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를 봤어 - 김려령 장편소설
김려령 지음 / 창비 / 201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대하면서 익숙한 것을 발견할 때 그 아늑한 즐거움을 어떻게 설명 할 수 있을까. 그런 아늑한 즐거움을 주는 몇 안 되는 작가가 내게는 김려령이라는 작가였다. 그녀의 첫 번째 작품 [완득이] 때문에 두 번째도 좋았고, 세 번째도 좋았다. 언젠가 내가 배웠던 교수님이 작가나 감독등, 창작을 하는 사람들에게는 무엇이든 세 번째 이후부터가 중요하다고 하셨다. 그동안 자신이 하고 싶었던 얘기, 주변에서 경험했던 얘기들을 소재로 써 먹고 나면 그 이후부터 진짜 작가의 정체성을 발견하게 된다고.  

 

[너를 봤어]는 엄밀히 따지면 청소년 문학을 써 왔던 김려령의 첫 번째 성인(?) 장르 소설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니 이 작품을 그녀의 다섯 번째 장편 소설로 보기 어렵다고...나는 그렇게 정의하고 싶다. [너를 봤어]는 그녀가 정말로 작정하고 쓴 청소년의 꿈과 희망과는 이제 멀어져 지금 살아가고 있는 나약한 어른의 이야기다. 그녀의 이색적인 행보라는 생각도 들지만 뭐, 장르 소설 쓴 작가가 계속 장르 소설을 쓰라는 법이 있겠는가. 하지만 역시 뭔가 좀 어색한 것은 있다. 그녀의 기존 작품을 기다렸던 독자, 팬으로 어쩌면 나는 여전히 그녀의 머물러 있는 정체성을 그리워했는지 모르겠다. 어쩌면 그냥 또 다른 완득이가 달려 왔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는지도.  

 

유명한 소설가 수현은 편집자가 되었다. 그리고 유명한 소설가 아내는 그녀의 이복형제가 함께 한 출판사에서 책을 내며 갑의 지위를 지키며 부와 명예를 쌓았다. 하지만 그녀와 수현은 이상하게 서로에게 끌리는 사랑이 없다. 간혹 나는 이런 설정이 너무 식상하다. 사연없이 사랑하게 된 두 사람은 부부가 되어 아무런 감흥 없이 부부로 살아가며 서로에게 애정을 느끼지 못한다는 설정, 이게 뭐 산뜻하지가 않고 특별하게 호들갑을 떨며 둘의 관계는 왜 이런 거냐는 궁금증도 안 일어난다.  

그런 그들이니까 당연히 다른 사람이 눈에 들어 올 것이고 그리워 할 것이고 불륜을 일으킬 것인데 뭐 뒷일도 궁금하지 않겠다며 책장을 덮고 싶었는데, 역시 나의 예상대로는 진행되지는 않는다.  

 

수현 사이에 놓인 영재와 이제 떠나가 버린 부인과의 묘사에서 사실 나는 계속 부인이 살아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던 것 같다. 부인이 계속 수현의 사이에 머물고 있는 줄 알았지만 수현이 사랑하지 않았던 부인을 놓아주지 않았던 것 같다. 그녀가 오랫동안 머물러 있었던 그 반짝이는 보료에 앉혀 놓고.

 

 

어른이 된 어른이 이제 사랑을 해 보겠다고 하는데, 그 순간 모든 것이 와르르 무너지는 모습에서 역시 인생은 순탄하게 가지 않는 것이 진짜인가, 생각하게 되는 순간 소설은 끝이 났다.

 

 

소설의 표지가 왜 물속이었는지 알게 되었다. 나름 이유 있는 표지 선택이라서 의미가 있었지만, 역시 나는 작가의 반전 소설에 살짝 당황스럽다. 나는 대체, 그동안 그녀의 소설을 어떤 것을 읽은 것일까.

그렇다고 늘 그녀가 완득이 같은 소설만 쓰길 바라지는 않는다. 작가의 또 다른 모습으로 새로 태어나길 바라마지 않지만 너무 순식간에 변한 모습이라서 당황스러운 느낌은 떨칠 수 없다.

 

 

그동안 전작들의 소설에서 대사들이 참 살아 있는 느낌이라는 생각이 많이 들었는데 이번 소설의 대사들을 읽기가 너무 힘들었다. 작가만 알고 있는 내용이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함축적인 얘기가 너무 많고 입에 붙지 않는 대사들이었다. 무엇보다 어색한 혹은 필요 없는 대사들의 줄 간격이 아주 많이 눈에 보여서 내가 엔터를 치며 줄어 놓고 싶은 마음이 굴뚝같았다. 하지만 역시...나는 그녀의 다음 작품을 기다릴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