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점: ★★★
미장센이 과히 나쁘지는 않은데 스토리 전개는 어딘가 모르게 흔한 동화적이다. 굳이 제목을 정하라면 '사랑으로도 못 막은 죽음' 아니면 '사랑은 더 이상 마법이 아니다.'이랄까? 사랑으로 안락사하려는 사람의 마음을 돌이켜 죽을 때까지 잘 살았다 뭐 이런 내용이었다면 이 영화는 그야말로 흔해빠진 신파가 되었을 것이다. 그나마 남자가 사랑하는 여자를 두고도 끝까지 죽음의 의지를 꺾지 않기 때문에 소설이 될 수 있었고, 영화가 될 수 있지 않았을까?
20세기까지만 하더라도 낭만적인 사랑이 어느 정도는 통했을 것이다. 하지만 21세기는 여전히 사랑이 중요하지만 전부는 될 수 없는 세상에 살고 있다. 이 작품이 각광을 받았다는 건 사랑 너머 더 중요한 무엇이 있다는 걸 사람들이 인식하기 시작했다는 것일 게다. 그중 하나가 인간답게 죽을 권리. 안락사의 문제는 이제 어제 오늘의 이야기가 아니다. 단지 이 문제를 다룬 소설이나 영화가 나오지 않고 있다가(사실은 있었을지도 모른다. 시기적절하게 나와줬을 뿐) 나왔다는 것에 있지 않을까? 나 같아도 내가 조금이라도 인간적인 모습을 하고 있을 때 죽고 싶다. 살 가망이 없다면 말이다. 이제 우리는 죽음을 새롭게 바라 볼 필요가 있다. 죽을까봐 겁내하거나 생명을 경시하거나 하는 극단을 보이는 것이 아니라 나의 삶을 끝까지 책임진다는 뭐 이런 차원에서 바라봐야 하지 않을까?
그렇더라도 마지막 에필로그는 안 그래도 동화적인데 굳이 없어도 되는 건 아니었나 싶다. 소똥에 미끄러져 넘어졌는데 그 자리에 금 하나가 떡하니 놓여있더라 이런 거하고 비슷한 격 아닌가? 물론 그런 일이 실제로 일어나 준다면 더 없이 좋은 일이긴 하지만 말이다.
별점: ★★★☆
한마디로 말하면, 김지운 감독의 영화는 쓸데없이 멋있다. 느와르가 다 그렇지만.
그의 영화는 내용이나 줄거리와 상관없이 보는 것만으로도 '그냥 잘 만든다.' 그런 생각 밖엔 들지 않는다. 제목도 잘 정했다. 첩자를 밀정이라고 하지 않나? 첩자라고 그대로 썼다면 간지가 나지 않았을 것이다. 더구나 내가 좋아하는 일제시대를 배경으로 했고, 내가 좋아하는 공유가 나온다. 난 아무래도 송중기 보단 남성미 물씬한 공유가 더 멋있다고 생각한다. 그래도 이 영화는 공유 보단 송강호의 영화라고 생각한다. 특히 기차신은 압권이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