버리고 만다. 지구를 풍요롭게 하기 위해 만드신 풍부한 천연 자원과 아름다운 자연들을, 망치라는 명령이라도 받은 것처럼 인간들은 무자비로 훼손시키고 있다.
작가는 이렇게 신이 인간을 바라보는 관점에서 인간 사회에 대한 풍자를 예리하게 하고 있다. 굉장히 짧은 분량의 우화 같은 소설, 「하느님의 이력서」는 유머러스하고 기발하면서도, 허를 찌르는 냉정한 현실 비판의 감각까지 지니고 있다. 점점 삭막하고 복잡하게 변해가는 세상사에 염증을 느끼는 인간들과 마찬가지로 하느님 역시 위에서 지켜보기 애처롭고 화가 나는 일이 한 둘이 아닐 것이다. 단순한 스토리에서 풍부한 상상력의 원천을 발견한 ‘장 루이 푸르니에’의 「하느님의 이력서」를 읽으며, ‘만일 신이 정말로 존재하신다면, 왜…?’, 라는 가정에 힘을 실어 넣을 수 있었다.
‘짐 캐리’주연의 영화 ‘브루스 올마이티’를 보면 눈 코 뜰 새 없이 바쁜 하느님의 업무가 비교적 쉽고 재미있게 보여 지고 있다. 세상 업무에 지친 창조주는 자신의 업무를 인간에게 일주일간 맡기게 되는데, 그 동안 세상은 엉망으로 변하고 만다. 코미디 영화에서까지 신의 존재가 코믹하게 그려지는 것을 보면, 지극히 신성시하며 찬양하던 순수한 존재로서의 절대자에 대한 존경심은 대중화와 함께 많이 수그러들었다는 생각이 들었다. 간혹 하느님을 소재로 접하게 되는 매체들 속에서 우리는 무서운 존재로서의 신이 아닌, 이웃집 할아버지처럼 친근한 존재의 신에게 기대고 싶어지는 게 아닐까?
천지를 창조한 하느님의 이력서는 아마도 손에 쥐기도 힘들만큼 많은 업적들이 적혀 있어서, 일일이 검토하는데도 엄청난 시간이 소요되었을 것이다. 기발한 상상력에 의해 탄생한 소설,「하느님의 이력서」를 읽으며 다시금 우리에게 주어진 것들을 우리는 너무 과소평가하며 불필요한 것처럼 업신여기지 않았나, 하고 반성해 본다. 과중한 업무에 시달리는 하느님을 조금이라도 편하게 해드리기 위해서는 제발 사고 좀 치지 말아야 할 텐데, 자꾸만 지구에 사는 인간들은 왜 이렇게 복잡하고 어렵고, 무거운 문제들만 발생시키는지 모르겠다. ‘하느님의 이력서’에 적힌 내용들을 훑어보면서, 모두들 반성 좀 했으면 하는 바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