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igh blue sky

1997년에 영국 정확히 말해서 the United Kingdom에 총선에서 승리한 노동당 정권이 들어서고 학생들의 literacy(읽기)와 numeracy(셈하기)에 중점을 둔 지식 교육과 더불어 whole person education(全人敎育)을 강조하고 나섰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학생들의 인성교육의 신(新) 십계명 시안(試案)을 마련, 발표한 것을 신문에서 읽었다. 즉 전(全) 국가 구성원의 합의를 거친 가치(value)를 도출 하려고 했다. 가치를 어디에 두고 인성교육을 해야 하는가에 대한 고뇌에서 나온 것이었다.

 

그 시안을 기술하면:

1.       honesty(정직성)

2.       Respect for others(타인에 대한 존경심)

3.       Politeness(정중함)

4.       A sense of fair play(페어플레이 정신)

5.       Forgiveness(용서)

6.       Punctuality(시간엄수)

7.       Non-violent behaviour(비폭력적 행위)

8.       Patience(인내)

9.       Faithfulness(성실성)

10.   Self-discipline(극기)

 

폭력 등 온갖 범죄가 난무(亂舞)하는 작금(昨今)의 실정을 감안할 때 매우 적절한 시도라고 생각한다.

얼마 전 우리나라에서 발간되는 모 월간 잡지에서 무서운(?) 글을 읽고 그냥 지나치기에는 뭣 해서 나의 의견을 몇 자 적어보려고 한다.

 

돈을 잘 번다고 소문 난, 몇 군데 기업 집단의 사람 뽑는 자리에 있는 사람들의 얘기가 실려 있는데, 한 사람은 성실한 사람보다는 독한 사람이 좋다고 했고, 또 한 사람은 면접 시 말 하는 태도를 보면 집안을 알고 미래를 예측할 수 있다고 하고 자기가 관상쟁이라고 덧 붙였다. 소름이 끼치는 말이다.

근래에 고용기회가 적어 대졸 청년 실업자가 늘어나서 사회 문제가 되어 있는 때니까 사람을 쓰는 측에서는 콧대가 좀 높아 진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인지도 모른다. 원래 얕은 내는 촐랑거리며 흐른다고 했으니까. 

 

한 국어사전에서 독하다를 찾아 보았다. (마음이) 모질고 잔인하다. 어려움을 참고 견디는 힘이 굳세다. 두 가지 설명 중 좋게 보아 후자를 뜻 한다고 본다. 그래도 위에 열거한 인성이 바탕이 되어야 한다. 그렇다면 예를 들어 성실하고 독한 사람이라고 해야 좀 부자연스러워도 나름대로 설득력이 있다고 본다. 또 왜 하필이면 어감이 좋지 않은 독하다는 말을 써야 하는 지도 궁금하다. 아마 이런 엉뚱한 말을 해야 매스 컴을 탈 수 있어서 일까?

또 다른 기업 집단 사람의 말-말 하는 태도를 보면 집안을 알 수 있고 미래를 예측 할 수 있고, 자기가 관상쟁이라는 말-얼머전 뉴스에 취업을 위한 성형수술이 유행이라고 한다. 한 술 더 떠서 그 후 신문에 채용자가 선호하는 구직자의 머리스타일, 체형, 의상에 관한 구체적인 예시가 보도되어 더욱 더 나를 놀라게 했다. 이 사람들의 말씀(?)에 크게 자극을 받은 모양이다.

 

단언하건대, 이는 과장된 근거없는 말(exaggerated groundless remarks)이다. 절대로 불가능한 일이다. 열 길 물 속은 알아도 한 길 사람 속은 모른다는 우리 나라 전래(傳來)의 속담이 대변해 준다.

지금 수 백만의 학생들이 공부를 하고 있다. 독한 사람이 되려고 가 아니다. 모두가 기업 집단의 돈 벌어 주는 기계 부속품이 되기 위해서도 역시 아닐 것이다. 길어서 한 시간 정도, 말 하는 태도를 보고 그 사람의 집안을 알 수 있다는 그 오만한 태도(arrogant attitude)부터 먼저 고쳐야 한다.

만의 하나, 정말 만의 하나, 그들의 말이 옳다고 해도 대한민국의 장래를 위해 그런 말을 함부로 뱉어내서는 안된다.

 

영국의 교육이 직면한 고민을 타산지석(他山之石)으로 삼아 이상적인 인성교육의 목표를 설정해야 한다. 독한 사람보다는 성실한 사람이 더 낫다는 말을 할 수 있는 판단력을 가질 수 있게 되는 날을 고대한다. 말하는 태도를 보고 집안을 알 수 있다고 호언하는 를 벗어나는 날이 하루 속히 오기를 기다려 본다.

 

Tact consists of how far we go when we can go as far as we want to go.(기지機智는 원하는 만큼 얼마던지 멀리 갈 수 있을 때 어디까지 가다가 중단하느냐에 달려 있다.) 말도 마찬가지다. 명사, 대명사에 토씨를 부쳐 적절히 나열하면 말이 된다. 그러나 낱말의 남용을 자제할 줄 알아야 한다. 우리 모두 명심하자. 아마 지금쯤은 이런 말을 한 그들도 후회를 하고 있는지 모른다.

 

Never judge by appearance.외모로 사람을 판단하지 말아라.

Appearances are deceptive.외모는 거짓일 때가 있다.

All that glitters is not gold.반짝인다고 다 금은 아니다.(부분부정)

All are not thieves that dogs bark at.개가 짖는다고 다 도둑은 아니다.(부분부정)

 

우리 모두 위에 열거한 전인교육의 신 십계명 시안을 한 번 소리 내어 읽어 보자.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니르바나 2004-11-19 12: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가 외우는 2계명입니다.
하나님을 경외하고, 이웃을 사랑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