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나의 하루 일과는 뭔가를 찾는 것부터 시작된다. 출근 후 매일 하는 일이 어느 나라가 좋을까 구글 지도를 살펴보는 일이다. 나는 지인들에게 말했다. 우리에게 벌어지는 일들을 감당하는 것이 힘들겠다 싶으면 모든 재산을 처분하고 떠나겠다고. 고양이 한 마리와 함께 살 수 있는 어느 나라가 있을 것이라고. 그 나라에서 남은 재산을 모두 쓰고 사라지겠다고. 뭐 큰 재산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아니지만 그래도 어느 동남아시아의 나라에서 아끼면 10년은 살 수 있지 않을까...아니 5년? 아니 1년? 뭐 어찌되었던 경험하고 싶지 않은 나라에서 살수는 없을 것 같았다.

그런 마음으로 목포를 다녀왔다. 목포는 50살 이후에 내가 살기로 작정했던 도시였다. 후배가 정착해서 살고 있는 도시에 내려가 보겠다고 한 것이 5년 전인데 이제야 내려갈 수 있게 되었다. 가지 못할 이유는 많았지만 어쩌면 그건 다 핑계일지 모르겠다. 언젠가 한번 내려갈게라고 한 그곳에 도착해서 나는 1시간 만에 나의 도시가 그리워졌다. 해변 없는 바다에서 불어대는 바람을 견디며 걸어 다니는 것이 얼마나 힘들던지. 따뜻한 남쪽 나라라고 누가 말한 건가 싶을 만큼 추웠고 습했다. 나 도시 여자였나?
1박을 마치고 집으로 돌아오는 기차에서 함께 간 후배에게 말했다. 난 서울 여잔가 봐. 서울이 좋네. 물론 지금은 경기도 외곽에 살지만 말이야. 도시가 좋네....목포에서 사는 건 없던 일로 해야겠다. 후배가 껄껄 웃으며 말했다. 나는 선배가 목포로 내려가서 산다고 했을 때 안 믿었어요. 함부로 나를 간파하지 마라, 후배님아.
도시를 이렇게 좋아하는 난데, 그래서 목포도 포기한 나이지만, 여전히 도망갈 준비를 하고 있다. 장강명의 ‘한국이 싫어서’의 주인공처럼 워홀을 갈수 있는 나이도 아니지만, 분명 한국이 싫어서 떠나게 될 것이다. 시인과 촌장의 <풍경>의 노래처럼 제발 모든 것이 자신의 자리로 돌아갔으면 좋겠다. 그렇게 마음 놓고 책도 읽고 다시 여행을 떠나는 날들이 이어졌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