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참 괜찮은 사람이고 싶다
정유선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3년 6월
평점 :
품절


 

 

 

 

“고백건대 나는 참 운이 좋은 사람이다. 뇌성마비 장애인이 운이 좋다고 하면 아이러니하게 드릴 수도 있지만 실제로 그렇다.”

 

 

 

 

 

 

 

[나는 참 괜찮은 사람이고 싶다]의 저자 정유선은 뇌성마비 장애인이지만 조지 매이슨 대학의 교수이며 ‘최고 교수상’을 받은 비정상인의 첫 번째 수상자가 되었다. 그녀보다 신체적으로 훨씬 자유롭고 훨씬 쉽게 대화도 나눌 수 있는 사람보다 더 많은 노력을 통해 모두가 동경하고 받고 싶어 하는 상을 수상했다. 그리고 그녀는 너무나 행복한 나날을 보내고 있다며 자신보다 더 자유롭게 걸을 수 있고 말 할 수 있는 이들을 위한 용기 있는 권유가 담긴 책을 냈다.

 

 

닉 부이치치가 얼마 전 힐링 캠프라는 예능 토크쇼에 나오는 것을 봤다. 그의 눈물겨운 지난날을 들으니 마음이 편치 않지만 역시나 이런 사람들에게서 느끼는 것은 지금 나의 신체의 고마움이 먼저 든다. 그리고 그들의 노고와 노력에 박수를 보내며 너무 편하게 살고 있는 지금의 나의 모습을 반성하게 되는 것이 이들을 통해 얻게 되는 순서가 아닐까.

너무 예쁜 아이가 어느 날 고열로 시달리다가 그것으로 인해 말을 못하고 잘 걷지도 못하게 되는 운명을 타고 났다는 것을 알게 되는 순간 본인도 부모도 모두 절망에 빠지게 되는 것이다. 이런 어려운 환경을 이겨내고 강철 멘탈을 만들며 즐거운 인생을 사는 그들을 보면 역시 주변에 그들을 그렇게 훌륭한 사람으로 만드는 사람들이 있다는 것을 느낀다.

 

 

이 책의 저자 또한 그녀를 업고 학교에 다니며, 장애인 학교가 아니라 일반 학교에 보내며 견뎌야 했던 많은 눈초리와 고통스러운 시간을 함께 지탱해줄 부모가 있고 장애가 있어도 전혀 그렇게 느끼지 않고 함께 해주는 형제, 자매가 있다. 또한 그녀가 공부를 잘했지만 그녀를 받아줄 대학이 없어 미국으로 홀연 단신으로 외국 유학을 갈 수 있게 해준 그녀의 집의 재력 또한 무시할 수 없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미안한 얘기지만, 그녀가 성공할 수 있는 것은 분명 그녀의 노력이 99%라고 생각하지만 그녀를 미국으로 보낼 수 있는 부모의 의지와 자본이 없었다면 그녀가 미국에서의 생활을 시작 할 수 있었을까. 그녀가 성치 않은 몸으로 한국말도 잘 발음되지 않은 그 언어 구사력으로 영어로 수업 발표까지 해야 하는 그 환경의 어려움과 교우 관계의 고달픔은 물론 알겠지만 이미 미국에서 터를 잡고 있었던 그녀의 이모가 없었다면 그녀의 삶은 또 어떠했을까.

그렇지만 이런 자본과 깨우친 부모가 아니더라도 그녀는 한다면 하는 그런 사람이었으니 뭔가 이뤄냈으면 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드는 페이지는 참 많다.

 

일그러진 얼굴, 실룩거리는 입매, 비틀거리는 걸음걸이, 서툰 젓가락질을 해도 그녀는 자신에게 온 기회를 쉽게 보내지 않았다.

 

 

“그토록 바라던 기회가 찾아왔고, 더 이상은 도망가고 싶지 않았다. 이번에도 실패하면 실망할지 모르지만, 시도하지 않으면 아무 것도 할 수 없으리라.” P43

 

"누가 뭐라고 하든 신경 쓰지 말고, 네가 하고 싶은 일을 당당히 해라. 그 말 한마디가 내 인생을 바꾸어 놓았다. 이제는 내가 누군가에게 이 말을 전해주고 싶다.”P48

 

"얼마나 울었을까, 한참을 울고 일어난 나는 다시 도움닫기를 시작했다. 괴롭고 힘들어도 포기할 생각은 꿈에도 하지 않았다."P89

 

"내가 생각하는 장애란 스스로 심리적 한계를 긋고 자신과의 싸움을 쉽게 포기해버리는 행위 그 자체다.”P93

 

 

 

 

 

그녀의 얘기 속에는 이런 얘기들이 참 많다. 젊은이들을 위한 지침도 있고 청춘이 아니더라도 반성이 되거나 수첩 어디에 적어 놓고 싶기도 한 문장이 많았다. 가끔은 이런 문장들을 볼때면 그녀를 일으켜 세웠던 문장이라는 생각에 그녀에겐 환경이라는 것이 그렇게 중요하지 않다는 생각이 든다. 물론 그녀는 그 환경적인 서러움에 많이 힘들었다는 것을 모르는 것은 아니다.

 

그녀의 아이들의 얘기에 눈물이 맺히지 않을 수 없다. 어쩌면 이렇게 예쁜 아이들이 있을 수 있을까. 엄마가 분명 다른 친구들의 엄마와 다른 모습을 하고 있지만 절대 엄마에게 먼저 왜 다른지 물어보지 않는다. 그리고 그렇게 생각하지도 않는다는 것이 강인한 정신을 가지고 세상에 나온 엄마의 자식들은 다른 건가 어린 아이들이지만 존경까지 하고 싶어진다. 어느 날 그녀의 사랑스러운 딸이 생선은 머리를 좋아지게 한다고 하는 말을 듣고 엄마가 머리에 상처가 나서 아픈 것이라는 것을 알고 생선을 많이 먹었으면 좋겠다는 일화들, 그리고 큰아들에게 엄마가 다른 엄마와 다르냐고 물어보니 전혀 그렇지 않다는 얘기 또한 감동스럽다.

 

 

그런 아이들과 그녀를 위해 헌신하는 남편을 만나고, 몸이 성치 않은 아이를 위해 무엇이든 몸소 실천해 주셨던 부모를 만난 그녀는 진정 행복한 사람일 것이다. 그녀의 말처럼 이런 부모와 아이를 낳고, 남편을 얻을 수 있었던 것은 참 운 좋은 사람일 것이다. 그래서 몸이 불편하지만 마음은 몸과 달리 훨씬 자유롭고 유윤한 삶을 살 수 있었을 것이다.

지금의 우리는 몸은 자유롭지만 마음에 상처가 많은 사람들이 훨씬 많고 드러나지 않은 상처들로 마음을 다쳐 괴로운 날들을 보내는 사람들이 훨씬 많은 것 같다. 그런 부분으로 본다면 그녀의 몸이 불편하지만 그녀는 지극히 정상적인 사람이다.

 

그녀의 아름다운 날들을 생각하면 그녀의 바람처럼 그녀는 참 괜찮은 사람이다. 누구보다 행복한 결혼 생활과 자신의 분야에서 찬란한 빛을 발하고 있는 그녀가 괜찮은 사람이 아니라면 누구란 말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