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급생
프레드 울만 지음, 황보석 옮김 / 열린책들 / 201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지막을 위해 달려가는

 

 

"그는 1932년 2월에 내 삶으로 들어와서 다시는 떠나지 않았다. 그로부터 사반세기가 넘는, 9천 일이 넘는 세월이 지났다. 별다른 희망도 없이 그저 애쓰거나 일한다는 느낌으로 공허한 날이 가고 달이 가고 해가 갔다. 그중 많은 나날들이 죽은 나무에 매달린 마른 잎들처럼 종작없고 따분했다." P21

 

그들은 열여섯 살이었다. 1930년대의 암울했던 그 시절, 유대인의 아들인 한스 슈바르츠는 슈투트가르트로 전학을 온 동급생 콘라딘 폰 호엔펠스에게 시선을 빼앗긴다. 그는 독일의 귀족 소년이었다. 소년들의 우정은 다른 아이들처럼 똑같았다. 싸우고 화해하고 마음을 얻는 방법은 변함없이 똑같은 소년들이었다. 포도밭에서 뒹굴고 들판을 뛰어 다니고, 때로는 사색에 잠긴 사춘기의 소년들이었다. 다만 그들이 살아가고 있는 1930년대의 시대가 다를 뿐이었다. 그때는 히틀러가 권력을 잡기 초였고 아직 유대인 학살이 시작되지 않았을 때였다. 서서히 히틀러의 움직임이 시작될 무렵 그들의 우정과 삶도 서로 다르게 바뀌었다.

 

 

독일인 귀족인 콘라딘의 부모들은 유대인의 아들인 한스를 좋아하지 않았을 것이고 콘라딘 또한 한스를 보호하기 위해 부모에게는 친한 친구인 것을 알리지 않았다. 하지만 한스는 콘라딘의 깊은 심중을 알 리 없었다. 그저 독일인 귀족인 콘라딘가 야속하기만 했을뿐이다. 단지 자신이 부끄러워 그의 부모에게 자신을 소개 시켜주지 않는 것이라고 생각했고 그것은 그들의 사이를 크게 갈라놓았다. 한스에게는 콘라딘에게 언제나 자랑스러운 친구로 서 있고 싶었다.

 

 

아직 세계 2차 대전이 일어나지 않았던 그때, 그들의 푸르고 건강했던 그 시절은 나치가 독일을 장악하면서 두 사람의 운명도 갈라졌다. 한스는 독일을 떠나야 했고 콘라딘은 독일에 남아 있었다. 그리고 한스는 유대인 학살을 벌린 나치를 피해 미국으로 떠날 때 콘라딘의 기억도 모두 남겨 놓고 사라졌다.

 

 

작년 슈투트가르트에 갔을 땐 그곳이 그렇게 참혹한 전쟁의 상처를 가졌는지 알지 못했다. 언제나 광장이 있는 독일은 사람들에게 자유로운 시간을 주었고 그곳에서 생각의 선을 그으며 나는 많은 고민을 했었다. 그리고 너무도 조용한 그 슈투트가르트의 그 도시에서 벌어진 이 두 소년의 이야기를 미리 읽었다면 훨씬 더 좋았을 것이다. 그랬다면 그 도시의 작은 골목길마저도 매 순간 다르게 걸었을 것인데.

 

 

이토록 얇은 책 속에 나란히 서 있는 두 소년이 마지막을 어떻게 달려 나갈지 걱정됐다. 제발 누군가가 전쟁으로 모든 것을 잃지는 않았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마지막을 펼쳤을 때의 반전은 이 소설의 가장 큰 의미라고 생각한다. 그 마지막을 위해 얇을 책을 아주천천히 달려야 할 것이다. 그래야 그 의미를 받아들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