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중그네 오늘의 일본문학 2
오쿠다 히데오 지음, 이영미 옮김 / 은행나무 / 200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들은 이라부를 또라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하지만 또라이면 어떤가? 이라부가 뭐 어때서. 이 사람만 같이 살아도 세상이 지루할새가 없을지도 모른다.

선단공포증에 걸린 야쿠자의 두목. 공중 그네에서 늘 실패만을 하는 서커스 단원. 장인의 가발을 벗기고 싶어 안달이 난 이라부의 동창. 입스에 걸린 야구선수. 심인성 구토증에 걸린 여류작가가 그의 주요 환자다.

이들은 하나같이 뭔가의 강박증에 걸려있다. 그래서 가장 잘 기능해줘야 하는 부분이 말을 듣지 않는다. 예를들면 선단공포증에 걸린 야쿠자. 야쿠자라면 칼을 비롯한 뭐든 끝이 뾰족하고 날카로운 부분을 무서워 한다는 게 말이 되는가? 서커스 단원이 공중에 매달리는 게 생명이라고 보는데 늘 공중 그네에서 실패해서 떨어진다면 말이 되는가? 야구 선수가 입스에 걸렸다면 선수로서의 생명은 끝 아닌가? 늘 작가로서 탄탄한 입지를 굳혀나가길 바랬던 여류 작가는 어떤가?

왜 하필 가장 중요하게 기능해 줘야할 그것이 그들의 발목을 잡는 것일까? 어쩌면 그들은 자기 자신으로서 살기 보다는 뭔가의 만들어진 틀 또는 가면에 규격화된 삶을 살아갈려고 했는지도 모른다. 그들도 처음엔 그 틀 또는 가면을 쓰지 못해 안달했을 것이다. 그리고 한동안은 그것을 쓰고 좋아라 했는지도 모른다. 하지만 언제부턴가 그 가면이 웬지 부담스럽고 이게 과연 나에게 맞는 것인가 회의하게 되었는지도 모른다. 그리고 어느 날 결국 그것 때문에 탈이나 이라부의 병원을 찾을 수 밖에 없는 지경에 이르른 것이다.

이야기는 이렇게 환자들의 이야기만을 늘어놨다면 재미없었을 것이다. 진짜 재밌고 독특한 것은 이라부이다. 그는 신경과 의사로서 의사가 환자에게 처방을 내리는 지극히 상식적인 수준의 범주를 벗어나 환자들의 삶에 관심을 갖고 그들의 삶을 자기만의 방식으로 체험해 본다. 야쿠자는 야쿠자의 세계로, 서커스 단원은 서커스 단원으로 그것도 100kg로의 뚱뚱한 몸으로, 야구선수로, 작가로. 이라부의 세계는 온통 호기심 천국이다. 더구나 친구가 자신의 장인의 가발을 벗겨보고 싶다고 했을 때 기꺼이 공범이 되기를 자처하는 이라부.

실제로 이런 의사가 있을까 싶지만 작가는 이 이야기를 통해서 사회가 만들어 준 가면을 쓰고 살지 말고 자기 자신의 삶을 살라고 말하고 있는 것는 같다. 그것을 깨닫게 해 주기 위해 기꺼이 자기 한몸 환자와 동행해 주는 이라부가 오히려 고맙지 않은가. 하지만 처음 이라부는 사람들에게 그리 매력적인 존재는 못된다. 의사러고 하기엔 매력적인데가 어느 한군데도 없는 것이다. 게다가 그의 병원은 그야말로 후지기까지 하다.

하지만 언제나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할 것은 사람을 외모로 판단하지 말라는 것이다. 겉보기에 매력적인 사람도 어느 한구석이 그다지 매력적이지 못한 구석이 있고, 매력이란 눈을 씻고 찾아 보아도 없을 것 같은 사람이 가만이 뜯어보고 겪어 볼수록 매력적일 수도 있다.

이 책을 읽으면서 새삼 놀라운 것은 일본. 그 나라도 아직까지 신경 정신과 의사들은 의사 세계 안에서도 그렇게 선망 받지 못하는 분야일까 하는 점이다. 사회가 고도로 발달 될수록  인간 소외의 문제는 점점 심각해지기 때문에 신경 정신과 의사들 또는 상담가의 위상은 그 중요도를 같이한다고 볼수있을 것이다.

우리나라도 얼마전까지만해도 정신과 의사는 변방이라는 인식이 있어왔던 것 같다. 하지만 지난 몇년 사이 그들의 위상은 얼마나 높아졌는가? 그래도 아직까지는 자신이 신경 정신과 병력을 가지고 있다면 그것을 쉬쉬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그래서야 인간 사는 세상이 어떻게 좋아지길 기대하겠는가?

사람의 정신 건강을 책임지는 의사가 정신에 병이 난다면 어떻게 하겠는가? 이라부는 자신이 사는 세계를  호기심 천국에 천진난만으로 만들었다. 이것도 자기나름의 건강 비법은 아니었을까? 사람의 하는 행동이 그다지 도덕적 규범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면 남이야 어떻게 생각하든 말든 과감하게 도전해 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다. 그래서일까? 난 왠지 이라부가 또라이라기 보단 상당히 매력적인 인간으로 다가왔다.

사람은 그 사람이 의식을 하든지 안하든지 어느 한구석 자기 약한 구석은 하나씩 다 가지고 있다. 또는 그 반대로 지나치게 그 약하다고 생각하는 부분에 고착되어 있기도 하다. 자신을 좀 자유롭게 놔둘 필요가 있다. 저 창공을 날아오르는 공중 그네처럼. 설혹 그 밑은 떨어지면 나락이 될지언정.

나는 일본 문학을 그다지 좋아하지는 않는 편인데 이 작품은 꽤 괜찮은 작품이라고 생각한다. 이 책에 나오는 몇몇 단편은 그나름대로의 문학성도 가지고 있는 것 같아 읽는내내 만족감이 있었다.

이 책을 선물해 주신 바람돌이님께 다시한번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파란여우 2005-07-16 19: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바람돌이님의 선물이라 질투심이 불타나
그대의 정성에 감흥하여 추천을 날리고 밥먹으러 휘리링~~(밥에 강박증 걸린)
-편파적인 추천만 하는 파란여우-

stella.K 2005-07-16 19: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하하! 고맙습니다. 밥 맛있게 잡수이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