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망치고 조직 말아먹는 '왕따 상사'가 혹시 나?

송동훈기자 dhsong@chosun.com

관련 핫이슈
- 샐러리맨 인사이드
관련 검색어
왕따 상사
A상사의 핵심 임원인 ‘나홀로’ 상무가 주재하는 회의는 항상 침묵이 맴돈다. 솔직한 의견을 내보라고 아무리 독려해도 부하직원들은 좀처럼 입을 열지 않는다. 회식자리에서 직원들은 앞다투어 나 상무와 떨어져 앉으려고 하고, 나 상무가 나타나면 신나게 떠들던 직원 간의 대화도 뚝 끊어진다. 나 상무는 이런 상황을 ‘자신의 권위를 인정하는 것’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그건 착각! 사실 나 상무는 직장 내 ‘왕따 상사’다.

◆일반화되는 직장 내 왕따현상

‘왕따’는 더 이상 학생만의 고유 영역이 아니다. 이미 직장 내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현상이다. 취업 포털사이트 ‘사람인’이 지난 5월 직장인 3102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 따르면 직장 내 왕따가 있느냐는 질문에 대해 42.1%가 ‘그렇다’고 대답했다.

그렇다면 어떤 사람이 왕따의 대상이 될까. 사람인 조사에 따르면 왕따 유형을 묻는 질문에 대답한 1307명 중 절반 가까운 48.7%(636명)가 ‘자기밖에 모르는 이기적인 사람’을 ‘왕따 1순위’로 꼽았다. 성격적으로 장애가 있는 사람(20.3%), 상사에게 잘 보이려고 지나치게 아부하는 사람(19.7%), 일을 너무 못하는 사람(8.3%)도 왕따 리스트에 올랐다.

◆더 위험한 ‘상사에 대한 왕따’

그러나 정작 더 큰 문제는 ‘나홀로 상무’처럼 상사가 부하직원으로부터 왕따당하는 경우다. LG경제연구원 강승훈 선임연구원은 “의사결정의 주체인 상사가 부하직원들로부터 소외되고 따돌림당하면 의사결정의 질이 저하되고, 구성원의 이탈이 발생하며, 조직의 실행력이 저하되는 등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고 말했다.

강 연구원은 이번주 ‘LG주간경제’를 통해 왕따당하기 쉬운 상사의 유형을 ?인(人)의 장막형 ?일벌레형 ?햄릿형 ?폭군형 ?세대착오형으로 구분하고 이를 예방할 수 있는 상사의 바른 행동 방식을 제시했다. 인의 장막형이란 ‘내 사람’이라고 믿는 부하만을 가까이 하는 상사를 뜻한다. 이 경우 몇몇 특정 부하와의 의사 소통은 유지되겠지만, 나머지 구성원과는 유리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회식자리에서까지 일 얘기만 하는 일벌레형 상사도 부하로부터 소외되기는 마찬가지. 부하에게 심한 압박감을 주기 때문이다. 분명한 지침 없이 과제를 부여하고 그 결과에 대해서는 비판만 하는 햄릿형 상사, 강압적인 방식으로 자신의 의견이나 방식만을 최선이라고 주장하는 폭군형 상사, 젊은 부하직원의 문화를 이해하려는 노력 없이 노골적으로 그것에 반감을 표시하는 세대착오형 상사도 왕따당할 가능성이 높다.


강 연구원은 “부하직원에게 왕따당하지 않으려면 자신에 대한 쓴 소리를 달게 듣고 부하들의 고충을 진지하게 들어주는 상사, 업무에 있어서 분명하고 구체적인 지침을 내리고 덕과 이해로 조직을 이끌려는 상사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라주미힌 2005-11-29 14: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리 회사는 오로지 햄릿형 ㅎㅎㅎ.
처음 부터 끝까지 우리가 다 하고.. 머리통들은 딴지만 걸어요 ㅎㅎㅎ

stella.K 2005-11-29 14: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힘들겠습니다. 저는 저의 대빵이 인의 장막형을 보이고 있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