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 가난한 발바닥의 기록
김훈 지음 / 푸른숲 / 2005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집이 언제부터 개를 키우기 시작했는지는 정확히 기억이 나질 않는다. 내가 태어나서 개라는 동물을 처음 대했을 때는 '캐츠'라는 털이 탐스러운 숫캐였다. 원래 있어 왔다고 하면 아마도 내가 태어나기 이전에도 우리집은 개를 키워오지 않았을까 하는 짐작을 해 본다.

 

암튼 이 '캐츠'라는 개는(개에게는 결코 어울리지 않는 이름이다.) 늘 묶여만 있었는데, 언제부턴가 아버지가 운동을 시켜야 한다며 가끔씩 풀어준게 화근이 되어서 어느 날 집을 나가서는 영원히 돌아오지 않았다. 지금도 기억이 난다. 난 그 녀석이 집을 나가던 날 열심히 녀석의 뒤를 쫓았다. 그렇게 열심이 뒤를 쫓았는데도 녀석은 뒤도 돌아보아 주지 않았다.

 

결국 난 녀석을 따라 잡을 수 없었다.  내 발은 두개고 녀석의 발은 네개다. 난 도무지 따라 잡을 수가 없었던 것이다. 그때 외삼촌인지 엄마인지 잘은 기억이 나질 않지만, 그냥 놔두라고 했다. 그렇게 말했던 그는 녀석이 나가서 안 돌아 올 것을 이미 알았던 것 같다. 그리고 정말 안 돌아왔다. 난 내심 슬펐지만 우리 가족들 어느 누구도 녀석을 걱정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그래서 슬픈 내색도 할 수 없었다. 그리고 깨달았다. 개는 그런 존재인가 보다고. 과연 그럴까?

 

언젠가는 인간의 곁을 떠날 존재. 그렇다면 우린 얼마나 많은 개를 떠나 보내고 살았던 것일까? 지금도 내 곁에 있다가 떠나 보낸 개들이 생각이 난다. 개도 사람처럼 개성이 있다.  그리고 그것들을 지켜보노라면 동물에게는 영혼이 없다고도 하는데 그렇다면 그에 준하는 뭔가의 에너지가 개 안에 내재되어 있는 건 아닐까 의문을 가져 보기도 한다. 그러니까 사람과 교감하며 그토록 오랜 세월을 사람과 함께할 수 있지 않았을까?

 

김훈. 올해 들어 본의 아니게 그의 책들을 주섬주섬 읽게 되면서 나는 이 작가를 좋아하지 않을 수 없게되었다. 이 책 역시 읽으면서 작가에 대한 애정이 느껴졌다. 언젠가 TV에 나와 대담하는 것을 본적이 있었다. 그때 나는 그의 눈을 보았다. 유난히 눈에 안력이 있고 순수함이 베어 있었다. 그 눈으로 보았을 인물에 대한 또 사물에 대한, 국토에 대한 생각과 느낌은 어떠한 것이었을까? 

 

이 책은 너무나 완벽한 이야기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는 단순히 개를 변호하기 위해 개의 입장에서 바라 본 세상을 얘기하려고만 하지는 않았던 것이다.  그 탁월한 묘사도 묘사이지만, 거기에 또 하나의 층위를 더 얹어 우리 인간이 개를 어떻게 생각하고 대해 왔으며, 개와 개끼리는 또 어떠한 교감을 나누며 지내는가 참으로 작가의 상상력이 뛰어나다는 생각이 들었다. 예를들면, 주인공 개를 미워하는 듯 하지만 내심 개를 그 특유의 무뚝뚝함으로 돌봐주는 노부부를 통해 사물을 대하는 한국인의 정서가 느껴졌고, 아무에게나 보리라고 불렀던 그것은 어찌보면 흔하디 흔한 개 이름 '뽀삐'의 대칭이었으리라는 생각도 가늠해 본다.

 

나중에 보리가 노부부의 둘째 아들네로 옮겨와 주인의 배에서 그 망망한 바다에서의 밤을 함께 보내는 모습은 사람과 개가 얼마나 끈끈한 정서적 교감을 나누고 있는가를 잘 표현해 주는 것 같았다. 또한 악돌이와 흰순이를 통해 개와 개끼리의 관계를 통해 야성과 본능을 보여주기도 한다. 그리고 흰순이를 잔인하게 잡아 먹는 인간을 통해 그토록 오랜 세월 동안 개와 사람은 끈끈한 관계라고 여겨졌음에도 그것을 또한 여지없이 배반하는 인간 군상을 숨김없이 드러내 보여준다.   

 

인간의 눈으로 볼 때 보리의, 아니 개의 미래는 불안해 보인다. 언제 자기를 낳아 준 어미와 형제들과 떨어질지 모르며, 싸우다 다칠 수도 있다. 자신의 동족이 죽어감에도 불구하고 그 죽음을 그저 묵묵히 지켜봐야만 하고, 자신을 사랑해 줬던 주인의 갑작스러운 죽음을 보며 더 이상 만날 수 없는 주인을 슬퍼하고 그리워 하지만 죽음을 이해하지 못한다. 그 밖에도 이 책을 읽으면서 철저하게 개의 시선이길 바랬던 작가의 착념과 언어에 대한 새로운 해석들이 놀랍고 그럴듯해서 '과연 김훈이다!' 감탄사를 연발했다.

 

이 책은 정말 여운이 긴 책이다. 우리집은 개를 오래도록 키워 온터라 개에 대한 애정 또한 계속해서 이어 온 셈인데, 이 책을 읽으면 정말 보리에 대한 연민과 애정에 울컥하게 만드는 감동이 있다.

 

그리고 이건 사족이긴 하지만, 개를 잡아 먹을 수 있는 인간에게 개 같은 존재라고 말할 수 있는 건 아무리 생각해도 모순이란 생각도 해 본다.

오늘 밤도 우리 옆집에 사는 개는 외출해서 돌아오지 않는 주인을 목놓아 기다리고 있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플레져 2005-11-03 00: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멋진 걸~!! 멋지게 추천밥~!

stella.K 2005-11-03 00: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호호. 좋아라~!

라주미힌 2005-11-03 00: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stella.K 2005-11-03 10: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고맙습니다.^^

메르헨 2005-11-15 09: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김훈...칼의 노래를 읽은지 정말 오래되었다는 생뚱맞은 생각부터 드는...^^
그의 글은 읽을 수록 좋지요? 때론 완벽함에 숨이 막힐 것도 같지만 절대 그렇지 않구요.
그의 눈을 똑바로 바라 볼 수 없는건 아마 스텔라님께섬 말씀하신 그 순수함 때문이
아닐까 싶어요.^^

stella.K 2005-11-15 10: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렇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