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편이 보내준 도서관 건물 사진을 보며 딸내미가 외양간 같다고 했더니 내부 사진을 몇 장 더 보내왔다. 자이언 국립공원 입구 마을에 있는데 동네 사람들이 기부금을 모아 지은 도서관이라고 해서 더 놀랐다. 세상에, 500명밖에 안 되는 사람들이 만든 도서관이라니...
국립공원 주변에 있다 보니 도서관뿐만 아니라 모든 건물을 지을 때는 많은 제약이 따른다고 한다. 층수, 높이, 벽과 지붕 색깔, 외부 조명까지도 마음대로 할 수 없다고. 그래서 모든 건물이 이렇게 야트막하고 색깔도 주변 환경에 어울리게 하다 보니 모두 비슷한 분위기가 난다고 한다.
도서관 들어가는 입구. 벽돌 느낌이 꼭 흙 같은데 정확한 건 모르겠다.
내부 모습. 대도시에 있는 도서관과는 비교할 수 없겠지만 넓은 공간에 책들이 깔끔하게 정리되어 있는 것 같다. 인구 2만 8천 명이나 되는 완도 군립 도서관보다 훨씬 책도 많아 보인다. 우리 아이들이 왼쪽에 있는 책꽂이에서 해리포터 책을 발견하고는 엄청 좋아라 했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60753173426460.jpg)
도서관에서 일하는 분은 자원봉사자란다. 연세 지긋하신 분이 일하는 모습이 좋아 보인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60753173426459.jpg)
편하게 앉아서 책을 읽을 수 있는 소파. 남편이 극찬한 소파다. 너무 편안해서 책 읽다가 잠들 것 같은 분위기다. 그리고 저건 내가 꿈꾸던 우리집 서재의 모습이랑도 비슷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