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누구나 꽃이 피었습니다 - 영화보다 재미있는 현실 인권 이야기
김예원 지음, 버닝피치 그림 / 이후 / 2019년 2월
평점 :
누구에게나 똑같은 하루, 일상이 되길
-누구나 꽃이 피었습니다_ 김예원-
저자는 태어나면서 의료 사고로 한쪽 눈을 잃었다. 중학생이 되어서야 왜 자신이 한쪽 눈 밖에 없는지 알게 되었지만 크게 슬퍼하거나 분노하지 않았다. 보통의 아이들처럼 학교를 다니고 활발한 학창시절을 보내고 사법고시에 합격을 해 사법연수원을 졸업하며 변호사가 되었다. 누구에게나 똑같이 주어진 일상을 나누며 장애로 많은 편견과 아픔에 놓여있는 이들을 도우며 살아가는 그녀의 삶이 빛나 보인다.
비장애인보다 경험하지 않아도 될 것들을 더 많이 경험하면서 살아갔을 그녀가 남들에게 좋은 변호사라고 불리는 이유는 그 수많은 경험에서 나왔을 공감이 가장 클 것이다.
언젠가 한 변호사가 쓴 책에서 자신을 찾는 사람들은 사건을 해결해주기 위해서 오지만 그 이면에는 자신이 처한 상황을 공감과 위로가 필요하기 때문이라고 했다. 한때 동생의 일로 변호사 5명을 찾아다니며 상담 받던 그때의 기억을 떠올려보면 저자는 참, 공감이 많은 변호사다. 그것은 경험을 해 보아야 보이는 세상일 것이다. 한쪽 눈을 잃은 그녀는 아무렇지 않게 살아가려고 해도 그녀를 바라보는 시선은 그녀와 마음이 같지 않을 것이고 그것 때문에 그녀가 남몰래 감당해야 했을 외로움과 슬픔은 그 누구도 알지 못할 것이다. 그런 그녀가 선택한 13편의 영화 속 장애인들의 인권이 어떻게 보이는지 살펴보면 미처 생각하지도 못한 부분들을 알려주고 있다. <7번 방의 선물>, <말아톤>, <마더>, <조제>, <애자>등 혹시 나도 손가락질 하는 무리속의 사람은 한번쯤은 있지 않았나 가슴 철렁이며 읽게 된다.
영화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의 엔딩의 ‘쿵’소리에 나도 모르게 눈물을 흘렀었던 기억이 난다. 내게는 조제의 장애가 크게 신경 쓰이지 않았고, 남녀의 연애의 시작과 엔딩의 기록이었다. 츠네오가 조제를 부모님에게 소개 시키는 부분에서 걱정한 것은 오로지 조제가 걷지 못하는 장애 때문이 아니라 자신의 집과 조금 학벌과 집안 차이가 나기 때문이었다고 치부했다. 하지만 현실은 츠네오가 그녀의 손을 놓은 부분은 그녀의 장애가 큰 이유가 됐을지도 모르겠다. 헤어지고 나서 조제가 떠올라 바닥에 주저앉아 흘린 츠네오의 눈물은 자신의 비겁함에서 차 올라왔을 것이다. 내가 느낀 조제는 남자와 만나고 헤어진 것이지만, 츠네오는 장애를 가진 여자와 만나고 헤어진 것으로 받아들여졌을지도 모른다.
어느 한 지역에서 임대 아파트가 지어진다고 하니 주변 주민들이 집값 떨어진다고 난리가 났었던 것도 있고, 장애 학교가 세워진다고 하니 주변 주민들이 들고 일어나 데모를 하였다. 장애 학교에 아이들을 보내야 하는 부모님들은 잘못한 일도 없는데 무릎을 꿇고 빌어야 했다. 그 과정을 담은 다큐 영화를 상영하지 못하게 하고 있다. 자신들이 한 행동이 정당했다면 왜 다큐영화조차 상영하지 못하게 하는 것일까.
함께 생각이라는 코너속의 대답에 그녀가 하고 싶은 얘기가 모두 담겨 있다는 생각이 든다.
[이것저것 어려운 것 같지만 사실 간단합니다. ‘내가 상대방이라면 어떨까?’를 명심한다면 조금 더 조심하게 됩니다. 장애인이 스스로 삶을 결정 할 수 있다는 것, 장애인이 불쌍해서 좁는 것이 아니라 같은 세상을 살아가는 사람으로서 서로 의지하는 과정이라는 것을 기억하면 장애인과 상호작용하는 것이 수월해질 수 있답니다. P34~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