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하는 법 익혀야 현대사회 소외 극복"

사랑의 기술 | 에리히 프롬 지음 | 황문수 옮김 | 문예출판사


스테디셀러는 출판사의 입장에서 보자면 ‘효자’ 상품이다. 꾸준히 돈을 벌어주어 보다 야심찬 기획을 가능하게 해주기 때문이다. 요즘은 좀 덜하지만 한때 가장 많은 스테디셀러를 갖고 있다는 평을 들었던 문예출판사의 ‘효자’는 단연 에리히 프롬의 ‘사랑의 기술’이다.

지금이야 저작권법이 강화돼 있을 수 없는 일이지만 해적출판시대에는 중복출판이 일반화됐었고 이런 중복출판의 첫 번째 타깃은 늘 스테디셀러일 수밖에 없었다. ‘사랑의 기술’뿐만 아니라 같은 출판사에서 나온 ‘데미안’, ‘갈매기의 꿈’, ‘어린 왕자’, ‘독일인의 사랑’ 등은 새로 창업하는 출판사들이 으레 살림밑천으로 출판하던 고정 메뉴였다. 당장 한 인터넷 서점에 들어가 ‘사랑의 기술’을 두드리니 17종이 서로 다른 출판사에서 나와 있었다. 바람직한 일은 아니지만 중복출판의 대상이 되었다는 사실은 스테디셀러의 중요한 자격요건의 하나임이 분명하다.

프롬의 ‘사랑의 기술(The art of loving)’, 정확하게 직역하면 사랑하기(loving)의 기술 혹은 기예(art)라는 제목은 이미 ‘사랑은 절로 되는 것이 아니라 배워야 하는 것’임을 암시하고 있다. 마르크스주의와 정신분석학을 두루 섭렵한 프롬은 흔히 우리가 저지르는 사랑에 대한 세 가지 오류를 지적하는 데서 출발한다. “사람들은 흔히 사랑의 문제를 사랑하기가 아니라 사랑받기의 문제로 여기고, 사랑하는 능력보다는 사랑하는 대상을 찾는 문제라고 생각하고 사랑을 막 시작하는 순간의 강렬한 감정만을 사랑으로 착각한다.”

이런 착각을 깨닫고 사랑도 음악이나 그림, 건축, 의학, 공학과 같은 넓은 의미의 기술과 마찬가지로 ‘배워야 하는 것’으로 받아들이는 데서 사랑하기는 제대로 시작된다. 보기에 따라 통속적인 사랑의 기법을 이야기하는 듯하면서도 실은 그가 겨냥하는 것은 역시 사회사상가답게 소외를 부르는 현대사회에 대한 비판이다. 현대사회가 시장의 교환 원칙 지배를 받고 있고 인간의 가치도 결국은 경제적 교환가치 정도로 전락했기 때문에 자신으로부터도 소외되어 있고 이런 정황 때문에 사랑하기는 더욱 어려워졌다는 것이다.

사랑에 대한 이 같은 성찰을 바탕으로 그는 사랑의 실천에도 큰 비중을 둔다. 그가 권하는 실천의 핵심은 정신집중이다. 자신에게 집중해 먼저 자립을 이뤄야 한다. 자립하지 않은 자가 다른 사람을 사랑할 수는 없다. 그것은 집착일 뿐이다. 이어 다른 사람을 사랑할 때도 그 사람에게 집중해야 한다. 이런 집중은 더욱이 복잡한 현대사회에서 쉽지 않기에 일정한 훈련을 해야 한다. 결국 프롬은 성숙한 성찰적 사랑이야말로 자기를 되찾고 타인을 진정으로 사랑하게 되는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이 책을 1976년에 처음 냈던 문예출판사 전병석 사장은 “지금도 1년에 1만여권씩 나간다”며 “얼마 전에는 드라마에 여주인공이 잠시 들고 나와서 화면에 비치는 바람에 한 달에 5만부도 나간 적이 있다”고 말했다. 사랑의 기술을 필요로 하는 잠재독자들이 그만큼 우리 사회에 많다는 뜻인지 모른다.

(이한우기자 hwlee@chosun.com )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프레이야 2004-05-09 21: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사랑의 기술, 참 좋아하는 책입니다.^^

stella.K 2004-05-09 21: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읽어 볼려구요.