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책과 노니는 집 - 제9회 문학동네어린이문학상 대상 수상작 ㅣ 보름달문고 30
이영서 지음, 김동성 그림 / 문학동네 / 2009년 1월
평점 :
소설을 읽다보면 간혹 참담함을 느낄 때가 많다. 너무나 사실적이어서 요즘말로 레알로 반영되기에 자극적이고 현실이라는 땅에 닿은 무게가 버겁게 느껴질 때가 많다. 그럴때마다 간혹 찾아 읽는 책은 따뜻한 영혼을 간직하고 있는 아동문학들이다. 어린 아이의 눈동자에는 세상의 순수가 다 들어 있다고 하듯 그런 순수를 좀더 가까워지고 싶은 마음에 찾아들어 읽는 책들은 선별되어 읽어보지만 실패한 적이 거의 없다.
<책과 노니는 집> 2009년 문학동네 어린이 문학상의 대상에 빛나는 작품이어서 좋았다기보다는 청소년 소설에서 많이 다루는 집단 따돌림, 입양, 자살에 관한 내용이 아닌 역사 소설이라는 집이 특이했고 소재 또한 그 당시에 금기시 되었던 서학, 천주교를 배척할 당시의 상황이었다는 것이 이 책이 여타 소설의 차별이라고 해야겠다.
장이 이름이고 성이 문인, 문장이라는 아이가 이 소설의 주인공이다. 아버지가 책을 필사하여 먹고 살았다는 설명에 딱 맞는 아이의 이름이다. 무엇보다 책 제목이 <책과 노니는 집>아닌가. 그 책속에 얼마나 많은 문장들이 있겠는가. 그래서 주인공의 이름을 듣고 처음에는 작가의 작위적인 설정에서 오는 이름인 것 같다는 생각이 미쳤지만 주인공의 성격과 상황에 딱 맞는 맞춤옷과 같은 이름이다. 참 잘 어울리는 이름은 가진 장이는 당시 금기시 된 천주교와 관련된 천주학쟁이로 오해를 받아 관아에 끌려가 곤장을 맞아 목숨이 끊어질 듯 넘어가는 아버지가 있다. 아버지는 천주학쟁이가 아니었다. 단지 돈벌이로 하고 있는 책방에서 서학책을 필사를 해준 죄 밖에 없지만 그 책을 사간 사람들의 이름을 대라며 밤낮없이 고문을 받았다. 모진 고문과 매질로 산송장이 되어 돌아온 아버지를 끌어안고 우는 장이는 결국 아버지를 떠나보내고 만다.
그리고 아버지가 했던 일을 장이가 자신을 반양자로 맞아준 책방의 주인의 은혜로 필사를 하거나 심부름을 하며 살아간다. 처음부터 주인공은 아픈 과거를 안고 시작한다. 이런 시련쯤 아무것도 아니라는 듯 앞으로도 백과사전만큼 종류별루 찾아 올 시련을 암시하는 것 같았다. 역시 순탄치 않은 장이의 하루하루였다.
최 서쾌의 심부름을 가는 장이는 귀중한 상아 책갈피와 함께 책을 가져가는 도중 허궁제비를 만난다. 동네에서 밉상으로 찍히고 아무도 건들지 않을 성질을 가지고 있는 왈패 허궁제비는 장이가 가지고 있던 상아 책갈피를 가져가면서 돈을 가지고 오면 돌려주겠다며 사라졌다. 이 부분에서 많은 생각이 들었다. 장이가 어떻게 돈을 마련을 할까. 어린 나이에 그것도 부모도 없는 고아인 장이가 무슨 수로 쌀 한가마나 살 수 있는 돈을 마련을 할까. 아이 답게 찾아내는 해결책은 어떤 것일까. 내가 인물을 설정했다면 어떤 방법으로 작위적이지 않는 설정으로 첫 번째 시련을 해결할까.
앞 부분에서 장이의 이력에 대한 것이 전혀 없어서 어떤 환경에 있는지 주변 인물은 어떤 사람들이 있었는지 알수 없어서 전혀 생각도 못했는데 이 부분에서 작가는 감춰 놓은 인물들을 하나씩 풀어 놓는다.
장이가 심부름을 가는 기방에서 장이를 도와줄 인물 하나를 설정해 놓는다. 장이보다 어린 여자 아이 <낙심>이가 첫 번째이고 기방의 문지기 아저씨, 그리고 기방에서 가장 마음씨 좋은 <미적>. 그들의 도움으로 장이는 상아 책갈피를 찾을 수 있었고 그것 때문에 주변 사람들의 도움이 얼마나 소중한 것인지 알게 된다.
세상에 홀로 남겨졌다고 생각했던 장이에게 가장 감동적인 순간이었을 것이다. 그리고 자신을 오빠라고 부르지도 않고 반말하는 것은 아무것도 아니라는 듯 대드는 낙심이가 장이를 구해 준것이니 얼마나 더 감동적이겠는지.
드라마만 보더라도 신물 나게 나오는 재벌 2세와의 사랑, 밑바닥부터 시작해서 성공하는 석세스 스토리보다 작고 평범한 아이가 살아가는 역사동화가 좋은 이유는 우리 모두가 장이처럼 딱 이만큼의 우울과 서러움 행복을 가지고 있기 때문일 것 같다. 어느 정도 시대를 가지고 있지만 깊게 파고들지 않고 주변에 있는 평범한 사람의 얘기라는 것에 더욱 마음이 간다.
장이가 드나들었던 홍 교리의 집에 있었던 그 책방에 쓰여 있던 <서유당>이라는 책과 노니는 집에서 한참을 책을 읽다가 나온 기분이다.
문득 내가 가지고 있는 책들이 많은 계절을 지내면서 이름 하나 없는 방에 있었다고 생각하니 이름 하나를 지어주고 싶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