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의 아름다운 정원
심윤경 지음 / 한겨레출판 / 2002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추천작으로 여러 번 들었던 그녀의 책을 처음 접했다. 이 책을 읽고 텔레비전으로도 방송이 된 <달의 제단>을 읽고 나서 나는 그녀의 팬이 되었다. 왜 이제야 그녀의 작품을 읽었을까.
<나의 아름다운 정원>아 내게 시선을 끌지 못했던 부분 하나는 표지에 있다. 유명 작가는 표지가 어떠해도 아는 작가라 읽고는 하는데 생소한 작가는 표지가 얼굴이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나는 표지에 사실 민감하다.
이 소설의 내용을 다 읽고 나면 사실 표지속의 의자가 어떤 의미였을지 지금도 잘 모르겠지만, 뭔가 소설의 내용과 전혀 맞지 않는 부분이다. 또한 제목이 아쉽다는 생각이 든다. 소설을 다 읽고 나면 아름다운 정원보다 그 이면의 다른 부분에 훨씬 더 많이 가슴이 아리기 때문이다.
은희경의 <새의 선물>을 접하고 그녀의 팬이 되기로 했었던 십여 년 전, 나는 성장소설을 참 좋아하는 사람이라는 것을 알았다. 아마도 성숙되지 못한 자아를 달래기 위해 혹은 아직 크지 못한 나를 채워나가기 위해 성장소설을 좋아하는 것일지도 모르지만, 성장소설을 읽고 나면 뭔가 쑥 가슴에 후끈하게 달아오르는 것이 있기는 하다.
<나의 아름다운 정원>도 동구의 성장소설이다. 동구의 하나밖에 없는 귀한 여동생이 탄생으로 시작된 이야기는 70년대, 80년대의 우울한 시대를 거쳐 간다. 암울했던 정치적 시대를 동구는 잘 모르겠지만, 동구가 사랑했던 담임선생님이 80년 5월 광주로 자신을 길러준 외할머니를 만나러 내려간 후 다시는 학교로 돌아 올 수 없는 장면을 맞으면서 지금이 어떤 시대인지 알게 된다. 초등학생인(그때는 국민학생이었던) 동구가 감당해야 할 사랑하는 사람들이 떠나는 모습에 같이 마음이 아프고 혼자 남아 있는 동구의 모습에 안쓰러워 어찌할 바를 모르겠다.
무뚝뚝하고 때로는 폭력으로 사랑하는 엄마를 대하는 아버지나 중졸도 아니고 중퇴의 여자가 고등학교 중퇴인 자신의 아들의 피를 빨아 먹으며 살고 있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무식하고 무지하고 독한 시어머니, 친할머니의 모진 욕설을 받으며 살고 있는 엄마를 지켜보는 동구는 누가 가르쳐주지 않아도 약한자를 위하며 살아야 한다는 것을 깨우친다. 엄마의 심성을 그대로 담은 동구는 참 착하고 따뜻하다. 그렇기 때문에 동생 영주를 그렇게 예뻐하고 사랑했으리라 믿는다.
딸을 낳았다고 처다 보지도 않았던 친할머니 때문에 산후 조리도 없이 며칠사이 부엌으로 나가 일을 하던 엄마도, 외출을 하게 되면 자신이 홀대받고 있다는 것을 알려야 한다며 예쁜 옷은 전혀 입지 않고 가장 추레한 옷을 걸쳐 같이 다니는 사람들이 힐긋거리며 자신의 엄마를 더욱 나쁜 사람으로 만드는 할머니 때문에 어쩜 동구는 더 철이 들었을지 모른다. 할머니는 깔끔한 엄마에게 재앙과도 같은 그림자가 아닌가. 그래서 그런 엄마를 위로하고 구출하기위해 자신의 희생이 필요한 시점을 너무 잘 알았는지도 모르겠다.
자신의 희생으로 저런 할머니와 어떻게 살아, 나 같으면 할머니와 절대 못사는 나와 달리 동구는 엄마를 위하 할머니와 함께 할머니의 고향으로 내려갈 생각을 하고 할머니와 고등학교까지는 그곳에서 머물겠다는 그 말에 가슴이 탁 막혔다.
아, 동구야...넌 어쩜...
너희 할머니가 어떤 사람이라고. 엄마가 꿈꾸던 구라파풍의 아름다운 정원을 푸성귀로 가득 찬 작은 시골 텃밭으로 만들고 향기가 진하게 났던 백합들은 모두 발로 짓이겨져 있었던 그 광경을 보며 대성통곡을 하는 엄마에게 미친년이라고 욕하던 할머니가 아니던가. 자신의 밥 먹을 시간이 조금이라도 지나서 상을 차리면 바로 상을 엎어버리던 대책 없는 할머니라고.
<나의 아름다운 정원>은 대부분 이렇게 할머니의 모진 행동이 참 많이 그려져 있다. 자신의처를 모질게 대하는 어머니를 방관하기 일쑤인 아버지의 모습은 또 어떠한가. 때로는 방관을 하다가 팔은 안으로 굽는다고 때로는 속상한 마음에 시집살이의 설움을 얘기하면 그날은 엄마의 매타작이 시작되었던 그 순간을 견디며 참아왔던 동구의 시선은 차갑지 않고 아버지를 바라보는 마음 또한 열려있다. 그래서 책을 읽는 동안 동구에 대한 애틋한 마음을 접을 길이 없었던 것이다.
마지막 큰 사건을 남겨두고, 한 뼘 더 성장한 동구가 그토록 들어가고 싶었던 삼층집의 아름다운 정원을 바라보던 풍경의 묘사가 아름답다.
그 아름다운 정원에 아마도 철딱서니 없는 손목이 건진 돌팔매에 맞아 죽었거나 사라진 것 같은 곤줄박이는 어쩌면 동구가 그토록 찾고 싶은 박선생님일 것이다. 그녀 또한 죽었거나 데모로 세상에 나타나지 않기 위해 꽁꽁 숨었는지 모르는 일이니까.
자서전 같은 이 소설의 주인공의 화자가 여자가 아니라 남자였다는 것이 좋다. 성숙하지 못한 소년의 눈으로 세상을 다시 한 번 비춰줬던 순간을 기억하려하니 짠한 마음에 눈물이 뚝 떨어졌던 마지막 장을 읽고 나는 사는 일을 어떤 것인지 다시 한 번 생각하게 되었다.
모든 것을 잃어 스스로 정신병원에 들어간 엄마를 지키기 위해 강둑에 서서 할머니와 함께 시골로 내려갈 생각을 하는 동구를 생각하니 내가 지금 어떤 삶을 살고 있는 것인가 많은 고민을 하게 된다.
좋은 작가의 발견은 가슴 벅찬 일이다. 그녀의 남은 장편들도 모두 읽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