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소설 토지학교 9강을 모두 끝내고 다음 주말 열번째 강의 겸 수료식을 앞두고 있다.( 강의 기록을 6강까지밖에 못 남겼는데 다음 주엔 나머지 강의 내용을 간단하게라도 올려야겠다.) 수료식에서 나누어줄 문집을 만드느라 요즘 내가 바쁘다. 이름하여 편집장 딱까리~
편집장을 맡은 분이 따로 있는데 주경야독하는 신분인지라 시험 때문에 내내 바쁘고, 원고 교정 보는 일은 원래 내 전문이기도 하고 그래서 도와주고 있다. 며칠 동안 컴 화면으로 교정 본 원고를 편집진에게 보여주고 출판사에 넘겨서 어제 마지막 교정지로 받았다.
오랜만에 빨간펜 잡고 하는 일이라 눈 빠지는 줄 알았다. 이젠 정말 노안까지 왔는지 그 자잘한 글씨가 아른거려서 아예 안경을 벗어놓고 교정을 봤다. 아, 슬퍼~ 저녁에 편집진 만나서 10시까지 마지막 점검하면서 다시 확인한 후 넘겼다. 이젠 다음 주 월요일에 마지막 교정 한 번 보고 넘기면 될 것 같다.
강의록, 수학여행 소감, 소설 토지학교를 마치며, 박경리문학공원에 바라는 말 등의 글을 읽으면서 느낀 건 소설 토지학교가 전국 강의가 되었으면 좋겠다는 것이었다. 그만큼 사람들에게 큰 울림과 감동을 주었다는 이야기~
어떤 분은 강의를 들은 후 박경리 선생님이 인생에 영향을 미친 인물이 되었다 했고, 왜 이제야 문학을 알게 되었는지~ 하신 분, 10대에 꾼 문학의 꿈을 60이 다 되어 새로이 꿈꾸게 되었다는 분, 몇 번의 강의가 인생을 바꿔놓을 것 같다고 하신 분, 문학의 자세를 배웠다는 국문과 학생, 대작가가 아니라 엄마처럼 할머니처럼 느껴졌다고 하신 분, 박경리 선생님 덕분에 원주가 문학도시가 되었으면 좋겠다는 분, 책 읽는 가족으로 변했다는 분 등등 감동적인 이야기가 많았다.
나는? 많은 영향을 받았지만 가장 고마운 건 박경리 선생님이 아주 편한 이웃이 되었다는 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